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지안(Yoo, Ji-An),문선영(Moon, Seo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층간소음을 다룬 국내 창작 그림책의 갈등구조를 분석하여 층간소음을 다룬 그림책이 층간소음 예방과 층간소음을 대하는 아동들의 생각 및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고찰하고 활용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내에 출판된 층간소음을 다룬 창작 그림책 11권의 글텍스트와 그림텍스트를 중심으로 그림책에 나타난 층간소음의 갈등주체, 갈등상황, 갈등해결전략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대표 사례를 추출하였다. 결과 그 결과, 갈등주체는 동물보다는 사람이, 여자보다는 남자가 많이 그려졌으며 이웃관계에서의 갈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상황에서의 원인은 놀이소음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갈등 정도는 글 텍스트에서 의성어로 가장 많이 표현되었다. 갈등해결을 위하여 부정적인 전략보다 긍정적인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갈등종결이 나타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실제 유아들의 삶과 밀접한 층간소음 갈등이 담긴 그림책을 분석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flict structure in picture books with the theme of interlayer noise and to examine how picture books dealing with interlayer noise affect children s thinking and behavior in preventing and coping with interlayer noise. Methods For this purpose, 11 creative picture books dealing with interlayer noise were selected, and conflict subjects, conflict situation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the picture books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picture books were calculated and representative cases were extracted. Results As a result, the subjects of conflict were more people than animals, and more men than women.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flict in the neighbor relationship was the most frequent. In conflict situations, noise from play was the biggest cause of conflict, and the frequency of conflicts expressed in onomatopoeia was the most frequent in the text. It can be seen that there were more positive strategies than negative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and there were more cases of conflict resolution than non-negative strategi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neighbors was established through the conflict structure and solutions that appeared in the picture book dealing with interlayer noise. And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that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by analyzing picturebooks containing interlayer noise conflict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children.
유지안(Yoo, Ji An),이혜정(Lee, Hye Jeong),김은심(Kim, Eun Shi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격오지에서 거주하는 군인아내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과 그에 따른 어려움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G도에 거주하고 있는 군인아내 8명을 목적 표집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군인아내는 군인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경제적 안정감을 느끼나 혼자 자녀양육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격오지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기에 긍정적이나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군인아내는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를 대부분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혼자 해결하나 관사생활로 공동체적 생활과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군인아내라는 특수한 상황에 처한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herefore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challenges of a wives of soldier who are striving in the process of raising a child. The object of study are the 8 soldier’s wife who live in G province and they are interview intens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soldier’s wives feel proud of the husband’s job and economic stability, but feels the burden of raising children by themselves. Second, to raise children in remote area from city seemed to be positive but to educate them who goes to schools seemed to be difficult. Finally, soldier’s wives appear to solve educational issues about raising children by using Internet themselves and seems to experience the life of community and social support through military residence liv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we should understand the challenges of mothers who are facing special situation like soldier’s wives and seek the solutions to answer those challenges.
문선영(Moon, Seon-Young),유지안(Yoo, Ji-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국내 번역된 레미쿠르종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 인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레미쿠르종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고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 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0년 5월 7일부터 2020년 7월 22일까지 국내에 번역되어 발표된 레미쿠르종 그림책 6권을 선정하고 유아 인성 덕목에 근거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레미쿠르종 그림책은 ‘자기이해를 통한 개인적 성장’, ‘관계맺기를 통한 공동체 구성’으로 나타났으며, 관계맺기를 통한 공동체 구성은 ‘다른 사람을 존중하여 우정과 사랑의 관계 맺기’, ‘유머로 표현되는 공동체를 구성하기’, ‘열린 결말로 예측하는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레미쿠르종의 그림책은 유아 인성 교육을 위한 내용을 충분히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 인성 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 번역된 레미쿠르종 그림책을 분석하여 레미쿠르종의 작품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유아 인성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personality education displayed in the domestically translated Remi Courgeon picture books to understand the world of Remi Courgeon artwork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personalit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To this end, the contents of 6 picture books of the Remi Courgeon, which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in Korea, were analyzed based on the personality virtues of children. As a result, the Remi Courgeon’s picture book appeared as ‘personal growth through self-understanding’ and ‘community formation through relationships’, and community formation through relationships was ‘respecting others and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and love’, ‘Creating a community expressed in humor’ and ‘sustainable growth predicted by an open ending’.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Remi Courgeon species contains sufficient content for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data that can understand the world of Remi Courgeon works by analyzing the domestically translated Remi Courgeon species and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김은심(Kim, Eun-Shim),유지안(Yoo, Ji-An)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국내 창작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대중목욕탕 공간을 분석하여 의미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중목욕탕이 등장하는 그림책 5권을 선정하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에 나타난 목욕탕 공간은 유아의 놀이욕구를 해소하는 공간, 이웃과 이웃의 경계를 넘어서는 만남의 공간, 현실과 환상을 연결해주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가 경험하는 공간 중 하나인 대중목욕탕이 그림책에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었으며 유아들이 목욕탕 공간과 어떠한 관계맺음을 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가 대중목욕탕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유아의 경험과 관련지을 수 있는지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blic bath space shown in domestic children"s picture books and examine its significance. For this purpose, five picture books with public bath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bath space shown in the picture books became a space for children to relax their desire to play, a meeting place across the boundaries of neighbors and neighborhoods, and a space connecting reality and fantasy.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how the public bath, which is one of the spaces experienced by children, is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was explained. These study results have implications in that they can be used to help children perceive public bath space to understand how it is associated with their experience.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과의 관계
주보라(Bo-Ra Joo),김은심(Eun-Shim Kim),유지안(Ji-An Yoo)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유아의 바깥놀이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신체 활동의 경향과 거친 신체 놀이 유형을 성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고,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27명의 바깥놀이를 8주간 관찰하여 신체 활동의 경향성의 빈도를 산출하였고,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 바깥놀이의 일반적인 신체 활동경향은 거친 신체 놀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거친 신체 놀이는 도망가기와 잡기의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과 자기조절력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동안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던 거친 신체 놀이가 유아들에게 의미 있고 교육적 가치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유아 교사는 유아의 놀이상황을 교사가 깊게 관찰하여 거친 신체 놀이가 단순한 공격적인 행동인지, 교육적 가치가 있는 거친 신체 놀이인지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인식이 필요하다. This study observed young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s and analyzed their general behavior tendencies and the rough-and-tumble play types seen in their outdoor play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rough-tumble play,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eneral tendencies of outdoor plays, the rough-and-tumble play type was seen the most frequently. Second, this study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frequency and leadership. In conclusion, the rough-and-tumble of outdoor play shows some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so teachers are encouraged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values of rough-and-tumble play and to appropriately guide and observe young children so that rough-and-tumble play can be actively done in an outdoor play environment.
김정희 ( Kim Jung-hee ),이혜정 ( Lee Hye-jeong ),유지안 ( Yoo Ji-an ),김은심 ( Kim Eun-sh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북스타트 프로그램 운영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고,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북스타트 프로그램 운영자인 담당사서, 전문강사와 자원봉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북스타트 프로그램은 각 기관에 따라 예산이 다르고, 소속기관과 담당사서에 따라 운영형태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진행의 계획과 운영은 전문강사와 자원봉사자의 재량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스타트 프로그램담당사서는 업무파악과 북스타트 프로그램 관련 행정적 업무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전문강사와 자원봉사자는 수업 운영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유아들의 도서관이용 횟수 증가,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활동 제공,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 증진에 도움을 주는 것에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스타트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본질 찾기, 북스타트 프로그램 홍보, 교재교구 지원, 운영자 대상의 재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북스타트 프로그램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for ways to activate a bookstart program by understanding the perceptions of the administrators who have experience with a bookstart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librarians who were in charge of the the program,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volunteers in that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ookstart program appeared to be different based on the administration, particularly depending on the character, budget and librarian for each affiliated organiz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seem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bility of the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volunteers. Second, the librarians in charge of the bookstart program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administrative work related to the bookstart program, and the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volunteers had difficulti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administrators seemed to think that the children`s program was rewarding because of the increased number of visitations to the library, the activation part of the program that helped infant`s development, and increased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Third, activation of the bookstart program was needed to find the essence of the bookstart program, to promote the program for support of materials and textbooks, and to reeducate the administr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y recognizing what administrators think, we can consider meaningful ways to promote bookstart programs.
영아와 어머니를 위한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
이혜정 ( Lee Hye-jeong ),김은심 ( Kim Eun-shim ),유지안 ( Yoo Ji-a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영아와 어머니의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G시의 교육문화관에서 운영하는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아와 어머니 15쌍 중5쌍(영아 5명,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5주간의 활동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였으며 그룹면담, 면담, 연구자 저널 등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아는 그림책, 어머니, 또래, 그리고 교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는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아이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사회지원 양육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영아와 어머니에게주는 의미를 탐색하여 향후 북스타트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following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oddlers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bookstart program and to find their meaning. To this end, 5 pairs of toddlers and mot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bookstart program in G city education community center were chosen from among a total of 15 pairs. The 15 weeks-period program was recorded in video files. As for the data, video recording, group discussion, personal interview and research papers were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ed data, the experiences of the toddlers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bookstart program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oddler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s a positive-relationship with the drawing books, their mothers, friends of their own age, and teachers. The mother group indicated that they recognized some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and realized the role of a mother from the experience gained from the bookstart program. Additionally, they requested support from the community.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shows how the bookstart program influenced mothers and toddlers as well as why the bookstart program should be widely implemented.
리듬을 활용한 영아동작교육활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문선영(Moon, Seon-young),김은심(Kim, Eun-shim),유지안(Yoo, Ji-a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리듬을 활용한 영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조사로 실시되었으며, 영아동작교육활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은 보육교사 226명에게 웹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교사 변인에 대한 차이는 x²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리듬을 활용한 영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은 주1-2회에 거쳐 회당 10-20분 정도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하였으며, 영아의 집단구성은 개별 활동보다는 대소집단으로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둘째, 리듬을 활용한 영아동작교육 프로그램 계획 시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음악이라고 하였으며,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는 영아가 동작을 탐색한 후 영아 스스로 동작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교사의 요구는 영아의 발달과 특성을 고려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영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며, 특히 리듬을 활용한 영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현장에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basic study for developing mov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rhythm for toddl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s on toddler’s movement education activity using rhythm. For this purpose, a web survey was conducted with 226 child-care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question and differences in teacher variable was analyzed by x²-test. As a result, first, this research revealed that it is most appropriate to conduct toddler’s mov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rhythm 1-2 times a week for 10-20minutes in a large or small group rather than individual. Second, music should be considered foremost when planning toddler’s mov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rhythm and it was concluded that it is most appropriate for the child-care teacher to support the toddler to create an action after exploring the movement. These teachers’ demands indicate the nee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 considered the development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toddler. Especially, it suggests that mov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rhythm for toddler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the field.
동작수업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
손미애 ( Mi Ae Son ),김은심 ( Eun Shim Kim ),유지안 ( Ji An Yo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수업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교사 발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은 반성적 사고 수준을 향상시키며, 반성적 사고 수준의 향상은 동작수업에 대한 반성 내용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여교사는 연구가 진행되는 초기의 동작수업에서는 확인적 발문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연구가 진행되는 후기에 이루어진 동작수업에서는 요구적 발문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동작수업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반성적 사고 경험이 교사의 발문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의 발문변화를 위해 반성적 사고 경험이 필요하며,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을 적용한 교수실행을 통해 동작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following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changes of kindergarten teachers`` levels of reflective thinking and questioning with continuous experiences of reflective thinking in movement classes. The results were; First, the levels of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changed through increased reflective thinking. At the low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mainly focused on activity materials and getting children``s attention. At the middle level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for movement expression with children``s interest were the focus while at the high level the focus was extended movement activity and teachers`` verbal expression. Second, teachers`` questioning through reflective thinking was positively changed. Repetition of reflective questioning led to using specific and clear questioning as well as age-appropriate questioning. This shows teachers moved from teacher-centered to child-centered questioning through reflective th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