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금근로자의 고용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유정원(You, Jung-Won),송인한(Song, In Ha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1

        전 세계적으로 ‘괜찮은 일자리’ 개념이 확산되면서 노동시장 연구에서 이 개념이 활발히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나,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고용과 관련된 단편적 특성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분석 위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일자리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평가지표인 고용의 질이 임금근로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인지된 경제수준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 7차 한국복지패널에서 전국 18세 이상 임금근로자 총 3,69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고용의 질은 임금수준, 근로시간, 노동조합 가입, 작업장 환경 등의 문항을 선별한 뒤 조작화하였다. 우울은 CESD-11척도를, 인지된 경제수준은 ‘매우 가난’부터 ‘매우 부유’까지의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고용의 질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된 경제수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3단계 중다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Sobel Test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고용의 질과 우울 간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었고, 인지된 경제수준은 이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어 고용의 질이 낮을수록 인지된 경제수준도 낮아지고 우울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낮은 고용의 질로 인해 근로를 하지만 낮은 경제적 수준을 인지하여 우울감을 느끼는 계층에 대한 사회보장적 개입과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Although the concept of ‘Decent Work’ has globally spread out being applied to studies on labour markets, domestic studies on workers’ mental health have focused only on the simp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employment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ental health.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on depression from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economic status. Data of 3,699 paid workers aged 18 or over was derived from the 7th wave of the KOWEPS. Quality of employment was operationalized by using income level, work hour, labour union membership, work place environment, etc. CESD-11 and likert scales were used to measure depression and perceived economic level, respectively.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economic lev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employment and depression, 3-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employment and depression, and perceived economic status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that is, the lower quality of employment, the lower level of perceived income level and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cessity of practical and social security intervention for workers with emotional problems due to poor quality of employment and lower level of perceived economic statu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김수환 추기경이 바라본 가난과 경제정의

        유정원(You, Jung-won)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2 종교문화연구 Vol.- No.1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cardinal Kim Su Hwan’s point of view on poverty and economic justice.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describes the spirituality of poverty in Christianity and the second part deals with the problem of poverty and economic justice in Korean society. In the third part, I examine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Cardinal Kim’s thought on eco-justice. Cardinal Kim suggests a way to realize economic justice by reflecting on the spirituality of poverty in Christianity. For this, he recommends that Christians and the Church as a faithful community should carry the cross of salvation among the poor with Jesus Christ. Cardinal Kim especially takes note of farmers, city poor, unemployed and foreign workers who live in deteriorated surroundings. And considering miserable condition in North Korea, he insists not to forget the brotherly love. Moreover, pointing out economic justice which is being neglected because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he encourages that genuine sharing and economic justice are possible through the just social structure and cleansing evil within each of us. Cardinal Kim recognizes the problem of economic unjustice is not only related to human beings but also to nature. Confront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he says that eco-economic justice should be realized through the integrity of creation and the way of nature friendly life. Finally, Cardinal Kim recommends that we should see the raw face of poverty. He encourages us to empty our unconscious cravings and desires to control others, through the partnerships with the poor. He believes that this world will become closer to the Kingdom of God, when we live according the spirituality of poverty and we try to realize justice and peace in our society.

      • KCI등재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김주희 ( Kim Juhee ),유정원 ( You Jung-won ),송인한 ( Song In Ha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3

        경제적 불평등과 상대적 박탈의 심화가 개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심각함에도, 기존의 빈곤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사회경제적 지위 (SES)만을 빈곤의 지표로 삼아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보다 포괄적인 빈곤 개념인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연령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9차년도(2014년)에서 전국 20세 이상 성인 총 13,00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사회경제적 박탈은 한국복지패널 문항 중 식생활, 주거, 교육, 사회보장, 직업 및 경제상태, 사회적 요건, 건강 및 의료 등 7가지 영역에 대한 22개 문항을 선별한 후 각각에 대한 박탈여부를 측정·합산하여 지수화 하였고, 우울은 CESD-11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연령은 연속변수로 처리하였다. 사회경제적 박탈과 우울의 관계 및 연령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경제적 박탈과 우울 간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었고, 이 관계에 대한 연령의 조절효과 역시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연령이 높을 수록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박탈을 완화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빈곤 정책의 수립과 함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연령 변화를 고려한 정책적 및 실천적 개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Despite the serious negative effect of deepened economic inequality and relative deprivation on individuals` mental health,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poverty and mental health have used socioeconomic status as an indicator of pover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more comprehensive concept of poverty, on depression,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For this purpose, we used data of 13,005 individuals aged over 20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9th Wave (2014). Socioeconomic deprivation was indexed by measuring and adding up 22 items regarding 7 areas of nutrition, housing, education, social security, employment and economic status, social requirements, and health and medical care among the KWP questionnaire items; depression was measured by CESD-11, and age was used as a continuous variabl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depressive mood,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age between two variables, that is, the effect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depressive mood is increasing as the age increas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policy and practice intervention should be planned considering the age factor, along with developing comprehensive poverty policies to alleviate socioeconomic deprivation.

      • KCI등재

        자살예방을 위한 인식개선 캠페인의 국가 간 비교

        송인한(In Han Song),권세원(Se Won Kwon),김정수(Jung-Soo Kim),유정원(Jung-Won You),박장호(Jang Ho Park),김리자(Lija Kim),김우식(Woosik Kim),김현지(Hyunjee Kim),김현진(Jeniffer Hyunjin Kim),김지은(Ji Eun Kim),안상민(Sangmin A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자살예방을 위한 인식개선 캠페인은 국가적 자살예방대책의 핵심사업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자살예방 국가전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뉴질랜드·미국·아일랜드·스코틀랜드·호주의 5개국과 우리나라의 캠페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미국 보건복지부가 제시한 보건커뮤니케이션 캠페인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각국의 캠페인을 (1) 목표의 명확성, (2) 표적화 전략의 적절성, (3) 메시지 전략의 적합성, (4) 이행의 효율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해외 캠페인들의 공통적 요소로 (1) 분명한 목표가 포함된 캠페인 명칭, (2) 사회 맥락을 고려한 캠페인 대상의 표적화, (3) 구체적인 행동지침을 포함한 슬로건, (4) 정부와 민간의 유기적 협력이 발견되었다.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 캠페인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략적 체계를 갖추고, 구체적인 대상에게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대중적인 매체를 활용하고, 민간 및 지방조직과의 유기적 협력을 강화하며, 체계적인 효과성 평가를 병행할 것을 제언하였다. Public awareness campaign is the core factor of the national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Korea’s current campaign needs to be more systematically developed. This study analyzed the national-level campaigns for suicide prevention of New Zealand, USA, Ireland, Scotland, and Australia whose campaigns were known to be successful,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Korea. With th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Guideline for Effectiv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s’ by th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e examined the campaigns from the dimensions of (1) clarity of goals, (2) appropriacy of targeting strategies, (3) suitability of messaging strategies, and (4) efficiency of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effective campaigns for suicide prevention have the following common factors: (1) campaign appellations which include clear goals, (2) targeting at risk groups considering social contexts, (3) slogans which contains specific action guidelines, and (4) close relationship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On this basis, future directions for more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media campaigns in Korea are discussed.

      • KCI등재

        소아청소년암 대상 심리사회 서비스 제공 현황: 병원 및 지역사회 복지 서비스 제공자의 관점

        김민아 ( Kim Min Ah ),최권호 ( Choi Kwonho ),유정원 ( You Jung-w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3

        소아청소년암 경험자와 가족은 서바이버십 과정에서 다양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경험하는데, 이들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심리사회 서비스의 제공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개발된 ‘소아청소년암 심리사회 표준 서비스’ 영역을 토대로 병원 및 지역사회 복지 서비스 제공자 관점에서 국내 서비스 제공 현황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소아청소년암 심리사회 서비스 개발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 9명과 지역사회 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각 서비스 제공 경험과 어려움에 대하여 개별 심층면접을 시행하였다. 주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진단 초기 및 치료과정 중 환자와 주 돌봄 제공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사회적 사정 및 개입, 경제적 어려움 사정과 지원은 적극적으로 제공되었지만, 형제자매나 다른 가족구성원에 대한 개입은 제한적이었다. 또한, 학교 복귀 및 사회적 상호작용 서비스와 장기적인 추적 및 모니터링, 완화케어 및 사별 슬픔 지원 등의 서비스는 충분히 제공되지 않았다. 이에 서비스 지원 범위의 확대, 다학제간 협력 강화와 서비스 제공 인력의 전문성 훈련 개발, 나아가 표준화된 한국형 소아청소년암 심리사회 표준 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을 제언하였다. Survivor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cancer and their families experience various psychosocial difficulties throughout survivorship. Thus, it is important to provide psychosocial servic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is study explored the status of service provision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hospital and community welfare service providers based on the psychosocial standards of care for childhood cancer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Nine medical social workers in hospitals and five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agencies were interviewed about service provision and barriers. The analysis found psychosocial assessments, interventions, and support for patients and primary care providers with economic difficulty during the initial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ss were comprehensively provided, but interventions for siblings and other family members were limited. Services for school reentry, social interaction, long-term follow-up and monitoring, palliative care, and bereavement support services were not sufficien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xpanding service resources and scope, strengthening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 developing professional training for service providers, and further developing a Korean version of standardized guidelines for psychosocial services for childhood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