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막유화법을 이용한 단분산성 실리카-루비덤<sup>®</sup>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 및 잠열 특성

        김수연,정연석,이선호,유진오,염경호,Kim, Soo-Yeon,Jung, Yeon-Seok,Lee, Sun-Ho,You, Jin-Oh,Youm, Kyung-Ho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5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2 No.2

        최근들어 에너지 고갈로 인해 에너지 저장 및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 지고 있다. 이로 인해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 및 이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G막(Shirasu porous glass membrane)을 통한 막유화법을 이용하여 상변화 물질인 파라핀계 루비덤$^{(R)}$ (RT-21과 RT-24)을 분산상으로 하여 단분산성 마이크로 입자를 제조하고, 외부를 실리카로 코팅하여 열정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열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단분산성 루비덤$^{(R)}$ 입자의 제조를 위해 분산상 압력, 유화제 농도, 루비덤$^{(R)}$과 실리카의 비율을 변수로 하여 평균 입자 크기 $7-8{\mu}m$를 얻었다.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와 Thermogravimetry analysis (TGA)를 이용하여 열적 안정성과 잠열 등의 열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Particle size analyzer (PS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optical microscopy를 이용하여 입자 분포와 캡슐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한,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를 통하여 정성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막유화법을 이용하여 얻은 실리카 코팅된 단분산성 루비덤$^{(R)}$ 입자는 향상된 열적 안정성을 보였으며, 순수한 루비덤$^{(R)}$의 80% 이상의 잠열을 유지하는 것을 보여 기존의 상변화 물질의 상안정성을 보완하여 열저장성 기능성 벽지와 건축물, 인테리어 제품에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energy saving and alternative energy is significantly increasing due to energy depletion and the phase change material (PCM) research for saving energy is also actively investigating. In this research, the membrane emulsification using SPG membrane was used to make various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MPCM) particles which were comprised of $Rubitherms^{(R)}$ (RT-21 and RT-24) core and silica coating. We investigated the pressure of the dispersion phase, the concentration of surfactant, and the ratio of $Rubitherm^{(R)}$ and silica to prepare various MPCM particles. The DSC and TGA were used to examine the heat stability and latent heat properties. Also, PSA, SEM, and optical microscopy were used to confirm the size of $Rubitherm^{(R)}$ particles and the thickness of silica shell. The average of particle size was $7-8{\mu}m$. And, FT-IR was also used to enforce the qualitative analysis. Finally, the MPCM particles obtained from membrane emulsification showed monodispersed size distribution and the heat stability and latent heat were kept up to 80% compared to pure $Rubitherm^{(R)}$. So,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wallpaper, buildings and interior products for energy saving as PCMs.

      • KCI등재

        자율이동로봇을 위한 동적 경로 계획 방법

        윤희상(Hee-Sang Yoon),유진오(Jin-Oh You),박태형(Tae-Hyoung Park)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8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4 No.4

        We propose a new path planning method for autonomous mobile robots. To maximize the utility of mobile robots, the collision-free shortest path should be generated by on-line computation. In this paper, we develop an effective and practical method to generate a good solution by lower computation time. The initial path is obtained from skeleton graph by Dijkstra"s algorithm. Then the path is improved by changing the graph and path dynamically. We apply the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into the stage of improvement.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 다량의 균일한 액적 제조를 위한 분리막 기반 미세유체 소자 시스템

        장문배, 유진오, 염경호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13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27 No.2

        In this study, we designed the microfluidic device system based on the separation membrane for generating monodisperse emulsion droplets with diameters ranging from hundreds of nanometers to several micrometers. To generate fine droplets, T-junction and flow-focusing geometry are integrated into the microfluidic channel. Also put the membrane into the microfluidic device to make droplets effectively. PDMS devices can be easily, quickly, and inexpensively fabricated with superb resolution. However, PDMS devices are swelled other organic solvent. So we could produce droplets using fluorocarbon oil. The droplet size wa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flow ratio between continuous phase flow and dispersed phase flow and also membrane pore size

      • SCOPUSKCI등재

        막유화법을 이용한 Ca-alginate Microparticle 약물수송체의 제조와 약물방출특성

        박성배,김우식,김중현,박함용,함승주,유진오 한국화학공학회 1999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7 No.5

        최근까지 연구가 진행되어온 bead 형태를 가진 약물수송체는 크기가 큼으로 인해서 약제 투여 방식에 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막유화법을 이용하여 반응기의 압력과 sodium alginate의 농도 변화에 따른 alginate microparticle 약물수송체를 제조하였다. 수송체내의 약물로는 양이온성 약물인 lidocaine·HCl, 비이온성 약물인 4-acetamidophenol, 음이온성 약물인 sodium salicylate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이온 강도 0.2의 pH 2, pH 7인 인산완충용액내에서 방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막유화법에서 alginate의 농도가 2 wt%일 때, 압력은 0.4×10^5 Pa일 때 가장 단분산적인 microparticle을 얻을 수 있었다. 약물의 이온성에 따른 방출 결과는 양이온성 약물이 음이온성 약물보다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alginate의 카르복시기와 양이온성 약물의 이온성 결합 때문이다. pH 2와 pH 7의 완충용액에서의 방출 결과는 pH 2에서 많은 지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카르복시기와 완충용액내의 H^+, Na^+에 의한 해리도의 차이 때문이다. 이로써 bead 크기의 수백분의 일인 microparticle이 민감한 pH 반응성을 보이므로 그 자체를 약물수송체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제약 투여 방식에 유리하게 응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onventional alginate bead has been limited to be used as a drug carrier because of its large siz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large-size alginate drug beads, Ca-alginate microparticles were prepared using membrane emulsification method controlled with the sodium alginate concentration and the pressure of reactor. The optimal monodispersed microparticles were obtained with the concentration of 2 wt% alginate solution and the pressure of 0.4x10^5 Pa. The mean size of our prepared microparticles was about 4 ㎛. As the drug solutions, lidocaine HCl(cationic), sodium salicylate(anionic) and 4-acetamidophenol(nonionic) were selected. These three different drugs were loaded in the drug carrier of prepared alginate microparticles. Drug releases were performed in the sodium phosphate buffers of pH 2 and pH 7 and ionic strength of 0.2. The release behavior with the variation of drug charge showed that of the cationic drug release was retarded more than anionic one due to the ionic interaction between carboxyl group of alginates and positive charge of cationic drug. From the comparison experiments of the buffers of pH 2 and pH 7, the release was much retarded at pH 2 buffer due to the ionic repulsive force or ionic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carboxyl group and the hydroxy or sodium ion in the buffer. Conclusively, the usage of small-size pH sensitive microparticle as a drug carrier has a high potential for the application of drug delivery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