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립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교직논술 내용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유선영 ( Yu¸ Sunyoung ),박선혜 ( Park¸ Seonhye ),조해연 ( Cho¸ Heayo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공립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교직논술의 특성 및 경향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1학년도부터 2021학년도까지 임용시험에 출제된 교직논술 문항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워드클라우드, 연결망 시각화, 빈도, 연결정도중앙성, 사이중앙성을 제시하고 주요 핵심 단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1기(2001-2008학년도)에는 교육, 2기(2009-2012학년도)와 3기(2013-2021학년도)에는 교사가 가장 중요한 단어로 나타났다. 1기에서는 교육, 학교, 학습과 관련된 주제에서 2기와 3기에서는 교사에 관련된 주제가 주로 출제되는 것으로 경향이 변화하였다. 교직논술 시험 문항이 교과학습지도와 관련성이 높으며, 이론과 지식을 복합적으로 통합한 형태로 출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01학년도부터 2021학년도까지 임용시험에서 등장 순위가 가장 높은 핵심 키워드 5개는 교사, 유아, 부모, 교육, 유치원이었다. 각각의 단어들은 매 시기별로 반복해 등장하지만, 연결된 단어들을 살펴보면 중점을 둔 방향이 서로 상이하다. ‘교육’ 중심 네트워크는 1기에서 가장 강조되었다가 상대적으로 점차 등장 빈도가 줄어들었고 3기에는 인성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교사’는 2ㆍ3기로 갈수록 빈번하게 출제되는 경향으로 변화하였고, 3기에서는 교사를 중심으로 부모, 유치원, 유아, 교육, 상담 등 단어가 제시되는 등 교사 전문성 향상 관련 단어들이 나타나 교육 현장에서 경험할 상황이 출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직논술 시험이 현장을 토대로 고차원적이고 창의적 사고를 평가하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essay type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questions using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essay type examination questions that were carried out from the year of 2001 to 2021. The text network analysis was used for investigate the key words, work clouds, frequency,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 centra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key word in the first term(from the year of 2001 to 2008) is ‘education’. The main key words in the second term(from the year of 2009 to 2012) and third term(from the year of 2013-2021) are ‘teacher’. The topics in the first term was related to education, school, and learning and most of the essay questions in the second and third term were related to teacher. Second, the top frequency key words from the year of 2001 to 2021 were teacher, children, parents, education, and kindergarten. The ‘education’ centered network was most emphasized in the first term, but the frequency of its appearance gradually decreased, and the ‘personality’ newly appeared in the third term. The ‘teacher’ appeared frequently in the second and third term, and the words related to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ism were presented in the third term.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essay questions need to improve in the direction of evaluating higher and creative thinking based on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선영(Yu, Sunyoung),길효정(Gil, Hyo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협동역량, 창의융합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와 창의융합역량의 매개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대학생활적응 향상 및 예비유아교사 역량 강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전북 지역 3곳의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고 회수된 210부 중 최종 152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협동역량, 창의융합역량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협동역량과 창의융합역량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협동역량과 창의융합역량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협동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창의융합역량은 부분매개변수로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유아교사양성과정의 교육과정에서 예비교사의 협동역량과 창의융합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유아교육 현장성을 강화한 교육과정 운영 및 다양한 교수법 활용을 통해 역량 함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and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i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o examine whether th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would medi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operative competen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e hundred fifty two students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 universities in Gyeonggi and Jeonbuk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ho has higher cooperative and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competen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determin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and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ies for college life adapt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se competencies by operating the curriculum that strengthened the field conn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utilizing various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유‧초 연계 관점에서 본 미국의 CCSS 언어교육과정과 우리나라 언어교육과정의 비교연구

        유선영(Yu, S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CCSS 언어교육과정과 우리나라 누리과정 의사소통영역 및 2015 개정 초등학교 1학년 국어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나라의 언어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유 초 연계의 특징 알아보고 우리나라 유 초 언어교육의 연계성을 위한 적절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분석준거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목표, 내용범주 및 내용, 세부내용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미국 CCSS 언어교육과정은 만 5세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및 상급학교까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미래의 ‘대학, 직업, 인생의 성공’을 위한 포괄적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미국 CCSS 언어교육과정은 우리나라 누리과정 의사소통영역과는 달리 말(Language)이라는 내용범주를 제시하여 표준어의 규칙 이해, 단어 및 문장과의 관계 이해, 단어 습득 및 사용 등 학습과 관련된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제도가 시작되는 유치원부터 ‘읽기’ 영역이 강조되어 교사가 다루어야 하는 내용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셋째, 미국 CCSS 유치원과 1학년 언어교육과정은 동일한 내용범주로 구성되어있고 세부내용에 유치원과 1학년과의 수준을 달리하여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유 초 언어교육의 연계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정 시기를 동일하게 하여 교육과정을 공동개발하고, 만 5세와 초등학교 1학년 언어교육내용은 공통 내용범주 안에서 세부내용이 심화되는 방향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for language ar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national language arts curriculum in Korea for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With the results as basi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continuity of language arts curriculum from kindergarten to first grade. The CCSS for language arts in the United States, the language arts of Nuri curriculum, and the national language arts curriculum for first grade in Korea were reviewed.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CSS encompasses comprehensive educational goals that promote literacy skills and concepts for success in college, career, and life based on continuity from kindergarten to higher grades. On the contrary, Nuri curriculum provides specific educational goals that focus on children’s basic communication skills. Different from Nuri curriculum, CCSS stipulate “language” standards that include the essential rules of common written and spoken English. CCSS also concentrates on understanding words and phrases and their relationship in relation with children’s learning. Unlike the national language arts curriculum in Korea, CCSS for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comprises similar categories-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and language-and employs detailed examples based on the grade level. Simultaneous development of curriculum must be considered to strengthen continuity from kindergarten to first grade. In addition, the language arts curriculum for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should specify details under the same categories.

      • KCI등재

        미국(NAEYC)과 한국 유아교육기관 평가의 부모참여 비교 연구

        유선영(Yu, Sunyoung),박선혜(Park, Seonhye),조해연(Cho, Hea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NAEYC의 부모관련 영역 및 부모 참여 형태를 우리나라유치원, 어린이집 평가와 비교 분석하여 평가지표 발달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국 NAEYC 평가인증, 유치원 평가, 어린이집 평가인증 중 부모관련 영역 지표가 제시되어 있는 온·오프라인 문서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평가에 비해 미국 NAEYC의 평가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을 마련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부모 및 가족을 참여시켰 다. 또한 NAEYC는 평가 항목에 의무적으로 부모 설문지를 포함하여 부모가 평가에 참여하게 하고 평가 결과를 상세히 공개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의 경우 부모 참여 형태가 제한되고 부분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부 모 참여가 문서상 형식적인 형태가 아닌 기관과 가정이 협력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을 확인하는 방안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미국 NAEYC 평가인증 지표의 부모관련 내용과 부모참여 형태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차용하여 부모만족도 조사를 강화하는 것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한다. Major transitions related to th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have recently occurred in Korea. Such changes relate to the integrated evalu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It has been 10 years since the evaluation of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 and now is a good time to revisit the existing evaluation indicators.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have expanded quantitatively as a result of government-initiated policies; hence, parents are now able to choose the suitable institution from among a wide range of selections. Furthermore,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institutions and familie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ren and the quality of the programs themselves. Hence, identifying how parents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s necessary. In relation to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the Korean national evaluation criteria through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parents’ participation as an evaluation indicator in the NAEYC in the US and in Korea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For the study, resources like official government documents and web-based contents related to parents’ participation as an evaluation indicator were collected from Websites. As a result, the NAEYC provides detailed guidance to parents and families as part of evaluation indicators to determine par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It is a required part of an evaluation process tool.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used to check and verify the quality of the institution being evaluated. In order to carry out the proper evaluation of Korea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authorities should consider parents’ participation and how they experience the improvements. Furthermore, providing the indicators to check out the cooperation of institutions and families towards the common goal of quality improvement is also important. The study suggests that more active parents’ participation, which can be solicited through detailed surveys, should be required in the evaluation process of Korea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문제해결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길효정(Gil, HyoJeong),유선영(Yu, S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와 문제해결역량의 매개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전북 지역 4곳의 유아교육과 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3일부터 30일까지 4주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 168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기주도역량과 협동역량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역량은 부분매개변수로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동역량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역량의 매개 효과를 살펴본 결과, 협동역량은 문제해결역량을 완전매개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유아교사양성과정의 교육과정에서 대학생활 적응 및 미래 유아교사로서 요구되는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 문제해결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법과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cooperative competenci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o examine whether the problem-solving competence would medi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cooperative competenci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e hundred sixty eight students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4 universities in Gyeonggi and Jeonbuk area.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ho has higher self-directed competence and cooperative competence has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solving compet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competenc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ls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solving competence tot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competenc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determined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cooperative, and problem-solving competencies for college life adapt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se competencies required as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changes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에 관한 탐색

        김은정(Kim, EunJung),유선영(Yu, S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어떤 이유로 교직을 선택하였고 그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었는지 교직 선택 동기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4년제 H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 67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 터 8월까지 교직 선택 동기를 자유롭게 기술하고 심층 개별면담을 실시한 후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 선택 동기는 ‘직업으로서 교직의 매력’, ‘유아들과 함께 하는 기쁨’, ‘의미있는 타인의 영향’, ‘나의 적성과 능력’, ‘상황에 의한 것’ 5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사양성과정을 거치면서 가르치는 직업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을 유지하고 유아들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 할 수 있는 현장중심 프로그램 운영이 모색되어져야 하겠다. 또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 유아교사로서의 사명감, 책임감, 교직관을 고찰해보는 과정을 제공하고, 학습 호기심 및 창의성 개발 기회를 제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능동적 동기를 높이고 교직특성을 이해하여 전공 만족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져야 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nd investigate the reason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choice. Sixty-seven freshman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in G-city were selected to describe their motivations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nd they were then interviewed in dept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were categorized into five: “attraction of teaching profession as a job,” “joy and happiness with young children,” “meaningful influence form others,” “personal aptitudes and abilities,” and “choices according to situation.” Taking into account these motivation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guided to recognize the value of teaching profession. They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a field-oriented program that enables them to keep their love and concern for young children and experience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ir potential students. An opportunity to ponder the mission, responsibility, and vision of teaching profession can become a foundation for reflective thinking. Moreover,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offered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curiosity and creativity so that they remain interested in their major. Programs that allow pre-service teachers to experience satisfaction toward their major can serve as basis for active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of teaching profession.

      • KCI등재

        원격수업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이러닝효능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길효정 ( Gil Hyo Jeong ),유선영 ( Yu Sun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learning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distance clas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learning efficacy and social presen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800 students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15 universities that conducted distance classes, and the final 331 cop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fer distance class, reflecting the fact that distance class has less space and time constraints than face-to-face classes and that it is possible to repeat learning.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learning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distance cla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higher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higher learning persistence was exhibited. Third, it is found that e-learning efficacy and social presence play a doubl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persistence. Accordingly, implications are provided for ways to improve learning persistence in the future designing distance class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영유아교사 양성과정 교재에 수록된 전이 관련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조해연(Cho, Heayoun),박선혜(Park, Seonhye),유선영(Yu, S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 양성과정 교재에 수록된 전이 관련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1-2019년 출판된 대학 교재 중 ‘전이’와 관련된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 영유아교육 관련 도서 49권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전이’ 키워드가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하여 워드클라우드, 연결망, 시각화, 연결정도중앙성, 사이중앙성을 제시하고 ‘전이’ 관련 단어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전이’ 키워드가 포함된 텍스트에서 활동이 가장 중요한 단어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시간, 유아, 전이활동, 사후, 계획, 교사, 사전, 놀이, 정리정돈 등의 중요한 단어로 나타났다. 결론 영유아교사 양성과정 교재에서 소개되는 ‘전이’의 내용이 편중되어 나타났다.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전이에 대한 개념이 재정립될 필요가 있으며, 교재 내용 구성에 있어 이론과 실제가 균형을 이루도록 집필되어 예비유아교사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이에 대해 영아와 유아의 발달차를 고려하지 않고 유사하게 설명되고 있어 영유아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안내가 필요할 것이다. 분석 결과, 전이는 주로 교사의 원활한 일과 운영에 초점을 두어 설명되고 있었으므로 향후 영유아 중심의 전이로 전환을 제안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evance by extracting the keywords related to transition contained in textbook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Methods For this purpose, texts containing the keyword ‘transition’ in the textbooks published in 2011-2019 were extracted and used as analysis data,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activity’ appeared as the most important word in texts containing the keyword ‘transition’, followed by time, children, transition activity, post, plan, teacher, pre, play, and clean-up time. Conclusions The contents of ‘transition’ introduced in the textbook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was found to be biased. The concepts of transi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needs to be re-established. The textbooks should be written in such a way that theory and practice are balanced, so that it should provide practical help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since the textbooks describe ‘transition’ similarly without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difference between infants and young children, differentiated guidance will be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ransition’ was mainly explained by focusing on operating the smooth daily routine for teachers, so it was suggested that ‘transition’ needs to be explained with a focus on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