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언론에 보도된 울릉도 사회

        유미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해양정책연구 Vol.34 No.1

        Ulleungdo Society Reported in the Newspap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aspects of the Ulleungdo society in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seen through newspapers, magazines, and publications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specially, the newspaper is the medium that can convey the aspect of the events developed in Ulleungdo and its transformation. Since Ulleungdo was not a well-known island, each newspaper first introduced the history of Ulleungdo and introduced Ulleungdo's topography, and population. Reports on Ulleungdo's history and specialty products are roughly the same for every newspaper. Ulleungdo society, which can be grasped through newspaper articles, can be largely informed about the economic situation, educational institutions,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harbor status, religion, disaster and resource invasion status. The newspapers occasionally repor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eople and Japanese people. In the paper, we can see the increase of fishery population, the exported goods, the commercial and trade business population, Koreans who cooperated with Japan, the number of schools, and the frequency of ship operations in Ulleung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cultivated silk and special crops and exported cattle to Japan. Exports were primarily primary products, and commerce and trade were dominated by Japanese.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the economy of Ulleungdo is fishing, which mainly exported squid, abalone, mackerel. The ships were operated mainly between Pohang and Ulleungdo, Busan and Ulleungdo, Ulleungdo and Sakai Port in Japan. Most of the Koreans were employed by Japanese, so when fishing was in trouble, they had to rely on the Japanese loan system. As the vicious circle of poverty recurred due to overpopulation, residents migrated to Manchuria and miners, but their lives did not improve. Ulleungdo in the colonial period was also a history that was struck by the invasion like the mainland of Korea. 일제 강점기 울릉도 사회의 양상은 신문과 잡지, 조선총독부 간행물 등을 통해 엿볼 수 있다. 이 가운데 신문 기사는 울릉도에서 전개되는 사건의 양상과 변모하는 모습을 가장 빨리 전해주는 매체라고 할 수 있다. 울릉도가 널리 알려진 섬이 아니었으므로 각 신문은 울릉도의 연혁을 우선적으로 소개하였으며, 울릉도의 지형과 지세, 인구 현황 등을 소개했다. 울릉도의 연혁 및 특산물에 관한 보도는 신문마다 대략 비슷하다. 신문기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울릉도 사회는 크게 경제현황과 교육기관, 교통과 통신, 항만 현황, 종교와 재난, 자원의 침탈 현황 등이다. 울릉도 도민과 일본인과의 관계에 대한 보도도 간혹 있었다. 신문기사로 울릉도의 경제·사회적 변화를 엿볼 수 있는데, 특히 어업 인구의 증가와 수출품, 상업과 무역에서의 일본인의 침탈 정도, 부일 협력한 한국인, 학교의 증가현황, 선박 운항 횟수의 변화 등을 알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울릉도에서는 양잠과 특용작물 재배가 성행했으며 소를 일본으로 수출했다. 수출품은 주로 일차 산물이었고, 상업과 무역은 일본인이 장악했다. 울릉도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것이 어업인데, 오징어와 전복, 고등어 등을 주로 수출했다. 선박은 포항과 울릉도, 부산과 울릉도, 울릉도와 일본 사카이항 사이를 중심으로 운항되었다. 조선인은 대부분 일본인에게 고용된 상태였으므로 흉어기에는 일본인의 고리대금업에 의존하여 생활해야 했고, 인구 과잉으로 빈곤의 악순환이 되풀이되자 만주나 광산노동자로 이주했지만 생활은 나아지지 않았다. 울릉도 역시 조선 본토와 마찬가지로 침탈로 얼룩진 것이 강점기의 양상이었다.

      • KCI등재후보

        울릉도 마을지명의 형성과 고착과정

        유미림 동북아역사재단 2019 영토해양연구 Vol.18 No.-

        Geographical names in Ulleungdo used to be confined to what the inspector had named for the surrounding islands, mountains and streams. However, the number of village names began to rise as the number of people entering the island increased in the modern period. Literature where place names are recorded show errors as the authors wrote as what they heard.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severe when it comes to the names recorded by Japanese who had few understanding of Korean dialect. There are several causes of the misrepresentation of the place names. First, when a place name was written by transcribing the sound or the meaning, the result could vary per person who recorded the name. Second, the recorder could be confused by mis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place name or due to similar pronunciation. That is why the current place names show many errors. Further, the failure of the Japanese to understand Korean dialects aggravated this error. Third, for record purposes or for administrative convenience, the number of characters was reduced or two names were merged together. Fourth, some names were changed from Korean to Chinese characters. Fifth, there were cases where the Japanese replaced Korean names with Japanese names, which resulted in altered meaning of the place name. Ulleungdo had been frequently visited by Japanese people even before it was pioneered, thus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island reflect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The Japanese influence is very significant on the background to the names that have been incorrectly transferred or the names that carry different meaning. The names that had been misrepresented by Koreans settled down as the island went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fter the liberation, the names have been followed by Koreans to the present day. Also, there are names newly designated after the liberation. However, some of the place names from the Joseon Dynasty were developed by the Japanese, while some of the geographical nam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uld be an extension of the names used in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imply classify them into place names from Joseon an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upon the year of formation. As the errors of the place names in Ulleungdo have been revealed now, information currently available online should be corrected immediately and reflected in the forthcoming Ulleunggunji (The geography of Ulleung-gun). 울릉도에서 지명은 조선 후기 수토관이 주변 도서와 산천의 형상에 의거하여 명명하는 데 지나지 않았으나 근대기에 개척령을 전후해서는 입도자가 늘어남에 따라 마을지명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지명을 기록한 문헌을 보면, 기록자마다 들은 대로 옮기다보니 잘못 전해지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한국의 방언을 모르는 일본인이 더 심했다. 지명이 잘못 전해지게 된 원인은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음을 빌리거나 뜻을 빌려 지명을 표기할 때 기록자마다 다르게 표기했기 때문이다. 구멍바위를 ‘穴巖’과 ‘孔岩’으로 다르게 표기하거나, ‘구미’와 ‘작지’를 저마다 다르게 표기한 것이 이에 속한다. 둘째, 기록자가 지명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거나 발음의 유사성으로 인해 혼돈을 겪어 달라진 경우이다. 현전하 는지명 오류의 대부분이 이로 인해서인데 일본인에 의해 와전된 경우가 많다. 한국어를 이해하지 못해서이다. 玄浦를 玄圃로, 石浦를 石圃로, 鶴浦를 鶴 圃로 표기한 것이 대표적이다. 셋째, 기록상 혹은 행정상의 편의를 위해 글자 수를 줄이거나 두 지명을 하나로 병합한 경우이다. ‘도방청’을 ‘도동’으로, ‘저전동·저전포’를 ‘저동’으로, ‘아륙사’를 ‘사동’으로, ‘통구미동’을 ‘통구동’으로, ‘왜선창’을 ‘창동’으로 바꾼 경우가 이에 속한다. 넷째, 우리말 지명대신 한자지명으로 바꾼 경우이다. ‘대황토구미’와 ‘소황토구미’, ‘골개(谷 浦)’ 등을 태하동, 학포동, 남양동으로 바꾼 것이 이에 속한다. 다섯째, 한인의 고유 지명을 일인이 일본식으로 바꾼 경우이다. ‘구미’를 ‘감 (坎)’으로 바꾼 것, 관음도의 이전 명칭인 방패도가 사라진 것이 대표적이다. 울릉도는 개척 이전부터 일본인의 왕래가 잦았던 만큼 지명에서도 그 영향이 드리워 있다. 그 결과 현전하는 지명이 잘못 전해지거나 원래의 뜻에서 멀어지게 된 배경에는 일본인의 영향이 매우 크다. 한인에 의해 와전 된지명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정착했고 해방 후에는 한인에 의해 그대 로답습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또한 해방 후에 새로 만들어진 지명도 있다. 조선시대 지명 가운데는 일본인이 명명한 경우가 있고, 일제 강점기의 지명이라 할지라도 조선시대 지명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경우가 있으므로 생성연도에 의거하여 조선시대 지명과 일제 강점기 지명으로 단순 분류하기는어렵다. 이제 울릉도 지명의 오류가 밝혀진 이상 현재 온라인상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바로 수정되어야 하며, 앞으로 발간된『울 릉군지』에도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조선 후기 王權에 대한 연구: 영조 연간의 군신간 義理논쟁을 중심으로

        유미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한국학 Vol.25 No.1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Chosŏn Kingship through the debate between King and Servants regarding eŭiri(義理). The Neo-Confucian ruling idea of the late Chosŏn develop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olitical system. The Neo-Confucian eŭiri theory(義理論) was the main factor influencing the regulation of the political process. This theory was the logical ground and ideological weapon to eliminate opposite factions in the political competition and conflicts, and became not only the main factor in gaining or losing power but also the norm which restricted the political activities between King and Servants. The fact Yŏngjo's obligation to noron(老論) in the process of the enthronement process make monopoly of political power of noron and restrain of the Kingship. The T'angp'yŏng(蕩平) policy which had a new vision and idea wasn't effective due to the weakness of Yŏngjo from the very beginning, incurred the retrenchment of the King's political role. The main cause of the failure to strengthen the Kingship could be found in the King's eŭiri theory which was brought King's eŭiri theory up to achieve the political idea, 'T'angp'yŏng(蕩平)' contradicted with Neo- Confucian eŭiri theory logically. The above shows that the Kingship was strongly restrained by Neo-Confucian euiri theory rather than the power politics in Chosŏn. This is very important when explaining how ideology affects actual politics in political phenomena. To draw a conclusion from the above, this article has analysed the logic of the euiri theory of the King and Servants from the Annals of the Chosŏn Dynasty and examined the process of the Kingship weakening in the process of political compromise under the discord.

      • KCI등재

        통계자료로 보는 일제 강점기 울릉도 사회의 양상

        유미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0 해양정책연구 Vol.35 No.1

        This article examines aspects of Ulleungdo's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a focus on the statistic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Ulleungdo's population was about 8,000 in 1913, including Japanese. In 1944, however, the number of Koreans increased to more than 15,000. The greatest number of Japanese was in the early 1910s, when there were more than 2,000. 이 글은 일제 강점기 울릉도 사회의 제 양상을 조선총독부 간행 통계서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울릉도 인구는 일본인을 포함하여 1913년에 1700가구, 8천 여 명이던 것이 1944년에는 한인이 만 5천 명이 넘을 정도로 증가했다. 일본인이 가장 많았던 시기는 1910년대 초반 2천 명이 넘었을 때이다. 울릉도에서 대다수의 도민은 농업을 본업으로 했고 수산업은 일본인이 거의 맡아서 했다. 농산물로는 콩 수확량이 가장 많았고 잡곡으로는 옥수수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울릉도민은 부업으로 양잠업을 했는데 양잠 가구 700가구 중 5분의 2가 일본인이었다. 개척기 울릉도의 대표적인 자원은 목재였지만 일본인의 남벌로 인해 강점기에는 벌목할 만한 목재가 거의 없었다. 울릉도에서 사육된 가축은 소, 돼지, 산양, 닭인데 소는 육질이 좋고 값이 싸 육지와 일본으로 수출되었다. 가구마다 두 마리를 목표로 기를 정도로 농가 경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1932년 통계에 따르면, 소 2009마리, 돼지 1145마리, 산양 342마리, 닭 2,579마리가 사육되었다. 무역은 일찍부터 개시되어 1932년 18개의 품목 103,783엔에 해당하는 물품을 수입했고 수출액은 173,821엔이었다. 무역에 비해 시장은 잘 발달하지 못했다. 필요한 물자의 수요·공급은 상설점포에서 이뤄졌다. 수산업은 오징어잡이가 주종을 이뤄 조선에서 어획되는 오징어의 8할이 울릉도산일 정도이므로 울릉도 경제에서 오징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마른 오징어는 일본으로 수출했다. 어업은 대부분 자영자급이었고 자본가적 대규모 어업은 없었다. 1930년대 후반에는 고등어도 주요 어종의 하나였고, 김 생산도 활발했다. 교육기관은 1930년대 초기까지 공립보통학교가 1개, 공립심상소학교 2개, 공립심상고등소학교 1개가 있었다. 한인을 위한 교육기관이 부족해서 서당 또는 사설학술강습회에서 교육을 받았다. 1936년 울릉도에 있던 공공기관은 울릉도청, 울릉도경찰서, 대구지방법원 울릉도출장소, 부산세관 울릉도출장소, 포항세무서 울릉도주재소, 울릉도우편소, 울릉도삼림보호구 등이었다. 이들 외에 원잠종(原蠶種)제조소 울릉도지소, 연초판매소, 조선총독부 수산제품 검사소 울릉도출장소 등이 신설되었고 모두 도동에 있었다. 도청의 행정사무는 도사(島司와 도속(島屬), 고원(雇員), 산업기수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3면 9동 체제에서 동을 다시 구(區)로 나누는 구제를 실시했다. 이에 각 면에는 면장과 면서기, 구장, 협의회원을 두었다. 1915년에 군제에서 도제로 바뀐 뒤에는 도사가 경찰서장을 겸했다. 각종 공공단체와 산업단체는 중요 사항을 도청 직원과 협의했다. 대표적인 공공단체는 학교조합과 금융조합, 어업조합, 삼림조합, 울릉도농회, 재향군인분회, 애국부인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체는 일제가 조선 본토에서 실시하던 식민정책을 울릉도에서 실행하는 데 적극 협조하는 역할을 했다. 조선총독부는 울릉도에서의 모든 현황을 파악하여 통계자료로 남겼는데 피아의 구분이 없이 통계만 실어 한국인이 피탈당한 상황을 따로 알기가 어렵지만 일본에 의한 경제적 이익 독점구조가 전제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오히려 식민지배의 실상이나 수탈 현황은 언론이 보도하고 있었다. 이렇듯 총독부 간행물이 지닌 한계는 있지만 통계 현황은 일제의 수탈과 울릉도의 사회경제적 변화 양상을 엿볼 만한 단서를 제공한다.

      • KCI등재

        장한상의 울릉도 수토와 수토제의 추이에 관한 고찰

        유미림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9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1 No.1

        The dispute over Ulleungdo between Korea and Japan arose from Ahn Yong-Bok’s going over to Japan in 1693. Accordingly, the Joseon government sent Jang Han-Sang to Ulleungdo and made him investigate its situation in detail. The government decided to institutionalize the inspection of the island after that and have government patrol system of 2-year intervals stablished since 1699. Jan Han-sang who inspected the island left one of his records, ‘Historic Relics of Ulleungdo’. Park Se-Dang also recorded same contents in ‘Ulleungdo’, but his record has more detailed explanations that Jang Han-Sang did not write. They are about the on-site inspection investigated by some soldiers under Jang Han-Sang’s command before he landed on Ulleungdo. The Joseon government institutionalized annua inspection of the island and the Japan government did not attempt to cross the sea of Ulleungdo for a while making an order to prohibit Japanese’s crossing. Government patrol system continued during the reign of King Yongjo and the annual record about the inspection of the island in the reign of King Jungjo has a characteristic with more detailed explanations. Active developments on Ulleungdo managed through the Inspection policy of the island were embarked coupled with the instruction to explore Ulleungdo in 1880. The inspection of the island had been carried out since this instruction and it had more complicated aspects with detailed terms such as investigation, inspection.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Ulleungdo changed to the system ruled under county headman, chief, governor of Ulleungdo after the abolition of government patrol system. 1693년에 안용복이 일본으로 건너감으로써 한일 양국 간에는 울릉도를 둘러싸고 분규가 생겨났다. 이에 조선 정부는 1694년 9월에 장한상을 울릉도로 보내 자세한 상황을 조사하게 하였다. 그 후 조정에서는 수토를 제도화하기로 방침을 정해 1699년부터는 2년 간격의 수토제가 정착되어갔다. 1694년에 수토한 장한상은「울릉도 사적」이라는 기록을 남겼는데, 같은 내용이 박세당의「울릉도」에도 실려 있다. 다만 박세당의 기록에는 장한상의 기록에는 없는 부분까지 담고 있다. 그것은 장한상이 울릉도로 들어가기 전 군관을 시켜 사전 답사한 내용이다. 장한상의 수토 이후 조선은 숙종 연간 수토를 제도화하게 되었고, 일본은 도해금지령을 내게 되면서 한동안 울릉도 도해(渡海)를 꾀하지 못하였다. 영조 연간에도 수토제는 지속되었으며, 정조 연간의 수토 기록은 이전 기록에 비해 자세한 것이 특징이다. 수토정책을 통해 관리되던 울릉도는 1880년대에 들어서자 개척령을 내려 적극적인 개발에 착수하였다. 개척령이 내려진 뒤에도 한동안 울릉도에서는 수토가 실시되는데 이때에는 검찰, 사검(査檢) 등의 용어도 등장하여 수토제가 좀더 복잡한 양상을 띠었다. 수토제가 폐지된 후 울릉도의 행정체계는 도장제에서 도감제로 바뀌었다가 군수제로 변천하는 모습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