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천강본풀이>의 운명관 연구

        유정월(Ryu Jeong wol)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2

        This paper studies thoughts on fate of the group which enjoyed Woncheongang(袁天綱) Bonpuri. To reveal the uniqueness of the thoughts on fate, I pay attention to different points with Man Traveling to Seek Fortune Folk-tales. Both of these stories are a journey back to the starting point and it has the going-and-coming and problem-solving narrative structure that responds. I see Woncheongang Bonpuri’s peculiarities which differ from Man Traveling to Seek Fortune Folk-tale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itinerary. The motive for Onuri to leave her parents is initial situation. The ending to become the goddess to write Wonchengan is her last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trip, she becomes a sacred women. So this paper find the ontological change of Onuri is found in the Woncheongang, the mysterious river. The river has a meaning as a place to watch time and to see fate. Finally, this paper examine the knowledge of the river was a local knowledge shared in the Jeju island by this group. This group thought on the fate that the episteme and practice was the same. They believed the inexplicable experience of life is due to the ignorance of Palzha(八字), and they can overcome the hardship of life with knowledge of Palzha. 본고는 <원천강본풀이>를 중심으로 해당 본풀이 향유집단의 ‘운명관’을 살펴보고자 하며, 그 방법으로 <구복여행> 설화와 다른 지점에 주목하였다. 이 두 이야기는 모두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여행서사로 왕로-귀로와 문제-해결이 대응을 하는 서사 구조를 가진다. 본고는 <구복여행> 설화와 다른 <원천강본풀이>의 특수한 지점이 여정의 시작과 끝에 있다고 보고, 오늘이라는 인물이 부모를 찾아서 떠나는 동기(최초 상황)와 여행의 결과 신녀가 되어 원천강을 등사하는 결말(최후 상황)에 대해 분석하면서 오늘이의 존재론적 변화의 원인을 원천강에서 찾는다. 원천강은 시간을 보는 곳, 운명을 보는 곳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원천강’에 대한 지식이 제주도 본풀이 향유집단에게 공유되던 지역적 지식이었음을 살핀다. 이를 통해 이 본풀이 향유집단에서 운명론이 인식론이자 실천론이라는 것을 읽어낸다. 여기에는 순조롭지 않은 삶의 경험이, 팔자를 모르는 것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팔자를 앎으로써 그러한 경험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는 생각이나 믿음이 개입한다.

      • KCI등재

        점복담에서 점쟁이의 형상화와 주변성

        유정월(Ryu Jeong Wol)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50

        본 논의는 운명담 중 점복담을 다룬다. 그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점쟁이는 신분적으로 조선시대 최하층민이었으며, 대부분 맹인이었다는 점에서 신체적으로도 열등한 사람들이었다. 본 논의는 야담(과 필기)에 등장하는 유명한 점쟁이, 명복의 이야기를 통해 현실에서 어떤 인물이 처한 주변성이 담화 상에 어떻게 구현되는가 살펴보고자한다. 본 논의는 점복담을 세 가지 유형, 즉 타인에 대해 점을 치는 것, 자신에 대해 점을 치는 것, 사람이 아닌 것에 대해 점을 치는 것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들 유형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것은 ‘-에도 불구하고’라는 일종의 위기 상황이다. 이는 예언의 실현을 불가능한 것처럼 만들거나, 현실과는 모순되는 지점이 점복담 안에 있음을 말한다. 이 위기 상황을 통해 일반인과 점쟁이 사이 앎의 차이가 명시화된다. 이렇게 점복담에서 명복은 특수한 능력을 가진 것으로 서사화 된다. 그러나 점복담은 점쟁이의 능력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담화화 되지 않는다. 점복담은 점복 주체의 다양한 자질이 재현될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능력과 관련된 정보만을 반복하여 전달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정박을 가진다. 정박은 점쟁이 형상을 하나의 기능에 고정시키면서 점쟁이의 역할을 점쟁이 존재와 동일시하게 한다. 또한 점쟁이는 주체로서의 위상을 확고하게 가지지 못한다. 예언하는 주체의 서사는 예언된 주체에 대한 서사로 활주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담화에서는 점쟁이가 가지는 특수한 능력을 결국 천명과 전정의 위대함으로 귀결시키기도 한다. 점쟁이 형상의 제한성과 불안전성은 모두 동일한 기원을 가진다. 본고는 이것이 모두 점쟁이가 주변적이고 도구적 존재라는 데에서 기인한다고 본다. This paper deals with stories of divination located between stories of destiny. The main characters, fortune tellers, were the lowest people in the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and considered physically inferior because they were blind.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inority of the person in reality is embodied in a discourse by searching for stories of the famous fortunetellers, Myeongbok[名卜], appearing in Yadam[野談] (and Pilgi[筆記]) This discussion is divided into three types, divination of another person, of oneself, and of something that is not a person. What appears to be common to these types is a kind of crisis This means that there are some points that make the fulfillment of prophecy impossible in the stories. This crisis situation clarifies the difference of knowing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the fortune teller. In this way, the Myeongbok are narrated as having a special ability. However, this discourse does not emphasize the power of the fortuneteller. There is a kind of anchor point in the stories. because they repetitively transmits only information related to the fortunetelling ability while suppressing the possibility of reproducing the personal qualities of the subject. This anchoring fixes the shape of fortune teller to one function and makes the fortune teller equal to the fortune telling role. Also, the fortuneteller does not have a solid position as a subject. The narrative of the prophetic subject is rich in possibilities of sliding into the narrative of the predicted subject. In the discourse, the special powers of the fortuneteller eventually lead to the greatness of Heaven’s will. The limitations and insecurities of the fortune-teller shape all have the same origin. due to the fact that the fortuneteller is treated as a peripheral and instrumental being.

      • KCI등재

        형식담의 수용자와 공동체

        유정월(Ryu, Jeong Wol)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0

        Unlike other narratives, formal talks question the rules of the story. This paper is a study of recipients of formal talks, i.e., communities that share non-material resources of story norms, and discusses what story norms are shared by communities that enjoy formal talks, and the process or method of sharing them. First of all, in this paper, I divide the formal discourse into three main categories, thanks to existing discussions. (1) The concluding normative destruction type issues the formal convention that ends the story, and (2) the normative destruction type of world composition reveals the convention of the person or situation setting inside the story. (3) In some cases, the two types may be mixed.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they question the independence and unity of the fictional world and question its perfectness and completeness by allowing entry into the real world or by comparing it with the real world. Audiences who unconsciously accept the perfectness and completeness of the fictional world are surprised during the performance of formal tales, a sentiment that occurs when a violation of expectations is revealed and when expectations are unfolded differently than expected. Speakers of formal stories that make people expect and betray them become kind of unreliable tellers to the audience. In the end, formal talks reveal what they expect from the story not by meeting expectations but by defying expectations. Paradoxically, it reveals what stories an unreliable speaker trusts. Finally, this paper fin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of formal talks in forming a culture of reflective narrative. The community of reflextive narrative culture is different from the community of reflective stories. While the reflective community has vague and infantile thoughts about the narrative, the reflextive community can objectize the narrative, think outside the narrative, and be aware that they recognize it as such. 형식담은 다른 설화들과 달리 이야기 규범을 문제시한다. 이 논문은 형식담의 수용 자들 즉, 비물질적 자원인 이야기 규범을 공유하는 공동체에 대한 연구로, 형식담을 향유하는 공동체가 어떤 이야기 규범을 공유하고 있는지, 그것을 공유하는 과정이나 방법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먼저 이 논문에서는 기존논의에 힘입어 형 식담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1) 마무리 규범 파괴 유형은 이야기의 끝을 맺는 형 식적 관습을 문제시하고 (2) 세계 구성의 규범 파괴 유형은 이야기 내부의 인물이나 상황 설정의 관습을 드러낸다. 그리고 (3) 두 가지 유형이 혼합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현실 세계의 침입을 허용하거나 현실 세계와의 비교를 통해 허구 세계의 독립성과 통일성을 문제 삼고, 그 완전성과 완결성을 의문시한다는 것이다. 허 구 세계의 완전성과 완결성을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였던 청자들은 형식담의 연행 과정 에서 놀라움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기대의 위반이 드러날 때, 기대가 예상과 다르게 펼쳐질 때 가지는 정서이다. 기대를 가지게 하고 그것을 저버리는 형식담의 화자들은 청중에게 일종의 신뢰할 수 없는 화자가 된다. 결국 형식담은 기대에 부응함으로써가 아니라 기대를 저버림으로써 이야기에 대해 기대하는 바를 드러낸다. 역설적이게도 신뢰할 수 없는 화자가 신뢰하는 이야기가 무엇인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형식담의 공동체가 가지는 특성을 반성적 이야기 문화를 형 성한 데에서 찾는다. 반성적 이야기 문화의 공동체는 반영적 공동체와는 다르다. 반영 적 공동체가 설화에 대한 막연하고 유아적인 사고를 하는 데 비해, 반성적 공동체는 설화를 대상화하고, 설화의 외부에서 사고할 수 있으며, 자신들이 설화를 그렇게 인식 하고 있음 또한 자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근대 전래동화의 두 가지 문학적 지향 -방정환과 주요섭의 전래동화 개작을 중심으로-

        유정월(Ryu, Jeong-wol)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0

        This paper examines the way of rewrit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For the purpose of it, it is needed to study literary method of story telling in Bang Jeonghwan and Ju Yoseob’s adaption. They were representatives from the time when standards for rewrit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established. First, this study explores the things which they adapted and the degree of adaption then the examines the ways of story telling. Bang Jeonghwan used to internal focalization and the method for drama. They make narrator to become transparent. At that time, as the information which is delivered by narrator is limited, readers tended to intense in the story. Whereas such a internal focalization is hardly seen in Ju Yoseob’s rewriting. Instead, Ju Yoseob often reported the psychology of characters using external focalization. He forwarded the narrator who told the comments. The psychology which is revealed by the commentary narrator, composed the personality of a character. The characters who have some personality are not founded in the traditional folk tales. Bang Jeonghwan and Ju Yoseob both call the readers. the readers who read Bang Jeonghwan’s adaption are ‘exploring reader’ who have strong curiosity but the readers who read Ju Yoseob’s are ‘empathetic reader’ who feel compassion. In this paper the ways of rewriting which is done by Bang Jeonghwan is named ‘intellectual style’ and Ju Yoseob is named ‘emotional style.’ After the distinction, this paper studies: what effect does this style have on their next work and what does this style say about the early part of rewriting folk tales. 본고는 전래동화를 문학적으로 다시쓰기 한 방식에 관심을 가진다. 이를 위해 방정환과 주요섭의 전래동화에 나타나는 문학적 서술 방식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 하다고 본다. 이들은 전래동화 쓰기의 규범 혹은 전범이 확립되던 시기의 작가들 로, 이후 전래동화를 쓰는 작가들에게 영향력을 미친 대표적 인물들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스토리 차원에서는 이들이 무엇을 개작했는가, 개작의 정도는 어떠한가를 살피고 이후 구체적으로 어떻게 개작했는가, 즉 개작된 텍스트의 서술 방식을 살펴본다. 방정환은 내적 초점화와 극화의 기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서술자의 존재를 투명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서술자가 말해주는 정보가 제한되기 때문에 독자들은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 이야기에 몰두하게 된다. 반면 주요섭의 전래동화 에서는 방정환의 전래동화와 같은 일관된 내적 초점화를 찾아보기 힘들다. 대신 주요섭은 외적 초점화를 빈번하게 사용하면서 인물의 심리를 보고하며, 그러한 보고를 하는 주석적 서술자를 전경화 한다. 그렇게 드러난 인물의 심리는 인물의 개성이 되기도 하는데, 민담에서는 부재하던 부분이다. 방정환과 주요섭 모두 독자를 호명하고 있지만 방정환의 독자는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는 독자이며, 주요섭의 독자는 공감하는 주체이다. 본고에서는 투명한 서술자와 탐구하는 독자로 이루어진 방정환의 전래동화를 ‘지적 스타일’로, 주석적 서술자와 공감하는 독자로 이루어진 주요섭의 전래동화를 ‘감성적 스타일’로 명명 한다. 이후 본고는 그러한 스타일이 이들의 후속 창작 활동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전래동화 쓰기의 초기 역사에서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에 대해 논한다.

      • KCI등재

        손진태 역사동화 연구

        유정월(Ryu, Jeong-wol)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한국고전연구 Vol.0 No.44

        본고에서는 손진태 역사동화에서 ‘역사’와 ‘동화’의 결합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손진태가 아동에게 역사적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해 취한 전략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역사동화의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손진태가 어린이 잡지에 기고한 이야기들 가운데 역사동화라고 할 만한 대상 텍스트를 선정하고, 그것들이 원천 텍스트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남창은 사실적 민담과 환상적 민담, 신화를 차용하여 역사동화를 창작하였다. 그 결과 여기에는 사실적이거나 실재했다고 생각되는 이야기뿐 아니라, 허구적이거나 환상적인 이야기도 등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역사동화에 원천 텍스트와 다른 고유명사, 연도, 전쟁 상황 등은 나오지 않는다. 그의 역사동화에서 새로 담화화된 부분은 등장인물의 개성이다. 인물들은 남성적/여성적인 젠더적 특징과 강인함/유약함 등 개인적 자질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 남창은 역사를 객관적으로 잘 전달하기 위한 보조적 방안으로 가족의 구성원이자 지적 호기심을 가진 아동을 독자로 상정하였다. 이런 점에서 손진태 방식의 역사동화는 역사에 대한 정확한 지시를 위해 친교적 기능을 활용하는 인지적 역사동화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mbination of ‘history’ and ‘fairy tale’ in Historical fairy tales written by Son Jin-tae’. I want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fairy tales focusing on the strategies and effects that Son Jin-tae has taken to communicate historical information to children. To do this, I first selected the texts, which are historical fairy tales, among the stories written by Son Jin-tae and examined how they relate to the original texts. Nam-chang created historical fairy tales by borrowing realistic folk tales, fantastic folk tales and myths. As a result, not only are they realistic or real stories, but also fictional or fantastical stories. Nonetheless, his historical fairy tales do not include proper nouns, years, and war situations which do not match the original text. The new discourses in his history fairy tales are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The characters are portrayed as persons with individual qualities such as masculine/feminine gender and strength/weakness. Nam-chang uses a supplementary means to convey history in an objective way. And he assumes the children as readers who are members of a family and have intellectual curiosity. In this sense, the historical story fairy tales of Son Jin-tae are cognitive ones that utilize communion functions to indicate history exactly.

      • KCI등재

        <제면굿>의 욕망과 신명

        유정월(Ryu, Jeong Wol)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2

        본 연구에서는 제면할머니가 무조신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지점에 주목하면서 그러한 힘의 원천과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같은 무조신화로 언급되는 <바리공주>, <초공본풀이>와 비교하면서 <제면굿>의 특징을 알아볼 것이다. 먼저 제면할머니와 다른 무조신들이 가지는 변별적인 인물 자질을 확인하고 이어서 서사적 차이를 살펴본다. <제면굿>에서 제면할머니는 임신과 출산이 가능한 젊은 여성도, 과거를 보는 청년도 아니라는 점에서 다른 무조신화의 주인공과 다르다. 또 제면할머니는 생명을 구하거나 희생을 베풀지도 않을 뿐 아니라 욕심 많고 이기적인 인물로 그려진다는 점에서도 차별적이다. 이들을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면할머니 욕망에 초점을 두면서 이를 서사의 국면에 따라 차근히 드러나고(조종 국면), 접근되고(능력 국면), 획득되는(수행 국면) 일련의 단계에 따라 논하고자 하였다. 제면할머니가 가지는 자질이나 특질은 다른 무조신의 것과는 다를 뿐만 아니라 그녀가 거치는 서사 단계들은 다른 무조신화들에 비해 사소하거나 세속적인 것처럼 보인다. 본 연구에서 제면할머니 서사에서 사소한 도구들의 세속적인 획득 과정에 개입하는 욕망의 정체를 억압된 신명으로 본다. 따라서 제면할머니의 위력은 그녀의 나이와 비례할 수밖에 없다. <제면굿>은 축적되거나 쌓이는 욕망을 가진 주체로서 노인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제면할머니 이야기는 노인의 수만큼이나 다양한 노인의 이야기 가운데 하나로 읽어야 한다. 구술문학에서 다양하고 특수한 노인에 관한 담론이 생성된다면 그 중 하나가 이 제면할머니의 욕망이라고 본다. I examine the source and effect of Jemyeon’s(grandmother who became the first shaman god) power while considering that the grandmother is presented as a godless person. To this end, I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myeon-gut narrative with that of Princess Bari and the Chogong brothers, who are mentioned in the same myth on the origin of the shaman. First, I examine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Jemyeon and other sacred figures, followed by their narrative differences. Grandma Jemeyon is different from other protagonists of the same myth on the origin of the shaman in that she is not a young woman who can conceive and give birth, nor a young man who can take a state exam. In addition, it is differentiated in that Grandma Jemyeon is depicted as a greedy and selfish person as well as not only saving lives or making sacrifices. To compare them, this study focused on the desire of the grandmother and tried to discuss it according to a series of steps that are gradually revealed(controlled phase), approached(capability phase), and acquired(performance phase). I distinguish Jemyeon-gut from Princess Bari and Chogongbonpuri by finding that the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randmother seem to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odless. Furthermore, the narrative stages that she goes through seem to be trivial or secular compared with other mythologies. Thus, I view the desire to intervene in the secular acquisition of trivial tools in this narrative as one of “oppressed excitement.” The power of the grandmother must be proportional to her age. Jemyeon-gut is thus a story about an elderly woman who has accumulated desires. That is, it is a story of the elderly with special powers. Hence, I add to the archetypes of the “special elderly” by the addition of the “desire of the grandm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