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대사회에서 성물(聖物)의 유통방식에 대하여- 부처의 진신사리를 중심으로

        우혜란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종교와 문화 Vol.0 No.35

        It is worth noting that a large number of Buddha’s relics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are brought into Korean society under the names of 'gift-giving’ or ‘donation.’ So, the main issue of this article is why the groups/individuals who provide as well as receive Buddha’s relics make use of the term ‘gift-giving,’ which designates a specific mode of exchange. Firstly, some local and international factors are mentioned which make Korean temples keener to acquire Buddha’s relics. Secondly, related theories on ‘gift’ or ‘gift-giving’ are introduced, and multiple meanings/mechanisms of gift-giving or gift-exchanging were discussed by giving specific examples. Thirdly, focusing on Buddha’s relics themselves, the following issues are addressed; which relics are movable/alienable and which are not, and whether the status or value of a certain Buddha’s relic is intrinsic. For that, this author set up a value-hierarchy/level of Buddha’s relics hypothetically. Lastly, it is stressed that every sacred object could be a ‘commodity’ in the course of its transfer, depending on the specific socio-cultural context the object meets.

      • KCI등재

        New Religious Movements in South Korea Focused on Contemporary Situation

        우혜란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New Religious movements or new religions, which are conceived as being distinct from traditional mainstream religions, has a long history in Korea starting with Tonghak (1860), the first Korean new religion. It is attempted at this paper to give a general description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new religious movements showing their characteristics in each period. Especially, a great attention is paid to a new or “New Age” type of religious groups which has been expanding since the middle of 1980s in South Korea. These groups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existing new religions by their non- or less hierarchical, loos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heir paying clients, among others.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those programs which these groups offer reflects the changing religious needs in modern South Korean society, namely, the pursuit of more individualized or subjective form of religiosity/salvation, which is believed to be more effective in maximizing the (spiritual/mental) potentiality of individuals. In order to demonstrate this changed religious consciousness of individuals, som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s were presented which were conducted by this autho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신종교의 조직구조 -그 연구 경향과 미래의 연구과제-

        우혜란 한국신종교학회 2019 신종교연구 Vol.40 No.-

        Unlike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Korean new religions have a relatively short history, and that is the main reason why many of these religions have not yet completed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Some Korean new religions have suffered serious internal division after the death of the founder who led the belief community with strong charisma, and they are still changing not only in doctrinal and ritual but also organizational dimension. Organizational research is quite crucial to grasp how new religions attempt to stabilize or reintegrate their system through reform of or radical change in the power/organizational structure, while the vulnerabilities and internal problems of these religions are exposed during the process. At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key issues and theories in the current studies on the religious organization are introduced. And as next step, the research results are critically reviewed which put the focus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Korean new religions produced by South Korean academics from the beginning of the 1990s. At the last part, a series of research subjects as well as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which seem to be of importance for the future studies on the organization of Korean new religions. This work is eventually to push the boundary of studies on Korean new religions. 한국의 신종교는 전통종교와 달리 상대적으로 짧은 역사로 인해 제도화 과정이 완결되지 않은 종단이 적지 않으며, 이 중 일부는 강한 카리스마로 신앙공동체를 이끌던 창교자의 사망 후 심각한 내부적 분열을 겪으면서 교리적, 의례적 차원에서뿐 아니라 조직적 차원에서도 커다란 변화를 거치고 있다. 이렇듯 구조적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신종교를 연구하는 데 있어 무엇보다 조직적 차원의 연구가 중요한 것은 내⋅외적 요인으로 커다란 격변기에 있는 신종교의 경우 이들이 어떻게 체제의 재정비와 권력구조의 변화를 통해 내부의 안정 또는 통합을 꾀하는가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제도화 과정에서 종단의 취약점이나 문제점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종교사회학에서 종교조직에 관한 연구가 어떤 이슈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가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어서 한국 신종교의 조직구조를 조사⋅분석한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선행 연구의 주된 관심사와 연구 방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한국 신종교 조직연구에서 시급하게 요구되는 일련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도출하기보다, 신종교 조직연구가 본격화된 90년도 초부터 현재까지 한국학계가 생산한 관련 연구물들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이제까지 간과되었거나 필요한 미래의 연구과제는 무엇인가를 논의하고자 하는 시론적 성격을 강하게 가진다. 이는 신종교 연구가 교리나 사상에 치중된 다분히 이상적이고 추상적인 논의에 머물지 않고, 개별 신종교들이 자신들의 집단적 목표를 조직적 차원 즉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조건에서 어떻게 실현⋅추진 혹은 변경하고 있는가를 논의함으로써 신종교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함이다.

      • KCI등재후보

        성물(聖物), 전시물, 상품: 진신사리의 현대적 변용에 대하여

        우혜란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7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3 No.3

        In South Korean society large amounts of Buddha relic or śarīra have been flowing in from Southeast Asian nations. As a result several Buddha relic museums emerged that gathered Buddha relics in one place and show them to the public while śarīra exhibition is held now and then. In this way, Buddha relic which exposed itself only in special occasions in earlier days, has became an object of easy access to the public.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and supply of Buddha relic as well as the massiv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śarīra in Korean society indicate that the way how to perceive and approach Buddha relic is changing and consequently, the function of śarīra is diversified.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whole process - how Buddha relic of foreign origin is brought into the country and reframed as exhibit and turned into a commodity eventually, putting focus on Buddha relic, the most sacred object in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the core of Buddhist material culture. 현 한국사회는 진신사리의 ‘범람’이라고 할 만큼 동남아 여러 국가로부터 부처의 진신사리가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사리를 한 곳에 모아서 대중에게 공개하는 사리전문 박물관도 여럿 등장하였으며, 사리 전시회도 종종 열리고 있다. 이로서 전에는 특별한 기회에만 친견할 수 있었던 부처의 진신사리는 불자는 물론이고 일반대중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상이 되었다. 한국사회에서 부처의 진신사리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급증하고, 사리의 대량 수집과 전시가 일상화되는 현상은 진신사리에 대한 인식과 수용방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와 함께 진신사리의 역할과 기능도 다변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불교에서 가장 귀중한 성물이자 불교의 물적문화에서 핵심을 구성하는 부처의 진신사리에 초점을 맞추면서 사리박물관과 사리 전시회를 사례로 동시대 한국사회에서 진신사리가 어떻게 유입, 수집되어 전시물로 재구성되며, 이와 동시에 상품화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조계종단의 ‘한국불교 세계화’ 기획에 대한 비판적 논의

        우혜란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5 No.1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globalization on South Korean Buddhism are to be seen on various levels. One of them is the so-called “Multiple Buddhism” in South Korea, where a variety of doctrinal interpretations and practices of Buddhism as well as diverse Buddhist material cultures coexist. Even though this situation could produce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e mainstream Korean Buddhism doesn’t show much concern about the situation. Rather, Korean Buddhism has a keen interest in the spread of Korean Buddhism abroad as the project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shows which are promoted by the Jogye Order, the biggest South Korean Buddhist community. Consequently, the discourse on and policy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are not oriented to “inside” but to “outside” of the country. In this paper, this author attempts to reveal problems the project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contains which has been pursued since the early 2000s by the Jogye Order. For the purpose, the infrastructure and undertakings are introduced and analyzed which were made to promote the project. This paper starts with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nstitutional device under which the project goes ahead. And some problematics of the project are identified as centered on monks/nones, hierarchical command structure, an entanglement of religion and state, commodification of Buddhist culture. Lastly, cultural nationalism is discussed as the world view or ideology which underlies the project,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project for current South Korean society where social exclusion of particular groups such as ethnic and religious minorities has become a serious issue. 조계종단은 2000년 초부터 ‘한국불교 세계화’를 주요과제로 채택하여 현재 까지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조직적, 제도적 정비 또한 꾸 준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여 ‘한국불교 세계화’에 대한 불교계의 학문 적 담론 또한 조계종 총무원의 사회부와 국제교류위원회가 2004년부터 2009 년까지 개최한 일련의 관련 정책세미나를 비롯하여 한국교수불자연합회가 2016년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주제로 개최한 교수불자대회에 이르기까지 지 속해서 생산되고 있다. 이들 학문적 담론의 특징은 내부자의 시각과 도구론적 접근방법이 주를 이루면서 ‘한국불교 세계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 는 구체적인 전략이나 방법에 초점에 맞추어져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이들 담 론에서는 승가교육의 개선, 국제포교를 위한 영어교육의 중요성, 해외포교의 활성화를 위한 조직적 지원과 관리방법 등이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면서, 종 단의 ‘세계화’ 과제에 대한 제한된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그 결과 이들 담론 에서 ‘세계화’와 관련하여 인접학문 – 사회학, 정치학, 인류학 등 - 의 접근 방식이나 관련 이론은 진지하게 검토되고 있지 않고, 경험적 조사연구도 소 수를 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표적 불교종단인 조계종단이 ‘한국불교 세계화’를 추진하면서 구축한 인프라와 관련 사업의 내용을 분석하면서 종단 주도의 ‘한국불교 세계화’가 내포하고 있는 주요 문제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 해 본 논문에서는 종단의 종책인 ‘한국불교 세계화’가 어떠한 조직구조 속에 서 추진되며, 그 기저에 깔린 세계관 및 이데올로기는 무엇이며, 현 한국사회 의 다문화 상황에서 ‘한국불교의 세계화’가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가 등을 논 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의 현 종교지원정책과 문화자본주의

        우혜란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outh Korea's religious policy from an economic viewpoint and, specifically, to explain the current religious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policy an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of S. Korea. It is well-known that religious policy is a part of cultural policy de facto, and the prime purpose of cultural policy is to develop, utilize, and commercialize cultural resources to create profits for the sake of the cultural industry. Since we are in an era of cultural capitalism when culture is the main engine of economic growth and in the period of neo-liberalism when the boundary between culture and economy is gradually disappearing, investigating current religious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industry is inevitable. Firstly, this paper scrutinizes precedent research on religious supporting policy in S. Korea and summarizes their main concerns and issues. Secondly, the contents and backgrounds of a series of the government's big projects for religious culture are selected, and som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S. Korean religious policies are delineated. And lastly, it is confirmed that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religious policy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n the country, while the religious culture/heritage of Korea intertwins with the national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industry (promotion) policy. As a result, Korean religious culture is increasingly absorbed in the economic logic, becoming the object of investment and commod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현 종교(문화)지원정책을 경제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에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가의 종교지원정책을 정부의 문화정책 그리고 문화산업의 발전이라는 맥락에서 설명하는 데 있다. 이는 종교정책이 큰 틀에서 문화정책에 포함되며, 문화정책의 주요 목적이 문화자원을 개발, 활용하고 상품화하여 이윤을 창출하는 문화산업을 육성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필자가 한국의 현 종교정책을 한국의 문화정책과 문화산업의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동시대는 문화를 경제성장의 주된 동력으로 간주하여 자본의 적극적인 투자의 대상이 되는 문화자본주의 시대로, 문화가 경제화되고 경제가 문화화되어 문화와 경제의 구분이 사라지는 신자유주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한국의 종교지원정책을 다룬 선행연구의 주요 방향과 주장을 살펴보고 그 한계점은 제시하면서, 이를 보완 또는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접근방법으로 경제적 관점을 제안하였다. 이어서 종교지원사업의 종류와 그 배경을 살펴보고, 근래에 정부가 진행한 비교적 큰 규모의 종교지원사업들을 사례로 현 종교지원정책의 특징과 경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종교지원정책이 한국 문화산업의 발전과 함께 수립ㆍ전개되었으며, 그 결과 한국의 종교문화(유산) 또한 그간의 국가의 문화정책 그리고 문화산업 육성정책과 맞물리면서 경제 논리에 포섭되어 투자ㆍ개발ㆍ활용의 대상이 되어왔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