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시 하수처리시설 약품주입비율에 따른 하수슬러지 점성도 및 건조특성에 관한 연구

        윤권감 ( Kwon-gam Yun ),이승원 ( Seung-won Le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A시 11개 하수처리장의 동절기 및 비동절기 약품 사용 비율에 대한 현황을 비교를 하였으며, 또한 그에 따른 점성도 평가 및 하수슬러지 건조 특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2년의 비동절기 하수슬러지 1kg 발생 대비 응집제 사용비율은 소화슬러지 및 농축슬러지가 0.54% 및 0.31%로 나타났으며 동절기의 경우 소화슬러지 및 농축슬러지가 0.66% 및 0.27%로 농축슬러지에 비해 약 3배의 높았다. 2013년의 경우 역시 비동절기의 소화슬러지 사용비율 평균이 0.66% 및 농축슬러지의 사용 비율 평균이 0.30%에서 소화슬러지 동절기 사용비율은 0.76%, 농축슬러지 사용비율 0.27%로 소화슬러지의 경우 동절기 응집제 사용비율 평균이 높은 반면 농축슬러지는 동절기 응집제 사용량 평균이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점성도는 소화슬러지인 A 및 C site의 점성도가 농축슬러지인 E 및 H site 보다 다소 낮게 조사되었으며, 계절에 따라서 모든 site에서 겨울철의 점성도가 높게 조사되어 이는 응집제 사용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슬러지 건조효율 평가의 경우 1차 부분건조에서 내부온도 100℃∼120℃ 및 체류시간 90분 이후 모든 슬러지가 함수율 65% 이하를 만족하였으며, 특히 함수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던 C site가 1차 부분건조 53.1%까지 수분이 감소되었다. 이후 2차 직접건조 90분 후 모든 site가 완전건조 함수율 10%를 만족 하였으며, 특히 초기 함수율이 다소 높았던 A site 및 C site의 최종 함수율이 각각 3.2% 및 5.1%까지 낮게 나타나 건조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is a research on evaluation of viscosity and drying characteristics of sewage sludge according to polymer dose ratio.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olymer dose ratios per 1kg of sewage sludge produced during non-winter seasons in 2012 were 0.54% for digested sludge and 0.31% for thickened sludge. During winter, the polymer dose ratio was 3 time higher with 0.66% for digested sludge and 0.27% for thickened sludge. Similarly in 2013, non-winter polymer dose ratios had average of 0.66% for digested sludge and 0.30% for thickened sludge. In winter season, the ratios were 0.76% for digested sludge and 0.27% for thickened sludge. While the polymer dose ratio average was higher in winter season for digested sludge, the average rather decreased in winter season for thickened sludge. Viscosity of digested sludge from sites A and C was lower than that of thickened sludge from sites E and H. Increase in the polymer usage seems to contribute to the higher viscosity from all sites during winter. Evaluation on sewage sludge drying efficiency showed that all sludge met moisture content below 65% after indirect drying with inner temperature of 100℃∼120℃ and retention time of 90 minutes. Especially moisture content of sludge from site C, with comparatively high initial moisture content, decreased down to 53.1% after indirect drying. After 90 minutes of direct drying, all sites met complete drying moisture content of 10%. Especially, sites A and C that showed high initial moisture content had final moisture content of 3.2% and 5.1%, displaying high drying efficiency.

      • KCI등재

        SRF 연료화 발전시설의 변화에 따른 법령 개정에 관한 연구

        남명숙 ( Myoung-sook Nam ),윤권감 ( Kwon-gam Yun ),김한석 ( Han-seok Kim ),이승원 ( Seung-won Le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23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24 No.2

        As of 2022, there are 269 facilities for manufacturing and using SRF products nationwide, of which 25 public facilities and 257 private facilities are in operation. Among them, there are 6 places in Korea that have SRF product manufacturing and usage facilities together. However, in the [Law Concerning Resource Conservation and Recycling Promotion] Attached Table 7 and Attached Table 7-2, the quality standards applied by SRF manufacturing companies and the emission standards fo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separated, and dual regulations are proposed for integrated systems.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necessity of revision of the law corresponding to the double regulation of the Resource Recycling Law in order to activate the waste resource energy policy. ‘SRF(Solid refuse fuel) product manufacturing & SRF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a combination of two facilities, so it should be applied as a facility to be used. In addition, in the SRF manufacturing process, more than 120 kg/day of recyclable waste such as mobile phones, dry batteries, electronic substrates, and electronic equipment is brought in. Therefore, much effort will have to be put into the separate collection policy for domestic waste. Finally, the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nforcement standards should be reduced to 5 MW for facilities of 10 MW or more, and should be strengthened by adding benzene, acetaldehyde, and dioxin as mandatory assessment when assess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SRF power plants.

      • 유동상식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폐유동사 처리 및 재활용 방안

        박재우 ( Jae-woo Park ),박민욱 ( Min-wook Park ),윤권감 ( Kwon-gam Yun ),이승원 ( Seung-won Lee ),이상석 ( Sang-seok Lee ),김정권 ( Jung-kwon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우리나라에서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에는 크게 매립, 소각, 재활용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폐기물을 수거하여 재활용 할 수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소각한 뒤 매립을 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매립은 계속적인 매립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폐기물의 배출량이 갈수록 증가됨에 따라 예상되는 매립지의 기대수명이 점점 감축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에서는 폐기물을 짧은 시간 안에 매우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소각기술로 시야를 넓혀야 한다. 소각은 대부분 재활용할 수 있는 폐열 및 고형화연료를 확보할 수 있을뿐더러 매립지의 수명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다. 또한 소각이 완료된 후의 소각재는 수분까지도 거의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바로 매립이 가능한 정도에 이르렀다. 환경부에서 발행한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2015년도 수정본)에 따르면 소각과정에서 발생된 연소재의 일일배출량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소각재를 매립하는 방법 외에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매립지의 수명연장은 물론 효율적인 재활용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소각재는 현행 폐기물 관리법상 중금속 농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일반폐기물로 관리되고 있었으나 유해성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따라서, 소각재에 들어있는 유해중금속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낮추면 다른 분야에서 즉각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재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각재의 처리 실태를 알아보고 재활용되고 있는 방법들을 검토, 비교하고 현재 유동상식 소 각로에서 배출되는 폐유동사의 재생골재로의 재활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추가적으로 유동상식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보일러재와의 배합 가능성, 그리고 성분분석을 이용한 함유성분의 함량과 재활용 목표의 관계도 연구하였다. 이는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재활용 방법과 새롭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서 원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것들을 대체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원재료만큼의 효율이 나온다면 원가절감은 물론 폐기물 재활용, 나아가서는 자원재이용에 따른 환경문제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도금폐수 처리공정 중 BPC 단위공정 내 ORP 및 pH 운전조건별 도금폐수의 Ni 및 T-P 제거특성

        정병길 ( Byung-gil Jung ),이승원 ( Seung-won Lee ),윤권감 ( Kwon-gam Yun ),정진희 ( Jin-hee Jeong ),최영익 ( Young-ik Choi ) 한국환경기술학회 2020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21 No.6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Ni and T-P and to derive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NaOCl injection methods by using ORP and pH for raw wastewater from the break point chlorinaton(BPC) unit process in the plating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he coagula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using a Jar tester. After the coagulant tests, the supernatant water in the samples was filtered with a filter paper, and the concentration of Ni and T-P were analyzed using an ICP-OES analyzer. The removal efficiencies of Ni according to the polymer dosage at pH 10.0, 10.5 and 11.0 were 6.2 %, 1.8 % and 0.9 %, respectively. It showed the highest Ni removal efficiency at pH 10.0. The Ni removal efficiencies of raw wastewater by the continuous NaOCl injection method at 400 mV, 700 mV, 750 mV, 800 mV and 850 mV were 55.7 %, 86.6 %, 89.5 %, 94.0 % and 95.0 %, respectively. Also, the T-P removal efficiencies in the same condition were 10.8 %, 34.6 %, 51.2 %, 70.6 % and 88.5 %, respectively. Therefore, the proper ORP value considering the removal efficiencies of Ni and T-P was determined to be 800 m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