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러닝 기반 내용중심 한국어 수업 연구

        유승금 ( Seunggeum Yoo ),안정화 ( Jeounghwa 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내용중심 한국어 수업에서의 효율적인 수업 방식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 참여한 49명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강의식과 플립러닝식 수업 후 학습자 참여도, 상호작용, 내용이해, 만족도 등을 조사하여 문항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 대부분이 스스로 두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교사 주도형 강의식 수업보다 플립러닝 방식 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강의식 수업에서 교사 주도 설명이 이후 학습자 상호작용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 결과를 볼 때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이 반드시 학습자 주도형 활동이 이루어질 때 높다고 인식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호작용은 플립러닝 수업에서 더 잘 이루어지며 사전 강의 시청이 수업 이해 및 만족에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사전 이해 활동이 이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의 상호작용을 높여 전체적인 만족도 및 학습동기 향상, 주도적 학습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 결과라 이후 두 수업 방식에 대한 효과를 비교 검증할 수 있는 객관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efficient teaching methods in content-based Korean language clas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this end, 49 internationa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were surveyed for learners’ participation, interaction, content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after teacher-led classes and flip-learning clas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most learners recognized themselves a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two classes, but responded that they participated in flip-learning classes more actively than teacher-led classes. However,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response that teacher-led explanations are helpful for later learner interactions, it can be seen that interactions in class are not necessarily perceived as high when learner-led activities are conducted. Interactions are better done in flip-learning classes, and it has been shown that watching prior lectures has contributed to class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It is also shown that these pre-understanding activities have increased the interaction of various activities in subsequent classrooms, leading to improved overall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 and leading learning. However, sin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learner’s percep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objective study to compare and verify the effects of the two teaching methods.

      • KCI등재

        KOFIH 보건의료협력 분야 연수생을 위한 한국어교재 개발 사례 연구

        유승금 ( Seunggeum Yoo ),안정화 ( Jeounghwa 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논문은 한국보건의료재단(KOFIH)의 통합한국어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의료한국어1, 2, 3’의 개발 사례 연구이다. 교재 개발을 위해 KOFIH의 교육 목표와 연수생 25명의 한국어교육 내용 및 과정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교재의 실제 단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수생의 요구 분석을 통해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상생활 및 보건의료상황 중심의 한국어교육이 모두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교육 후 실제 상황에서의 적용을 위해 교육 시기와 교육 시간을 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수 기관에서의 일상생활을 위한 교재는 연수생의 특수성을 고려한 상황 중심의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보건의료 연수를 위한 교재는 공식적인 행사, 진료 상황, 필수 장소 등을 분석하여 기능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짧은 연수 기간 동안의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매개 언어인 영어를 병기하였다. 향후 해당 교재 사용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점에 대한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This is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Korean 1,2,3,’ which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program of the KOFIH. In order to develop textbooks, KOFIH’s educational goals and needs for the contents and cour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25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and the lesson and units structure developed based on them are to b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needs analysis,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nfirmed, and it was foun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ed on daily life and medical conditions was necessar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training period and training time for application in actual situations afte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extbook centered on daily life was composed of situation-based contents considering the participants’ specificity, and the other for health care training was composed of function-based by analyzing official events, medical conditions, and essential places.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during a short training period, English was added together. For the m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th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points for the use of the textbook.

      • KCI등재

        외국인 학생의 한국문화에 대한 경험 및 인식에 대한 조사: 중국, 베트남 학생을 중심으로

        유승금 ( Seunggeum Yoo ),신소영 ( Soyoung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대학에 재학 중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여 한국문화 체험 수업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지방사립대에 재학 중인 중국 및 베트남 유학생 90명을 대상으로 흥미문화, 경험희망문화, 이해하기 어려운 문화, 곤란을 겪은 한국문화 등 4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문장에 표현된 단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문화영역별 빈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흥미와 경험희망 내용은 행동문화 중 생활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다. 이해하기 어려운 한국문화와 곤란을 겪은 한국문화에 대해서도 행동문화의 생활영역의 비중이 높았다. 따라서, 유학생의 문화에 관한 관심은 실제 생활과 관련한 내용이 대부분으로 한국문화 체험 수업 운영 시 유학생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화권의 유학생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여 한국문화 체험 수업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세부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operation of Korean culture experience classes b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Korean culture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college. To this end, 90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hina and Vietnam who are enrolled in a four-year local private university were surveyed based on four themes: culture of interest, culture of experience hope, culture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Korean culture in trouble. Focusing on the meaning of words,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by cultural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ents of interest and hope for experiences were the most related to life among behavioral cultures. For the difficult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the difficult Korean culture, the proportion of behavioral culture was high in the life area. Therefore, the interest in culture of international students is mostly related to real life, and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contents and methods that can solve the real problems of international students when operating Korean culture experience classes. In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provide detailed guideline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lasses for experiencing Korean culture b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international students from various cultures.

      • KCI등재

        라오스 초급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학습자와 교사의 요구를 중심으로

        유승금(Yoo Seunggeum),이용훈(Lee Yongh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본 연구는 라오스 초급 한국어 교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 내용 제공을 목적으로 라오스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재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라오스 대학의 전공 및 교양 과정의 한국어 학습자 123명, 현지 한국인 교사 5명, 라오스인 전공 교수 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사용하는 교재에서 학습자는 학습활동의 부족, 교사는 주제, 내용 등이라오스 상황에 맞지 않음을 문제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경우 교재 구성물 중 워크북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문법과 어휘, 말하기와 듣기를 중요한 학습 내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재에 제시되는 상황은 라오스에서한국어를 사용하는 상황을 더 선호하였으며 반복적인 형태 연습과 단계별 문법 연습 활동에 대한 요구 정도가 높았다. 또한, 번역에서도 문법과 어휘에 대한 요구 정도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경우 주교재에 대한개선 요구가 제일 높았으며 단원 구성은 현지 교육과정에 맞게 9-10단원이 적절한 것으로 보고 있었다. 교재의 형태는 통합교재, 번역에서는 문법과 어휘에 대한 요구 정도가 제일 높았다.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는 필요한 구성물 중 ‘오디오 CD’와 ‘주교재’(χ2 =12.887, p<.05), 번역이 필요한 부분 중 ‘문법 설명’과 ‘문화’(χ2= 39.575, p<.0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라오스 초급 한국어 교재는 통합 교재로 개발해야 하며 학습 내용은 문법과 어휘, 말하기와 듣기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문법과 어휘는 한국어와 대조하여 라오어 설명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높여야 한다. 또한, 워크북은 다양한 언어 기능 및 내용 연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후 학습자의 학습동기 중 가장 높았던 문화 항목이 학습 내용으로는 요구가 가장 적은 것에 대한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d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instructors in Laos universitie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content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beginners in Laos. This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both 123 students and 5 local Korean instructors, 6 Laotian professors in major at Laos University through questionnaires. And we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through frequency and χ2 verific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urrently used textbook, students recognized the lack of learning activities, and the instructors recognized that the topic and content did not appropriate the Laos situation as a problem. Second, in the case of students, the demand of workbooks among the textbooks was high, and they recognized grammar and vocabulary, speaking and listening as important contents. The situation presented in the textbook preferred the situation in Laos to use Korean, and the demand for repetitive form practice and step-bystep grammar practice activities was high. Also, in translation, the requirements for grammar and vocabulary were the highest. Third, in the case of instructors,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the main textbook was the highest, and the composition of the units wa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for the local curriculum in 9-10 units. The demand were the highest about integrated textbook and the translation requirements for grammar and vocabulary in the textbook. Lastly, the need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are ‘audio CD’ and ‘Main material’(χ2=12.887, p<.05) among the necessary components, and ‘Grammar explanation’ and ‘Culture’(χ2=39.575, p<.001) among the parts that need transl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Korean textbook for beginners in Laos should be developed as an integrated textbook, and the learning content should focus on grammar and vocabulary, speaking and listening. In particular, grammar and vocabulary should be contrasted with Korean and Lao explanations should be presented to enhance learners’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workbook should be able to practice various language functions and conten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cause of Korean culture, which had the highest among the motivation of learning Korean, was the lowest learning need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신소영(Shin. So-Young),유승금(Yoo, Seung-Geum)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4

        본 연구는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로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H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으로 100명의 응답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한국어와 한국문화 각각에 대한 요구보다는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모두 학습하는 것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를 취업 또는 대학원 진학에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문화 경험과 관련해서는 드라마와 영화, 한국음식이 비슷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와 관련해서는 드라마와 김치, 다음이 K-POP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요구에서는 전통보다는 현대문화, 배우고 싶은 문화요소에서는 한국인의 일상생활과 관련한 문화, 선호하는 교육방식은 강의와 체험이 비교적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세부적인 교육내용에서는 한국인의 생활영역에서 의 · 식 · 주생활, 계절활동, 경제활동이 가장 높은 선택 비율을 나타냈으며, 예술과 문화영역 중 영화/드라마/연극/ K-POP등도 높은 선택비율을 나타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에서의 실제적인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목적에 맞게 진로지도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수업방법에 대해서도 학생들의 요구와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With increasing ratio of foreign students in Korean colleges it has become important to operate a curriculum reflecting their demands at least for their continued coming.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operating such a curriculum, based on the survey of their needs for adaptation to life in Korea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Korean-language education. On the subject of foreign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located in C city, result of answers from a hundred students was finally used for analysis. Consequently, the students showed higher demands for learning both Korean and Korean culture than for each of them. They revealed a high demand for learning Korean to get a job or go on to graduate school. As to experienced Korean culture, drama, film and Korean food all appeared high on a similar level and the first image coming to mind from ‘Korea’ turned out to be drama, Kimchi and K-Pop in the order. As to Korean culture education, they showed a higher demand for modern culture than traditional culture. For Culture elements wanted to learn, culture related to Koreans’ daily life came first, and for preferred teaching method, lecture and hands-on experience showed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Besides, along with culture education meeting the demands from foreign students, there should be efforts for career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too, should be accompanied by research made on the students’ demands and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