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 연구기관에서의 지식경영 도입을 위한 지식 평가 및 보상 반응도 연구

        유재복 한국정보관리학회 2003 정보관리학회지 Vol.20 No.4

        When we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our organization, first of all, we need to change the way of motivating the members so as to voluntarily activate knowledge sharing activity. For this,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fair evaluation and adequate reward system about knowledge contribution. In this study, I hypothesized a desirable evaluation and reward model for knowledge contribution on the basis of analysis of documents and cases concerning them in domestic enterprises and R&D institutes that adopted knowledge management. Also, I took a survey to analyze the response of the members of KAERI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about the evaluation and reward for knowledge contribution. I expect tha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very usefully in R&D institutes that want to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지식경영을 도입함에 있어서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지식 공유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구성원들의 동기유발 방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식 기여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적절한 보상체계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을 도입한 국내 기업체 및 전문 연구기관에서의 지식 기여에 따른 평가와 보상과 관련한 문헌분석 및 실제 사례분석을 토대로 지식 기여에 대한 바람직한 평가 및 보상 모형, 즉 가설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설정된 가설을 토대로 한국원자력연구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전문 연구기관에서의 지식 기여에 대한 평가 및 보상에 대한 구성원들의 반응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식경영을 도입하고자 하는 전문 연구기관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내 학술지의 SCI 선정 방안 연구: "원자력학회지"를 중심으로

        유재복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 정보관리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국내 학술지가 SCI에 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원자력분야의 국내 대표적인 학술지인 \"원자력학회지\"를 대상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원자력학회지\"는 학술지로서의 기본적인 기준을 제대로 준수하고 있으며 학술지 자체를 영문으로 발행함으로써 국제 학술지를 지향하고 있지만 몇가지 측면에서 SCI의 선정기준에 크게 부합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 게재된 논문이 일부 연구기관과 대학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점, 2) 논문인용도가 SCI의 평균치인 0.764에 훨씬 못미치는 0.097의 인용도를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인용이 거의 50%에 이르고 있다는 점, 3) 외국의 대학이나 원자력관련 기관의 도서관에 거의 배포하고 있지 않다는 점, 4) 편집 인물 모두 내국인들로만 구성함으로써 국제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 등이다. 한편 본 고에서는 \"원자력학회지\"에 대한 분석결과를 SCI 선정기준에 대응시킴으로써 \"원자력학회지\"를 포함한 국내 학술지가 SCI에 선정되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ection mechanism of the Science Citation Index(SCI) in domestic journals.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specially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which is a leading journal in the nuclear field in Korea. It is published in English and meets the basic standards of technical journal, however, does not meet the SCI selection criteria in many aspects. Major problems are; 1) Small number of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submit articles to the journal. 2) The impact factor is 0.097, far less than 0.764, the average value of SCI, and the rate of self-citation approaches only to 50%. 3) The journal is not distributed to the libraries i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have nuclear engineering programs in foreign countries. 4) It does not have editor from international communities, only domestic editors serve for the journal. The study made recommendations for ways to be selected by SCI and utilization of this study for selection criteria of SCI.

      • KCI등재SCOPUS

        지식의 공유 및 활용을 위한 지식분류체계 설계방안 - 한국원자력연구소를 중심으로

        유재복,Yoo, Jae-Bok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4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5 No.1

        지식경영에 있어서 조직 구성원들 간에 지식을 공유하는 가장 기초적이면서 기틀이 되는 것은 공유할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식분류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의 도입단계에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조직 구성원들이 실제로 지식을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적의 지식분류체계를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의 본격적인 도입에 따라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전소차원의 지식분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분류체계 설계원칙 아래 기존의 다양한 분류체계를 참고하여, (1) 지식분류체계 초안 작성단계, (2) 지식분류체계 수정안 작성단계, (3) 지식분류체계 검증 및 확정단계 등과 같이 3단계 과정을 거쳐 지식분류체계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지식분류체계는 기술적인 측면과 조직체계를 감안한 미래지향적인 분류체계로서 총 218항목으로서, 대분류 8항목, 중분류 43항목, 소분류 167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설계된 지식분류체계는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지식경영을 운영할 때 지식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조직 구성원들의 지식 공유 및 활용의 가장 기초적이면서 중요한 틀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지식분류체계 자체는 물론 지식분류체계의 초안 작성에서부터 최종안을 완성하기까지의 제반 설계과정 및 방법론적인 측면은 지식경영을 도입하려는 타 연구기관이나 기업체 등에서 지식분류체계를 설계할 때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본다. To share knowledge efficiently among our members on the basi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irst of all, we need to systematically design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we can classify these knowledge wel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most suitabl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all of us can share them i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To construct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all over the our organization, we established a few principles to design it and examined related many classification schemes. And I carried out 3 steps to complete the best desirable KAERI's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is, (1) the step to design a draft of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2) the step to revise a draft of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3) the step to verify the revised scheme and to decide its scheme. The scheme completed as a results of this study is consisted of total 218 items : sections of 8 items, classes of 43 items and sub-classes of 167 items. I expect that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design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frame to efficiently share knowledge among our members when we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our organization. In addition, I expect that steps to design its scheme as well as this scheme itself can be applied when design a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at the other R&D institutes and enterprises.

      • KCI등재

        특허 인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유재복,정영미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 정보관리학회지 Vol.27 No.1

        Recently, the valuation of patented technology has been greatly emphasized, and patent citation has been accepted as a very useful index of this technology. In this study, w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the patent citation counts and 17 explanatory variables of morphological, technological, and conceptual factors with a test dataset of U.S. patents in five subject fields. Seven variables having 5% or more standardized variances(r2) with patent citation counts were identified; number of pages, number of claims, reference-average-citation rate, patent increase/decrease rate, strength of bibliographic coupling, co-citation counts and document similarity. The result of the ANOVA test shows that the mean values of these variables vary among most subject fields. 최근 특허기술의 가치평가가 크게 강조되고 있으며, 그 평가의 수단으로 특허의 피인용횟수가 매우 유용한 척도 중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특허의 피인용횟수와 이에 영향을 미칠만한 형태적․기술적․개념적 요인의 17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미국특허를 대상으로 5개 주제분야에 걸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특허의 피인용횟수와 일정 수준 이상의 상관관계, 즉 5% 이상의 설명력을 갖는 변수는 페이지 수, 청구항 수, 참고문헌 평균 피인용횟수, 기술분야 특허증감율, 서지결합도, 동시인용도 및 문헌간유사도 등 7개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변수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7개 변수 모두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주제분야 간에 있어서 평균값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보디빌딩 선수의 그릿(GRIT), 운동지속 간 구조적 관계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연구

        유재복,배연준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3

        본 연구는 보디빌딩 선수의 그릿과 회복탄력성,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3년 대한보디빌딩협회에 등록된 경기, 인천지역 성인부 선수(20세~40세)를 모집단을 설정하였으며, 표집방법은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총 330명을 대상으로 표집을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31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 Amos(Window Ver.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보디빌딩 선수의 그릿은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디빌딩 선수의 그릿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보디빌딩 선수의 회복탄력성은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쳤다. 넷째, 보디빌딩 선수의 그릿과 운동지속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보디빌딩 선수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운동지속에 기여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rit, resilience, and exercise continuation in bodybuild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opulation was set as adult athletes (ages 20 to 40) in the Gyeonggi and Incheon regions registered with the Korea Bodybuilding Association in 2023, and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as the sampling method. A total of 330 people were sampled, and data from 319 people was analyz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 Amos (Windows Ver. 25.0) statistical program to verif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it of bodybuilders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adherence. Second, bodybuilders'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Third, the resilience of bodybuilders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adherence. Fourth, resilience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exercise adherence in bodybuilder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grit and resilience of bodybuilders contribute to the exercise adher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