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품 매장의 제품 구색 확장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 생활협동조합 매장의 신선육코너 도입을 중심으로

        유영글 ( Yoo Younggeul ),문정훈 ( Moon Junghoon ),조완형 ( Cho Wan-hyung ),최영찬 ( Choe Young Chan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7 유통정보학회지 Vol.20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ross-category effect of assortment expansion with regard to consumer and store characteristic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sumers` previous purchase pattern and store characteristics on purchase amount of new products by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In addition, we analysed how assortment expansion affect purchase proportion of other product categories. Consumer`s purchase data before and after fresh meat products introduction was collected from 10 stores of Hansalim, the leading food cooperative in Korea. Results: First, consumers` previous purchase proportion of each product categories and total purchase amount could be predictors for purchase of fresh meat. Second, increase of fresh meat purchase make purchase proportion of processed food, convenience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lower, but make that of fruit, seafood, and vegetable categories higher. Third, the response toward fresh meat introduction was varied according to store characteristics and competition environments. Conclusions: Cross-category interac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store managers plan their assortment strategy, as well as the influence of same product category. Furthermore, they have to investigate purchase pattern of their customers and their store characteristics beforehand.

      • KCI등재

        국내 창업분야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 현황과 성공전략

        유영글,장익훈,최영찬,Yoo, Younggeul,Jang, Ikhoon,Choe, Youngcha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4

        기업 운영에서 자금의 원활한 조달은 필수요소이다. 하지만 국내 창업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우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가 많다. 최근 등장한 크라우드펀딩은 개인이나 조직의 특정 활동을 위한 자금을 다수의 개인으로부터 모집하는 행위로 소셜미디어의 확산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 국내 크라우드펀딩은 아직 도입 초기단계로 문화, 예술 분야에 치중되어 있으며 창업분야에서는 공익적 성격을 가진 프로젝트의 비율이 높다. 선진국에 비하여 시장 규모 면에서는 작은 수준이지만 프로젝트의 성공률은 매우 높기 때문에 창업자금 조달의 방안으로 잠재력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창업분야의 크라우드펀딩 사례를 분석하여 성공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크라우드펀딩 플랫폼과 미국의 Kickstarter의 프로젝트 현황을 조사하였고,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 운영 관련 지표를 이용하여 국내 창업분야 전체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크라우드펀딩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8개의 프로젝트 속성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프로젝트 제안자의 신뢰도와 적극성, 보상의 설계, 쌍방향 소통 노력 정도의 차이가 프로젝트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공익성과 후원자의 참여기회는 창업분야 프로젝트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크라우드펀딩 성공전략을 도출하였다. 첫째, 프로젝트의 제안자는 크라우드펀딩 진행 사전에 적극적인 활동을 통하여 지지기반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프로젝트 게시글에서는 사업진행 실적과 진행 과정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후원 금액에 대한 보상 설계시 금액에 상응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프로젝트가 시작된 이후에는 주기적인 업데이트와 댓글 관리, SNS를 통한 소통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It is essential factor for business operation to raise funds effectively. However, in Korea, many start-ups and small businesses have difficulties in fund-raising. In recent years, crowdfunding, a new method for funding a project of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by raising monetary contributions from a large number of people, has been growing up simultaneously with diffusion of social media. Crowdfunding is on early stage in Korea, and the majority of projects are focused on cultural or art categories. There is high proportion of projects that have social value in start-up sector. Crowdfunding in Korea has great potential because success rate of it is much higher than its of advanced countries, although market size is much smaller than th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success strategies of crowdfunding for start-up through case study. 5 crowdfunding platforms of Korea and Kickstarter, the platform of United States were investigated. Then we checked the figur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whole Korean projects on start-up. Finally, we made comparison between the cases of success and failure by analyzing 8 project characteristics. The study shows that it were the differences in trustworthiness and activeness of project creator, value of reward and efforts for interactivity that have great effects on success of the project.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f societal contribution and sponsor engagement. The thesis provides success strategies of crowdfunding for start-up as follows. Firstly, creator of the project should make support base by enthusiastic activites before launching funding project. Secondly, there should be contents that can easily show the process of business development in the project information. Thirdly, there must be appropriate design of rewards for each amounts of support money. Finally, efforts for interactivity, such as frequent updates, response for comments and SNS posting, should be followed after the launch of the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