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후식민의 주체로서 국가와 본토 ― 중국-홍콩의 경우

        유영하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2 中國現代文學 Vol.0 No.63

        Now or never is the time for Chinese nationalism and Hong Kong locality to establish a new paradigm of mutual 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 and locality is based on the work of finding the value representing Hong Kong’s identity. I think that locality Hong Kong is considered as a ‘ethnic minorities(少數民族)’in Chinese nationalism. Hong Kong’s identity actually has been formed from political and economic transformation. The break-up of Hong Kong's identity also depends on the politics and economics. During British colonial period politics substituted for administration, post-handover Hong Kong politics substitutes for economics. Hong Kong people’s self-respect, base of locality Hong Kong comes from a rationality and locality Hong Kong has an extremely importance mission of breaking away from ‘sincizing(中國化)’. Han (漢) people-oriented nationalism which applies to Hong Kong will continue unless something major comes up. Locality Hong Kong means Hong Kong’s identity. Locality has original conservatism,pre-modernity such as blood relations. The Modernity should precede Hong Kong’s identity is an early conclusion of postcolonial description and a solution of identity discourse.

      • KCI등재

        방법으로서 ‘중국–홍콩체제’

        유영하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7 中國現代文學 Vol.0 No.83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approach for the 'China-Hong Kong System'. There is no established caus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Hong Kong yet, which shows certain rules or patterns. Based on historical facts in the post-colonialism perio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rovides unconventional views in relevant East-Asia studies. Also, the constant confrontation between China and Hong Kong, after the transfer of Hong Kong's sovereignty from the UK to China, is considered unprecedented in the world history. However,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issues in East-Asian contexts, it is essential to have a systematic perspective that can define this mutual relation of these two. Furthermore, the comprehension of the conflict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will enable identifying 'East Asian Community' and lead a resolution in the community. the previous study concentrated on the formation of Hong Kong's identity and clashes between China and Hong Kong, this paper will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Hong Kong throughout Kojin Karatani's studies from a political and economic perspective. Moreover, differing from Kojin's attempts that offer a prospect to pass over the capital = the nation = the state,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future direction in China - Hong Kong relationship beyond the existing Paradig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세계체제와 탈식민 - 본토 홍콩의 정치경제학

        유영하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6 中國現代文學 Vol.0 No.78

        During my research about Hong Kong, I have been thinking about the value of the Hong Kong’s identity.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search and conclude about Hong Kong’s identity and how important it is. I have also questioned about the legitimacy of Hong Kong’s identity within or outside the country. When you first arrive at Hong Kong International Airport, you will find a phrase that stated ‘Asia’s World City’ first. Geographically Hong Kong is located in Asia and for many, it is viewed as one of Asia’s main business hub, the ‘World City’ represents Hong Kong is a globalized and open city. As one of the main leading city in Asia during the era of globalization, Hong Kong with its slogan title of ‘Asia’s World City’ has always been proud of it, however internally it has been facing two major issues that may threaten its stability, the first being the laissez-faire capitalism which leads to the economic disparity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The Second is the wide spread of Chinese nationalism propaganda that the Chinese colonizers have brought. In order to keep its locality, Hong Kong has to survive from the threats of both capitalism and colonialism. I have been observing Hong Kong as a capitalistic place from the world system perspective, and also imagining the process of Hong Kong’s beyond colonialism, nationalism and capitalism. When we recognize that the globalization is rapidly proceeding despite of its pros and cons, and we can understand that the formation of open market is ultimately inevitable, Hong Kong is currently on the way to be one. Many scholars have indicated that when both of localization and globalization develop in parallel, tension and competition would naturally emerge between them. Therefore,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we can easily assume that localization and nationalism are keeping each other in check. Obviously, the tension between globalism and localism is complex and multifaceted. Globalization identity and cultural identity are always competing with each other. Since Hong Kong is representing issues in the view of world system, this place holds a very important position. To be specific, Hong Kong shows that solving a problem of subalterns and missing citizens caused by colonialism and capitalism from advanced countries is a prerequisite for globalization. In my opinion, there is a ‘China– Hong Kong System’ which is similar to a substructure of the ‘World System’. When we take a clear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Hong Kong now, according to the words of Long Ying-tai about colonialism, it ignores the masses and does not focus on the long-term development that the British government has applied on before. After the transfer of its sovereignty from the United Kingdom to China in 1997, there have been conflicts between Main Land China and its semi-periphery ‘Hong Kong’ regarding Hong Kong’s identity without taking into account its local values and freedom. With great economic benefits as the forefront reason for change, China is trying hard to change and curb Hong Kong’s intrinsic values which were the core origins of the Island City.

      • KCI등재

        董橋의 산문과 디아스포라 홍콩인

        유영하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9 No.-

        본 연구의 범위는, 홍콩의 대표적 산문가 중의 하나인 董橋의 초기 산문집을 분석하는 것이다. 나아가서 그 분석결과가 디아스포라 홍콩문학의 주요한 특징이라는 것을 밝히는데 있다. 董橋는 1964년에 대만에서 대학을 졸업한 후 1975년 런던으로 유학을 떠나기 전까지 10여년을 홍콩에 정착하여 살았다. 그 기간 동안 그는 중국인이라는 의식 속에서 홍콩인으로서 디아스포라를 경험했다. ‘해외 중국인’으로서 성인으로 성장한 후 스스로의 결정으로 홍콩에 정착했던 것이다. 그는 자신의 중국인 디아스포라의 기착지로 홍콩을 선택했다. ‘해외 중국인’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 董橋가 결과적으로 홍콩이라는 특수한 공간에 정착하였는데, 이것은 디아스포라 홍콩인의 두드러진 정착형태임이 분명하다. 또 그는 1977년 이후 거의 해마다 주옥같은 작품 특히 홍콩을 읽을 수 있는 첩경으로 인식되어지는 작품집을 꾸준히 출판해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수 십 년 동안 홍콩의 여론을 주도하는 최고 지위의 언론인이기도 했다. 굳이 초기 산문집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해외 중국인’으로서 해외에 머물다가 또 다른 해외로서 홍콩을 선택하고 처음으로 홍콩의 언론매체에 투고한 작품이라는데 있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그는 자신의 첫 번째 작품집 ≪雙城雜筆≫ 등에서 ‘중국인’, ‘홍콩인’, ‘해외 중국인’으로 표현되는 보편적 중국인의 정체성 찾기에 시종일관 천착하고 있는 모습 그리고 자신조차 혼란스러워하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곳곳에서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董橋의 마음속에는 우선 ‘고향’이 분명히 존재하는데, 그것이 유형일 때는 자신이 체험했던 풍경이나 ‘고전’문학 등으로 무형일 때는 각종 이미지로 시시각각 등장하는 것이다. 이것을 보면 董橋의 의식 속에도 문화적으로 중화민족에 대한 강렬한 동질감을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인데, 즉 중화민족이라는 지향성과 그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철저히 ‘해외 중국인’이라고 할 수 있는 董橋 역시 서양인의 텃세와 제도적 핍박이 강하면 강할수록 중국문화에 대한 남다른 자부심으로 대응했다. 하지만 ‘해외 중국인’은 정치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중국이라는 정치 실체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특히 홍콩인은 정치 실체 중국에 대해 다중적인 감정을 소유하고 있다. 사실 홍콩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의 의식 속에서 국가는 자의반 타의반으로 일치감치 포기되어 왔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희박한 국가의식은 자신의 실제생활에 직결되는 사항에만 관심을 집중시키도록 하여 홍콩인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배경으로 자리 잡았던 것이다. 적어도 董橋는 이렇게 홍콩인들의 성향이 철저하게 현실적이라는 이미지에 대한 변명과 설명을 하고 있다. 홍콩인들을 특징지을 수 있는 현실감각은 홍콩이 열린 공간으로서 문화적 배타성의 문제를 일찌감치 해결해 버린 곳으로 만들었다. 따라서 董橋가 보기에도 ‘거래’와 ‘타협’은 홍콩문화의 최고가치가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그는 민족 문제에 대해서도 초연한 입장을 요구하고 있다. 같은 민족에 대한 집착 역시 집착이라는 것이다. 집착이라는 차원에서 본다면 고향에 대한 생각 역시 고질병이라는 것이다. 이점이야말로 현재 매년 1천만 명이 ‘조국’을 떠나고 있고, 앞으로 50년 후면 10억 명 이상이 ‘조국’을 떠나 다른 곳으로 가게 될 운명을 한 발 앞서 경험한 그가 제시하는 길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상적인 디아스포라는 부담이 아니다. 즉 부담으로 작용해서는 안 된다는 당위는 민족보다 우선한다. 부담은 그것 자체로서 이미 배타성의 모태로서 구체화되기 때문인데 향후 홍콩에서 중국인 디아스포라는 포용성으로 대표되는 홍콩문화의 발전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문제는 그것의 정도가 얼마나 적절하냐에 달린 것이다. Dong Qiao has the image of hometown in his mind, which appears with the tangible scenery or classical literature and with the intangible various images. Dong Qiao has a identity of Chinese nation and he is full of conceit regarding the Chinese culture. Overseas chinese especially Hong Kong people has a multiplex sentiment regarding political entity China. Dong Qiao regarded the transaction and compromise as the first value of Hong kong culture. Hong Kong, which is an open space does not have cultural exclusivity any more. He said that Hong kong people are preoccupied with hometown and nation and asked them clear point of view about the hometown and nation. Chinese Diaspora in future Hong Kong can be the largest obstacle against the development of Hong Kong culture. We can see the history of Hong Kong, nuclear and liberal space which has been formed during on hundred years from Dong Qiao's early essay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