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VMI on Supply Chain Performance

        유정석(Chungsuk Ryu) 한국생산관리학회 2006 韓國生産管理學會誌 Vol.17 No.4

          본 연구는 제품수요가 제품가격에 의해 결정되는 시장 하에서 공급자에 의해 관리되는 재고 (Vendor Managed Inventory) 프로그램이 공급사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 가지 다른 형태의 공급사슬시스템 ? 전통적인 시스템, VMI, 그리고 완전하게 협력된 시스템 ? 은 의사결정권, 정보교류, 그리고 비용책임에 의하여 분류된다. 각각의 공급사슬모형들은 일련의 다수의 의사결정단계를 나타내는 수학모델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 가지 다른 공급사슬 시스템들의 순이익들이 예제를 통하여 비교분석 되었다. 예제에 의하면 VMI 시스템은 전통적인 시스템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으나, 완전하게 협력된 시스템보다는 적은 순이익을 보였다. VMI의 순이익의 증가는 비용절감에 의하기 보다는 수익의 증가에 의한 것이었다. 전통적 시스템과 비교하여 VMI 와 완전하게 협력된 시스템 하에서는 구매자와 공급자 모두 그들의 순이익을 증가시켰다. VMI 시스템 하에서 구매자는 완전하게 협력된 시스템보다도 더 많은 이득을 얻었다. 그러나 완전하게 협력된 시스템 하에서 협력으로 인한 거의 모든 이득은 공급자에게 가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공급사슬협력을 위한 모든 프로그램들이 성공적인 협력을 성취하기 위하여 이득을 모든 참가자들에게 균형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함을 지적해 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vendor managed inventory (VMI) systems on supply chain performance under the market where the demand of the product is sensitive to its price. Three supply chain systems ?traditional system, VMI system, and fully coordinated system - are differentiated in terms of decision authority, information sharing, and cost payment. Each supply chain model is composed of the set of mathematical models, which represents series of multiple decision-making steps, and numerical examples are used to compare the profits of three different supply chain systems. Outcomes of the numerical examples show that the VMI system outperforms the traditional system, but is less profitable than the fully coordinated system. Profit increase at the VMI system is caused by revenue increase rather than cost savings. Both supplier and buyer increase their own profits at the VMI and fully coordinated system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system. At the VMI system, the buyer receives huge benefits, even more than the ones at the fully coordinated system. Under the fully coordinated system, however, most benefits of coordination go to the suppli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any program for supply chain coordination may need to equip the way to equally distribute its benefits to every participant in order to achieve the successful coordination.

      • KCI등재

        디자인 민감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방정혜(Bang, Jounghae),유정석(Ryu, Chungsuk) 한국소비문화학회 2008 소비문화연구 Vol.11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measuring the design sensitivity that general consumers feel on specific products. In particular, the measurements developed by this study access the impact of the product design on consumers’ decisions to buy a specific product rather than a particular consumer’s aesthetic sensitivity. The measurements prepa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esign professionals’ opinions are tested via a survey with 398 subjects and the purified measurements with total 6 dimensions and 19 questions ar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also examines various validities of the obtained measurements and checks whether the design sensitivity assessed with the measurements differentiates distinct information process tendencies and product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디자인 민감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단순히 개인적인 특성으로서의 소비자의 미적 감각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제품에 따라 디자인이 그 제품을 평가하는 데에 얼마나 중요한가 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려는 한다. 참고문헌과 전문가들의 견해를 통하여 정리된 측정도구를 탐색적 분석을 통하여 총 6개의 차원의 19개 항목을 추출하고 확증적 분석을 통하여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감사하였으며, 더 나아가 주어진 항목으로 측정된 디자인 민감도가 정보 처리성향과 제품군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Education of Creativity in Business Schools : Get a Little Help from a New Neighbor Design

        김도현(Kim Dohyeon),황규영(Hwang Gyuyoung),유정석(Ryu Chungsu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4

        The article deals with the pedagogical issue of creativity in business schools which have been increasingly required to educate leaders equipped with creativity. We first review existing discussion and debate over whether such education is possible and how it should be. Various approaches of creativity education are investigated as candidate methods in business schools. We then analyze various curriculums that leading business schools have developed to enhance students' creativity. Based on critical review of theories and current curriculums that leading business schools adopt we try to figure out the potential direction of creativity education in business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