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화 이후 노동자 저항의 궤적과 집합행동의 레퍼토리: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1987-2016

        유형근 ( Yoo Hyung-geu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7 산업노동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저항사건분석’의 방법론을 사용해 민주화 이후 30년간 울산지역 노동자 집합행동의 궤적과 그 양상에 대한 정밀한 지도를 그렸다. 이를 통해 얻어진 주요한 발견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동자 집합행동의 빈도와 규모, 요구와 표적의 측면에서 살펴본 울산지역 노동자 저항의 궤적은 기존의 노동체제론의 시기 구분과 유사한 모양새를 보였다. 특히 87년 노동체제의 해체가 가속화된 포스트-외환위기의 시기에 저항의 궤적은 그 이전과 크게 달라졌음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업종과 부문, 고용형태에 따라 노동자 저항행동의 시기별 분포의 조감도를 보면, 포스트-외환위기 시기에 노동운동 주체의 변화가 분명해지고 있었다. 그 변화는 제조업에서 비제조업으로,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1차 노동시장 종사자로부터 2차 노동시장 종사자로의 저항 주체의 이동으로 요약된다. 마지막으로, 집합행동 레퍼토리의 변동과 그 특징을 분석한 결과, 2000년대 중반 이후 ‘1987년 세대’의 노조운동과 ‘1998년 세대’의 노조운동 간에는 저항행동 패턴에서 차이가 분명해졌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울산지역 노동운동은 조직화 시기가 다르고, 업종과 부문 및 노동시장 지위에서 구별되며, 집합행동 레퍼토리에서 분명하게 차이가 나는 ‘두 개의 노조운동 세대’가 병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한국 노동운동의 세대교체와 관련하여 주요 발견점이 던지는 함의를 토론하면서 글을 맺는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regional labor movements for 30 years since democratization, using ‘protest events analysis’ methods based on data from workers’ protest events in Ulsan city.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trajectories of the 30 years of labor protests are a similar shape to the period division of the Korean labor regime theory. Specially, the labor protests’ trajectories of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has greatly changed since the past. Second, the diachronic distribution of labor protests shows that the change in the subject of labor protests has been evident during the period of ‘post-Financial Crisis.’ The changes are summed up as shifting from secondary to tertiary industry, or from regular to irregular workers. Third,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repertoires of labor protest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has been also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protest actions between the union movement of the ‘1987-generation’ and that of the ‘1998-generation.’ While the former’s repertoires of protest have become increasingly moderate and modular, the transgressive repertoires of protest prevail among the latter’s collective actions. In conclusion, nowadays in Ulsan city, there coexist two generations of labor movements that differentiate between unionization periods, industrial sectors, labor market status, and the patterns of collective action.

      • KCI등재

        현대자동차 비정규직의 정규직 되기: 투쟁과 협상의 변주곡, 2003-2016년

        유형근 ( Yoo Hyung-geun ),조형제 ( Jo Hyung-je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7 산업노동연구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화 투쟁과 협상 과정을 사회운동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성과와 한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2003년 비정규직 노동조합이 설립된 이후 현대자동차 사내하청 노동자들은 노사관계의 제도적 틀 바깥에서 불법파견 정규직화 요구를 제기하며 현대자동차를 상대로 투쟁과 협상을 지속했다. 이에 대해 현대자동차는 애초 견지하던 `문제의 부인`에 입각한 대결적 태도에서 벗어나 점차`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의 자세로 이동했다. 결국 2016년 초 6천 여 명의 사내하청 노동자의`특별 고용`이라는 운동의 성과가 만들어졌다. 이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우리는 비정규직 노동운동을 둘러싼 동맹/갈등 체계의 변화와 저항의 사이클을 기준으로 3개의 시기를 구분하였고, 각 시기별 동맹 체계 내의 협력-갈등 관계, 비정규직 운동과 갈등 체계와의 대결-협상관계, 동맹/갈등 체계 사이에서 등장한 유력한 중재자의 역할 등을 통해 비정규직 노동운동의 궤적을 살펴보았다. 사내하청 노동자의 `특별 고용`으로 귀결된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운동은 그 가시적성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를 드러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요구는 결국 `정규직되기`로 수렴되었고, 정규직 노조의 동맹 체계로부터의 이탈이 나타났으며, 정규직 전환의 결과 비정규직 노동조합은 소멸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 종합적 평가를 통해 우리는 6천여명의 사내하청 노동자의 `특별 고용`이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문제의 완전한 해결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현대자동차 생산 현장의 비정규직 문제를 제기하며 글을 마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struggle and bargaining for the change of the employment position of the irregular (in-house subcontracted) workers being at work in the Hyundai Motor Company (HMC) plants into the status of the regular employee of the company, and evaluate the results and limitation of the irregular workers` movement. Since the unionization of irregular workers in 2003, they have carried on the struggle against and the bargaining with the HMC, over the past 10 years and more, making claims for abolishing `illegal temporary agency work` and for converting their positions into the regular ones. The HMC have gradually altered a confrontational stance against the workers` claim at the early stage, into the bargaining relationship with irregular workers` union. Eventually, the collective agreement on the `special hiring` of about six thousands irregular workers by the HMC was reached in 2016. We attempt to analyze in depth the overall process by dividing three phases of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liance and conflict system, and the cycle of protests of irregular workers. Furthermore, we try to trace the long and winding path of the movement, focusing on the cooperation/conflict relationship within the movement`s alliance system, the confrontation/bargain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and the conflict system, and the critical roles played by mediators (or third parties) between two systems. In the conclusion of the paper, we evaluate the results and limitation of the irregular workers` movement up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points; the convergence of the workers` demands into the prime goal of `becoming HMC`s regular employee,` the breakaway of regular workers` union from the movement`s alliance system, and a virtual extinction of irregular workers` union after the final labor-management agreement of 2016.

      • KCI등재

        한국의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을 어떻게 보는가?

        유형근(Hyung-Geun Yoo)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7 産業關係硏究 Vol.27 No.1

        이 연구는 한국의 임금노동자들이 갖고 있는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노조 태도를 노조 효능성 인식 및 노조의 분배 기능 인식으로 구성된 친(親)노조 태도와, 노조활동이 경제성장을 저해한다는 인식 및 파업에 대한 혐오의 태도로 나타나는 반(反)노조 태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노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의 노사관계와 노동시장 현실을 염두에 둔 가설을 제시하고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015년에 실시한 전국조사 자료이다. 주요한 발견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 기업규모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분절뿐만 아니라 인식의 분절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둘째, 노동자의 계급의식이나 친복지 의식은 노조 우호적 태도와 강한 연관성을 갖는다. 셋째, 자발적 결사체 참여와 반노조 태도는 유의미한 부(-)의 관계를 보였다. 넷째, 노조 가입 여부와 임금수준은 예상과는 다르게 노조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전체적으로, 한국의 임금노동자들에게 노조의 효능성 인식이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할 때, 노조 가입에 대한 잠재적 수요가 많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반노조주의 성향도 꽤 크게 나타나며, 특히 중소영세기업, 저학력・블루칼라 노동자들에게서 강한 반노조 태도가 관찰된다. 이것은 향후 노조조직률을 높이거나 노조의 사회적 영향력을 제고하는 데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orkers’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 labor unions in contemporary Korea using data collected by a national social survey in 2015. This study divided union attitudes into two categories, namely pro-union and anti-union attitudes. In order to identify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union attitudes, theoretical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with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ummary of key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size of enterprise was a major factor on differences in union attitudes. Compared to workers in large companies, employees in small businesses are highly critical to the labor union. Second, both workers’ class consciousness and their pro-welfare attitud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itive attitudes on labor union. Thir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n voluntary associations and the anti-union attitudes show a negative relationship. This means that the activation of civic engagement could significantly weaken the anti-unionism. Finally, labor union membership status and wage levels have a limited impact on union attitudes. Overall, given that the perception of the union efficacy appears to be very larg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potential demand for unionization is huge. However, there is a strong anti-union propensity among employees in small-and-medium sized companies, low-educated workers, and blue-collars workers.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actual difficulties in raising organizing rate or enhancing the social influence of labor un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Who Deserves Relief in the Market Society?

        Yoo, Hyung-Geun(유형근)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7 No.3

        이 논문은 영국의 1834년 신구빈법 제정을 둘러싼 담론과 국가행정을 분석하여 그것에 내포된 사회정책의 이념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국의 신구빈법은 국가권력이 자본주의적 노동시장의 자유로운 운영을 강제하기 위해 사회문제에 개입하는 전형적 사례였다. 신구빈법은 시장이 진정한 복지의 제공처가 되어야 한다는 전제에 기초했는데, 이 전제는 노동능력이 있는 남성의 극빈상태와 미혼모를 문제로 정의하는 것에서 논리적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 정의와 그에 따른 해결책은 당시 정치경제학과 행정개혁의 담론 속에서 경제학적 또는 가족적 용어로 인식되었고, 도덕적 문제로 규정되었다. 한편으로, 개인주의와 자유로운 시장사회에 대한 신념이 지배적인 사회적 가치로 작용했던 당시에, 빈곤의 주요 원인은 성격적 결함으로 지목되었고, 그러한 결함의 치유책은 신구빈법에 나타난 ‘열등처우의 원칙’으로 집약되었다. 다른 한편, 가족부양의 원리와 관련해 신구빈법은 남성 생계부양자 가족모델을 규범화했는데, 이것은 신구빈법에 의해 규정된 ‘빈민’이 (남성) 시민의 타자로 규정됨을 의미했다. 이러한 신구빈법의 이념적 원리들은 현대의 보수주의자들에 의해 선호되는 오늘날 ‘잔여적 복지모델’과 상당한 공통점을 지니며, 이런 점에서 아직 우리에게는 신구빈법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고 말할 수 있다. The New Poor Law of 1834 in England shows us that a central authority intervened in social affairs in order to enforce the free play of capitalist market forces. To this end, the New Poor Law embodied positive economic functions and negative welfare functions, for it was based on the proposition that men could and ought to find their true welfare only in the economic market. This proposition was derived logically from definition of the problem as being particular to able-bodied male pauperism and single mothers. Both problem and solution were conceived of in economic or familial terms, and the cause of the problem was identified as a moral one. As long as individualism and faith in the free market society were dominant social values, stress remained on character deficiency as the main source of poverty, and the remedy for this deficiency was ‘less eligibility.’ It is possible that we now in the shadow of Poor Law, which had much in common with the profoundly ‘residual welfare model,’ that underpinned the idea of the poor as a race apart, favored by current conservatives.

      • KCI등재

        청년 불안정노동자 이해대변 운동의 출현과 성장

        유형근(Hyung-Geun Yoo)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5 亞細亞硏究 Vol.58 No.2

        This article explains the advent and growth of the labor rights movements of youth precarious worker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with a case study on the Youth Community Union (YCU) and the Arbeit Workers" Union (AWU). Leaders of both organizations have defined the contemporary youth generation as precarious workers, and have developed a new type of labor movements for representing their labor rights. First, this paper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ir emergence, the process of their organizational growth and their main campaigns against social inequalities, which have embraced both struggles for redistribution and for recognition in support of youth precarious workers. Second, we identify the originality of this method of interest representation.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weapons of trade union movements, the YCU and the AWU have achieved successful movement outcomes by means of mobilizing the power of the public sphere, through which they have been able to overcome the structural problems of representing youth precarious workers, who usually are isolated in low-wage service sectors. Finally, this article attempts to compare the two labor rights organizations with community unions in Japan in order to mak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our case more clear. In conclusion, we emphasize that the labor-rights movement experiments of the YCU and the AWU will serve to increase the interest-representation capacities of labor union movements in South Korea.

      • KCI등재

        20세기 울산의 형성과 역사적 변천

        유형근 ( Hyung-geun Yoo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5

        이 논문은 20세기 울산의 형성과 변천의 과정을 공업도시, 기업도시, 노동자도시를 키워드로 하여 역사적인 시각에서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 울산은 멀리는 1930년대 후반 일본인 자본가와 식민국가의 구상에서, 가깝게는 1960년대 초반 군사정부의 경제개발계획에서 계획적 ``공업도시``로 선택되었다. 신흥공업도시로 성장하던 울산이 큰 변화를 겪은 것은 1970년대부터 시작된 현대그룹의 막대한 자본 투자가 주요한 계기였다. 울산은 ``현대시``라는 별칭으로 상징되는 ``기업도시``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그러나 기업도시 울산의 지역사회 지배양식은 대단히 형식적인 것에 머물러 있었다. 이러한 상태가 깨지고 새로운 지역사회 관리양식의 필요가 나타나게 된 계기는 노동자대투쟁과 그에 따른 노사관계의 민주적 전환이었다. 이를 계기로 울산은 ``노동자도시``라는 새로운 정체성이 구성되었다. 그러나 대기업정규직 노동자들은 ``현대시``의 외부자로부터 내부자의 지위로 상승하여 그들은 점차 기업공동체의 일원으로 편입되어 갔고, ``현대시``를 통치하는 대기업의 헤게모니는 강화되었다. 노동의 분할과 기업의 헤게모니는 상호 강화의 과정을 밟았다. 노동자도시로서의 울산이라는 정체성은, 국가에 의해 탄생한 공업도시로서의 울산 그리고 특정 대기업의 지배를 의미하는 기업도시로서의 울산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도전과 저항을 통해 형성되었으나, 현재의 시점에서 그러한 상징이 내포했던 정치적 잠재성은 노동의 분할에 의해 쇠락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specify the formation and historical changes of Ulsan which has been characterized as an industrial city, company town, or w orkers`` city. Modern Ulsan was i nitially selected for a planned industrial city by a Japanese entrepreneur with the strong support of Japanese colonial state in late 1930s. In line with this, military government of Park Chung-hee developed Ulsan as the first industrial complex of the Korean economic development planning in 1960s. During 1970s Ulsan began to undergo a series of changes since Hyundai conglomerate started to invest in its heavy industries at Ulsan. For that reason, a company town - so called ``Hyundai City`` - was created and expanded in Ulsan. However, local control regime of the company town was very weak and one-sided before the Great Workers`` Struggle of 1987. Since then, a sense of local identity of ``workers`` city`` was constructed in the wave of labor protests and workers`` movement. However, industrial workers employed by large factories in the Hyundai conglomerate were incorporated within the enterprise community at the expense of the division of workers and the demise of class unity. In recent years, while the local hegemony of large en terprises in the company town was strengthened, the power of political challengers against it was diminished. Consequently, the identity of ``workers`` city`` has been steadily diluted.

      • KCI등재

        영국 노동조합의 조직화 전략과 조직 변화: 조직화와 관리주의의 동거?

        유형근 ( Yoo Hyung-geu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24 산업노동연구 Vol.30 No.1

        이 글은 영국노총 주요 가맹노조의 조직화 전략의 주요 요소와 특징을 살피고, 그에 따른 내부 조직 변화의 양상을 파악한다. 분석의 결과, 조직화 전략 추진을 계기로 관리주의가 노조 조직 운영의 지배적 담론과 기술로 확산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관리주의는 대개 중앙집권적/하향식 관리 시스템, 전략적 계획과 성과관리기법의 적용, 전임간부의 관리자화 등의 모습으로 구체화되었다. 조직화 사업을 계기로 관리주의가 확산한 것은, 영국에서 조직화 사업이 현장의 자발적 활동가의 감소와 이에 따른 노조의 사업장 대표성 약화라는 허약한 기초에서 추진되었기 때문이었다. 결국 노조 리더십은 중앙집권성을 강화하여 조직화 전략의 성과를 극대화할 방법으로 관리주의의 도입을 선택했다. 관리주의와 결합된 영국 노조의 조직화 전략은 조합원 모집의 성과를 일정하게 거두었지만, 대처리즘의 공세 이후 지속되고 있는 영국 노조운동의 쇠퇴를 반전시킬 동력을 만들어내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scrutinizes the princip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strategies employed by major affiliated unions of the Trades Union Congress (TUC) while discerning the resultant internal organizational changes. The examination reveals the ascendancy of managerialism as the predominant discourse and technique shaping union governance in the aftermath of implementing organizing strategies. Managerialism manifests through centralized and top-down management structures, the application of strategic planning, performance management techniques, and the managerialization of full-time officers. The prevalence of managerialism in the post-organizing phase is attributed to the weakened foundation stemming from declining voluntary activists and diminishing union representation in the workplace. Union leadership, faced with these challenges, opted for the adoption of managerialism as a means to enhance centralization and optimize the efficacy of their organizing strategy. While the amalgamation of organizing strategies and managerialism has demonstrated some success in member recruitment, it is contended that it has not generated sufficient momentum to reverse the declining trajectory of the union movement since the 1980s.

      • KCI등재

        노동조합 임금정책의 점진적 변형

        유형근(Hyung-Geun Yoo)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4

        이 논문은 자동차산업을 사례로 한국의 노동조합 임금정책에서 발견되는 제도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고 그것을 역사적 제도주의의 시각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노동조합의 임금정책은 임금극대화와 임금평준화를 전략적 목표로 하는데, 한국의 경우 민주화 이후 노사관계의 전환국면에서 기업별 교섭을 통한 임금극대화와 기업 내부적 임금평준화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이후 노동조합의 임금정책은 기존의 제도적 관행이 지속되어 단절적 변화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임금정책의 여러 하위 요소들은 점진적 제도 변화의 과정을 겪었다. 임금극대화 측면에서는 생계비 임금론의 효력이 줄어들었고, 기업 내 임금평준화 측면에서는 기존의 임금형평성 원리의 한계가 드러났으며, 조율되지 않은 기업별 교섭의 사회적 부작용이 커졌다. 이러한 점진적 제도 변화의 과정은 각각 병치, 기능 전환, 그리고 표류의 양상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한국노사관계 제도의 연속성 이면에서 나타나는 점진적이지만 변형적인 결과를 야기하는 변화의 계기들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trajectories of institutional changes in the labor union wage policy of Korean automotive sector from a historical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While unions have usually set wage-share maximization and wage leveling as the main goals of their wage policy, in the Korean context of post-democratic era there has been the wage-share maximization through fragmented wage bargaining and the wage leveling among enterprise union membership. Despite considerable continuity in union wage policy, its institutional components have been gradually changed since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both of the principle of cost-of-living in demand for wage increase and the norms of pay equity have been ineffective or undermined over time, with gradually increased side effects caused by uncoordinated wage-bargaining practices. We identify the modes of gradual institutional changes as the process of layering, functional conversion and drift.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explore in detail the moments of gradual and transformative changes beneath the continuity of industrial relations institutions.

      • KCI등재

        금속산업 사내하청 노동자 투쟁의 난관과 운동의 분화

        유형근 ( Yoo¸ Hyung-geu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20 산업노동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최근 금속산업의 사내하청 노동자의 조직화가 과거와는 다르게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최근의 조직화 시도의 특징이 무엇이며, 왜 그러한 특징들이 나타나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호 연관된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제기했다. 첫째, 2000년대 초중반 활성화되었던 금속산업의 사내하청 노동자 투쟁을 다시 분석해서 당시 투쟁의 주요 요구였던 비정규직 철폐와 정규직화가 실현될 수없었던 구조적 원인을 찾고자 했다. 둘째, 최근 조직화에 성공한 사내하청 노조들은 과거의 투쟁들이 직면했던 제약 요인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설명하고, 최근의 사내하청 노조운동의 분화 양상을 비교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년대의 금속산업 사내하청 투쟁은 원청기업의 사용자 책임을 부정하는 제도적 제약 하에서 기존 공장체제의 변화와 재구성을 요구하며 그 질서와 충돌했다. 이로 인해 당시 사내 하청노조의 권력자원 확장은 근본적으로 제약 받았다. 하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 사내하청 노조운동의 상황이 크게 변화했다. 조직화의 규모가 증가했고 조직화가 이루어진 업종이 이전에 비해 다양해졌다. 이러한 최근 변화는 법률적 제약과 공장체제내의 난관이 여전한 가운데 출현한 것으로, 이 논문은 최근의 조직화 시도들이 그제약과 난관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면서 세 가지 운동 모델로 분화하고 있다고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in-house subcontract workers’ organizing efforts in the metal industry, noting that the recent union organizing campaign has achieved considerable results. To this end, two interrelated research topics were raised. First, we wanted to re-analyze the subcontracting workers’ struggle in the metal industry, which was activated in the early and mid-2000s, to find structural reasons for the failure to realize the abolition of irregular workers. Second, this paper tried to explain how recently organized labor unions overcame the structural difficulties,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union movements of subcontract work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truggle of subcontract workers in the 2000s emerged as a movement calling for changes and reconstruction of the existing factory regime. The struggle also clashed with the existing factory regime under institutional constraints denying the de facto employer’s responsibilities. This served as a challenge limiting the expansion of power resources for subcontract workers. However, the situation of the subcontract workers’ movements has changed significantly since the mid-2010s. This new phenomenon has emerged with legal and structural constraints still existing. The paper analyzes that the recent organizing attempts are successful in adapting to the structural constraints, and are differentiated into three peculiar models. Therefore, today's situation can be evaluated as having higher adaptability and viability of subcontract workers’ movements compared to the past.

      • KCI등재

        Militant Labor Unionism and the Decline of Solidarity

        Hyung-Geun Yoo(유형근)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2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1 No.2

        Based on a case study of labor unionism at Hyundai Motor Company (HMC), this article explores the changing features of militant labor unionism at leading large firms in South Korea’s export sector. Militant unionism at HMC has been shaped in the overall context of the confrontational nature of industrial relations and the strong workplace bargaining power of labor unions during the transition to democracy. Even after the company has grown into a global automaker and the living standards of workers significantly improved, labor protests and strike actions still prevail. Since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however, the aim of labor militancy has shifted dramatically from class solidarity among various types of workers to social closure in order to defend the narrow economic interests of the labor union members. This study concludes that “labor militancy without solidarity” comes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unionism at leading large firms in South Korea in the era of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