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판의 미로」에 나타난 `위대한 어머니 여신` 연구 : 에리히 노이만을 중심으로

        원형준 ( Won Hyeong J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본 글의 목표는 영화 「판의 미로」를 에리히 노이만의 `위대한 어머니 여신`과 원형적 여성성 이론에 따라 분석, 영화 속 신화적 요소를 연구하고 그러한 요소들이 여성성의 회복을 상징함을 밝히는 것이다. 영화에는 분석심리학에서 논하는 집단무의식의 신화적 원형이 잘 담겨져 있다. 사악한 왕과 고통받는 여주인공, 현실과 환상의 교차, 상상의 괴물들, 선과 악의 대결 등 신화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보편적인 주제, 패턴, 캐릭터이다. 이와 관련해 노이만은 여성성의 원형에 초점을 맞춰 연구한 바 있다. 그는 칼 융의 원형적 여성성과 집단 무의식 이론을 기반으로 `위대한 어머니 여신(Magna Mater)` 논하면서 어머니 여신은 수천 년 전부터 숭배되었고 관련 상징은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됐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노이만을 중심으로 칼 구스타프 융, 미르치아 엘리아데, 가스통 바슐라르, 질베르 뒤랑의 이론을 연구 도구로 삼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융이 여러 차원으로 분류한 어머니 여신에 대해 설명했다. 둘째, 노이만이 무의식을 `원형 본체`, `우로보로스`, `원형적 여성성`, `위대한 어머니` 단계로 구분한 것에 대해 논했다. 셋째, 여성성의 발달이 `기초적 성격`, `변환적 성격`, `영적 변환`로 단계로 구분됨을 이야기했다. 넷째, 원형적 여성성의 상징을 여성=몸=그릇=세계로 도식화하고 표를 중심으로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앞서 논했던 것을 바탕으로 원형적 여성성, 위대한 어머니 여신이 영화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펴보았다. 또 한편, 영화를 `판과 미궁의 상징성`, `아버지 신과 어머니 여신`으로 구분하고 연관된 원형적 여성성을 모색했다. 본 논문의 의의는 「판의 미로」를 비롯한 예술·영상·문학·게임 등의 문화콘텐츠에서 원형적 여성성과 어머니 여신의 원형을 모색, 오늘날 인간 무의식 속에서 원형의 구성 원리를 탐색한다는데 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mythical elements found in Pan`s Labyrinth based on Erich Neumann`s theory of feminine development most notably formulated in The Great Mother and highlight the fact that such elements symbolize the restoration of femininity. The film well features the mythical archetype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ten dealt with in analytical psychology. There are themes, patterns, and characters universally seen in myths, such as an evil king, a troubled heroine, the crossing of reality and fantasy, fanciful monsters, the conflict between good and evil. Neumann focused his study on the feminine archetype with these universal elements in consideration. He discusses the Great Mother based on Carl Gustav Jung`s theory of feminine archetype a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argues that the Great Mother has been worshipped over the past thousands of years and pertinent symbols came to being spontaneously. This paper centers on Neumann with the theories of Jung, Mircea Eliade, Gaston Bachelard, and Gilbert Durand utilized in combination. First, the Great Mother, classified into various dimensions by Jung, is explained. Second, Neumann`s classification of unconsciousness into the archetype, ouroboros, feminine archetype, and Great Mother is explored. Third, the classification of the development of femininity into the basic characteristics, transformational characteristics, and spiritual transformation is dealt with. Fourth, the symbols of the feminine archetype are displayed in diagram form of woman=body=vessel=world with an explanation given on the diagram. Lastly, based on what has been discussed, the paper highlights how the feminine archetype and Great Mother are described in films. Films were divided into the “symbolism of Pan and the labyrinth”, and “Great Father and Great Mother” to seek the related feminine archetyp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at it reveals, although only in part, the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the archetype within unconsciousness of people today by delving into the feminine archetype and archetype of the Great Mother found in cultural content such as arts, films, literary works, and games.

      • KCI등재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에 나타난 비너스로서 ``위대한 어머니 여신`` 연구

        원형준 ( Won Hyeong J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본 글의 목표는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의 작품에서 찾을 수 있는 ‘위대한 어머니 여신(Great Mother Goddess)’로서의 비너스 여신 도상을 분석, 정리하는 것이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비너스 여신으로 그 권위와 역할이 축소된 위대한 어머니 여신은 구석기 시대부터 조각상이 제작되고 숭배되었던 최고(最古)의 신이다. 어머니 여신은 고대의 모계 세계에서 모든 생명을 낳고 인류의 기원인 사랑의 여신으로써 경배의 대상이었으나, 부계 사회로 전환되면서 남성 신(특히 중세 기독교)에 의해 억압 축소되었다. 이러한 점들로 미루어볼 때 르네상스 시대에는 어머니 여신이 어떠한 모습으로 재등장할 수 있었는지 도상해석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그것은 먼저 도상적인 면과 분석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원형(archetype)’적 이미지로서 억눌렸던 여성성을 조망한다는 측면이다. 르네상스 시대의 비너스-위대한 어머니 여신 도상 해석은 에르빈 파노프스키와, 분석심리학의 에리히 노이만(Erich Neumann), 그리고 당대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준 마르실리오 피치노의 설을 연구 도구로 삼았다. 본 글에서는 첫째, 보티첼리와 티치아노의 작품 속 비너스와 위대한 어머니 여신의 연관성을 찾아보았다. 둘째, 비너스 여신의 ``이중적 자세``와 위대한 어머니 여신의 도상적 의미를 탐구했다. 끝으로 미켈란젤로의 메디치 가문의 채플 조각상의 도상과 비너스-어머니 여신과의 관계에 대해 논했다. 결국 어머니 여신이 남성 신의 시대에 억압되면서 사랑의 여신, 섹슈얼리티의 여신으로 축소된 것이 비너스 여신임을 확인했다. 르네상스의 어머니 여신은 신플라톤주의 덕분에 비너스로 잔존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compile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Venus as Great Mother Goddess in art during the Renaissance. Statues of Mother Goddess had been created and worshipped as the supreme god since the Old Stone Age, but she was reduced to Venus, a goddess that simply symbolizes sexuality, during the Renaissance. Mother Goddess was worshipped as the origin of humankind in the ancient matrilineal time, but her role was reduced by male gods (particularly by male-dominated Christianity in the Middle Age) with a transition into a patrilineal society. As such, it will be interesting from the perspective of iconographic analytics to look into how Mother Goddess was represented in art during the Renaissance. In terms of iconography and analytic psychology, this paper is aimed at highlighting femininity of Mother Goddess, which has been overlooked or concealed, based on the image of Mother Goddess as the archetype of humankind. To this end, this paper employs theories of Erwin Panofsky, Erich Neumann and Marsilio Ficino. This paper will first seek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Venus and Great Mother Goddess in works of Botticelli and Tiziano. Second, this paper will highlight the double postures of Venus and the iconic meaning of Great Mother Goddess. Lastly, this paper will discuss the statue created by Buonarroti Michelangelo and installed at a chapel of the Medici family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Venus-Mother Goddess.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Mother Goddess suppressed by male gods and reduced to the goddess of love and sexuality is Venus. Mother Goddess during the Renaissance continued to remain as Venus due to Neoplato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