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슬링을 이용한 신경근 훈련이 중년여성의 상지기능장애 회복에 미치는 효과

        유진영 ( Jinyoung You ),김은국 ( Eunkuk Kim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9 스포츠사이언스 Vol.36 No.2

        목적: 본 연구는 40∼69세의 중년여성에서 슬링을 이용한 신경근 훈련과 복합운동이 상지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슬링을 이용한 신경근 훈련과 복합운동그룹 (n=6, NM+Complex)과 복합운동 그룹(n=6, Control)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는 4주 동안 진행되었다. NM+Complex그룹은 슬링을 이용해서 신경근 운동을 주 2회, 자세를 5∼8초간 유지하여, 8회씩 3세트 실시하였으며, 스트레칭은 부하 없이 천천히 15회씩 3세트 실시하였고, 저항 운동은 주 1회 15RM의 부하로 15회씩 3세트 실시하였다. Control그룹은 저항 운동을 주 3회 15RM의 부하로 15회씩 3세트 실시하였고, 스트레칭을 부하없이 천천히 15회씩 3세트 실시하였다. 트레이닝 전, 후의 상지 통증은 DASH 설문지로 관절가동 범위는 측각기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 NM+Complex그룹의 양측 견관절가동범위 증가는 굴곡에서 측정시기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우측:p=.001, 좌측:p=.003), 좌측 견관절에서 외전(p=.030)과 내회전(p=.030)에서 측정시기에 따른 가동범위 증가에 차이가 있었다. 2. Control그룹의 양측 견관절 가동범위의 증가는 굴곡(우측:p=.027, 좌측:p=.005)과 외전(우측:p=.029, 좌측:p=.009)에서 측정시기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좌측 견관절에서 신전(p=.026), 내회전(p=.028)에서 측정시기에 따른 가동범위 증가에 차이가 있었다. 3. DASH 설문지로 통증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NM+Complex그룹은 측정시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Control그룹은 측정시기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043). 그룹 간의 차이는 없었다(p=.235). 결론: 두 그룹 간 견관절 가동범위 증가와 통증의 감소의 차이는 없었다. Control그룹에서 견관절 신전의 측정시기에 따른 관절가동범위의 증가와 통증 감소가 나타나 견관절 신전의 가동범위의 회복과 통증의 감소를 위해서는 복합운동만을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나 복합운동만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 견관절의 굴곡과 외전, 내회전에서 관절 가동범위 증가를 위해 슬링을 이용한 신경근 훈련을 대체하여 적용한다면 견관절 가동범위 증가를 위해 유용할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based on age of 40 to 69 women to prove the effects of neuromuscular training and complex training on upper-extremity pain with joint range of motion. Method: We had a NM+Complex group (n=6, age range 50.50±8.76), and a Control group (n=6, age range 59.83±6.43). NM+Complex group executed both neuromuscular training and complex training, but Control group only worked out the complex training. These neuromuscular training and complex training were by sling exercise, twice a week; each time 8 movements with 3 sets, maintain posture for 5 to 8 seconds. Stretching exercise operated without any loads, 15 times slowly with 3 sets. Resistance exercise operated once a week with 15RM load, 15times with 3 sets. Comparison before and after upper-extremity pains by DASH Score, and joint range of motion by goniometer. Result: Firstly, in the NM+Complex group, right and left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ime interval for measurement on flexion. In case with only left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increase, it showed the difference with time interval for measurement on external and internal rotation. Secondly, in the Control group, left shoulder range of mo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ime interval for measurement on flexion and external rotation. If only left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increase, it showed the difference on extensor and internal rotation. Lastly, upper-extremity pain differences by DASH Score showed no big differences on NM+Complex group,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40 to 69 age of women, to release upper-extremity pain and increase joint range of motion, just taking a complex training is not quite efficient than taking both neuromuscular training and complex training.

      • KCI등재

        하부승모근 강화 운동이 엘리트 양궁선수들의 통증, 기능 및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은국 ( Eunkuk Kim ),김진호 ( Jinho Kim ),유진영 ( Jinyoung You ) 대한스포츠의학회 2020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8 No.3

        Purpose: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8-week lower trapezius strengthening exercise (LTSE) on shoulder pain, function and archery performance. The secondary aim was to identify main factors that have something to do with injury prevention and performance enhancement for elite archers. Methods: Thirty-one elite archers were recruited and evenly assigned into the LTSE group (n=16) and into the control group (n=15) based on gender and athletes’ career. Shoulder pain was evaluated using Numeric pain rating scale (NPRS). Shoulder function was assessed using the Western Ontario Shoulder Instability Index (WOSI), upper quarter Y balance test (UQYBT), Trapezius and Deltoid muscle activity ratios by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the angle of scapula elevation/abduction by 3-dimentional motion analyses. Archery performance was estimated using draw force line (DFL) angle at full bowstring draw position and the scores acquired from real archery shooting. After the baseline measurements, the 8-week LTSEs were implemented and the post-exercis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Results: In the LTSE group, NPRS score and WOSI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The activity ratio of upper to lower trapezius muscle, scapula elevation angle and the DFL angle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UQYBT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on both shoulders. Conclusion: Eight weeks of LTSE has reduced shoulder pain in archers and improved shoulder function and performanc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