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감정 기반 영상의 색변환

        우혜윤,강행봉,Woo, Hye-Yoon,Kang, Hang-B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7 No.2

        본 논문은 사용자 취향 학습 방법으로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감정 기반 영상의 색 변환을 제안한다. 색 변환은 주로 조화로운색상의 범위를 정의한 기존의 템플릿을 기반으로 영상의 채도와 명도를 제외한 색상만을 변환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어 왔다. 색상의 조화를 조절함으로써 부자연스러운 영상을 자연스럽게 변환하여 영상을 감상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였다. 한편, 색은 사람의 감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색과 감정의 관계를 정의 하면, 감정 기반 콘텐츠와 기술 등에서의 상호 작용을 높일 수 있다. 감정에 의한 색 변환은 콘텐츠 감상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콘텐츠와 자신이 교감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어 흥미와 몰입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감정 기반 색 변환을 위한 각 감정 별 색의 범위를 정의하고, 색상, 채도, 명도에 대한 색 변환을 수행한다. 하지만 색과 감정의 관계는 개인의 취향,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 된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사용자 취향을 학습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인다. 취향 학습 방법으로는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사용자 취향에 의한 색변환 영상의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원본 영상에 비해 색변환 영상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템플릿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보다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템플릿에 의한 변환이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킴을 보인다. This paper proposes color transformation of images based on user's preference. Traditional color transformation method transforms only hue based on existing templates that define range of harmonious hue. It does not change saturation and intensity. Users would appreciate the resulting images that adjusted unnatural hue of images. Since color is closely related to peoples' emotion, we can enhance interaction of emotion-based contents and technologi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fine the range of color of each emotion for the transformation of color and perform the transformation of hue, saturation and intensity. However, the relationship of color and emotion depends on the culture and environment. To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in color transformation, we propose the transformation of color that is based on user's preference and as a result, people would be more satisfied. We adopt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to learn about user's preference. We surveyed the subject to analyze user's satisfaction about transformed images that are based on preference, and we found that people prefer transformed images to original images. Therefore, we conclude that people are more satisfi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templates which reflected user's preference than the one that did not.

      • KCI등재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감정 기반 영상의 색변환

        우혜윤,강행봉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7 No.2

        This paper proposes color transformation of images based on user's preference. Traditional color transformation method transforms only hue based on existing templates that define range of harmonious hue. It does not change saturation and intensity. Users would appreciate the resulting images that adjusted unnatural hue of images. Since color is closely related to peoples‘ emotion, we can enhance interaction of emotion-based contents and technologi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fine the range of color of each emotion for the transformation of color and perform the transformation of hue, saturation and intensity. However, the relationship of color and emotion depends on the culture and environment. To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in color transformation, we propose the transformation of color that is based on user's preference and as a result, people would be more satisfied. We adopt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to learn about user's preference. We surveyed the subject to analyze user's satisfaction about transformed images that are based on preference, and we found that people prefer transformed images to original images. Therefore, we conclude that people are more satisfi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templates which reflected user's preference than the one that did not. 본 논문은 사용자 취향 학습 방법으로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감정 기반 영상의 색 변환을 제안한다. 색 변환은 주로 조화로운 색상의 범위를 정의한 기존의 템플릿을 기반으로 영상의 채도와 명도를 제외한 색상만을 변환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어 왔다. 색상의 조화를 조절함으로써 부자연스러운 영상을 자연스럽게 변환하여 영상을 감상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였다. 한편, 색은 사람의 감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색과 감정의 관계를 정의 하면, 감정 기반 콘텐츠와 기술 등에서의 상호 작용을 높일 수 있다. 감정에 의한 색 변환은 콘텐츠 감상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콘텐츠와 자신이 교감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어 흥미와 몰입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감정 기반 색 변환을 위한 각 감정 별 색의 범위를 정의하고, 색상, 채도, 명도에 대한 색 변환을 수행한다. 하지만 색과 감정의 관계는 개인의 취향,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 된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사용자 취향을 학습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인다. 취향 학습 방법으로는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사용자 취향에 의한 색변환 영상의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원본 영상에 비해 색변환 영상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템플릿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보다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템플릿에 의한 변환이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킴을 보인다.

      • KCI등재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영상의 색변환

        우혜윤(Hye-Yoon Woo),강행봉(Hang-Bong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12

        색은 일반적으로 주요 속성인 색상, 채도, 명도가 다양한 수치로 결합되어 사람의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사람은 같은 색이더라도 개인에 따라 다양한 감정을 느낀다. 이러한 색과 감정의 특성을 감성 기반의 디지털 기술과 컨텐츠에 활용하면, 상호작용과 함께 사용자의 흥미와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어떤 색에 대해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를 정의한 다음, 개인의 취향을 최대한 반영한 색변환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색과 감정의 관계를 템플릿으로 정의한 후, 색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색에 대한 개개인의 감정은 다르기 때문에, 각 템플릿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고,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색상, 채도 명도에 대한 선호도를 학습을 통해 가중치를 얻어 적용함으로서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변환을 수행한다. 실험과 설문조사 결과, 템플릿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보다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변환이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켜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Color affects people in their various combinations of hue, saturation and value. On the other hand, people may feel different emotion from the same color. If we can introduce these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eople’s emotion about color to emotion-based digital technologies and their contents, we can effectively draw users' interest and immersion to the contents. In this paper, we will show how people feel about color and present a method of image coloring that reflects the user's preference. First, we define basic templates that ref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emotion, and then perform an image coloring. To reflect user’s preference, we compute weights for hue, saturation and value through the experiments on each subject’s preference about hue, saturation and value. The image coloring for each subject's taste will be drawn by updating the weights of hue, saturation and value. Through the results of experiments and surveys, we found that people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templates which reflected user's preference than the one that did not.

      • 사용자 취향기반 영상 채색 방법

        우혜윤(Hyeyoon Woo),강행봉(Hang-Bong Kang)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9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1

        본 논문은 사용자 취향에 의한 영상의 채색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감정과 색상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감정별 템플릿(template)을 구축한다. 이를 토대로 사용자에 따라 색상, 채도, 명도의 조합을 변형하여 변환함으로서 사용자 취향에 의한 색상 변환을 수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