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료> 국립국악원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향 모색을 위한 수요조사 분석

        우해인(Woo, Hae-In) 국립국악원 2021 국악원논문집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국립국악원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 방법, 신규 연수 등에 대한 참여자 수요를 파악하여 국악원 교원연수 중장기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등 음악수업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무선표집)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초등 483명, 중등 239명, 총 722명이 참여하였다. 연수 내용 면에서 연수 영역 희망 비율은 실기(52.9%), 감상 및 이론(22.6%), 수업설계(24.5%)로 나타났다. 국악 수업 관련 희망 강좌는 ‘놀이형’, ‘교과연계형’, ‘학생공연형’ 등 순이며, 실기 희망 강좌는 사물놀이, 장구 반주, 민요/ 판소리 등 순으로 나타났다. 연수형식 면에서 원격연수 방식 도입에 대해 블렌디드형 찬성, 원격연수 별도 개발, 원격연수 도입 반대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연수 시수는 초급과정은 15시간, 중급과정은 30시간이었다. 희망 신설 연수로는 ‘선택실기 지역거점형(30시간)’, ‘타악 집중 연수 3박 4일 숙박형(20시간)’, ‘다양한 국악수업 집합형 1일 연수(6시간)’ 등 순이었다. 국립국악원 교원연수 중장기 개발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 대상 규모를 온·오프라인 양방향으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현장 맞춤형 연수 내용 적용 및 다양한 운영 방식의 신규 연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립국악원 교원연수와 자체 국악교육 사업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국립국악원은 국악교원연수 전국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needs of participants for the ideal contents and management methods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design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the time and supervision direction for the mid-and long-term improvement of the Center s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examiner conducted a (random sampling) of online survey with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to music lesson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round the nation. A total of 722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ith 483 and 239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respectively. In terms of in-service training contents, 52.9% of the respondents hoped to receive in-service training in the area of performance practice, followed by music appreciation and theory classes (22.6%), and class model (24.5%). The majority of teachers wanted “play-type” lectures, preceded by “subject-connected” and “student performance” styles. They chose Samullori first for the performance practice class, followed by janggu accompaniment and Minyo (folk song)/Pansori classes. When asked about the introduction of remote in-service training program, the biggest percentage of teachers asked for a mixed-type, heralded by separate devices of remote in-service training classes and by the disagreement to the introduction of distant in-service training program. They preferred 15 and 30 hours of in-service training classes for elementary and intermediate courses, respectively. The biggest number of the respondents hoped to add a “local-based selective practice type training program (30 hours),” followed by an “accommodation style classes, concentrated on percussion instruments courses for three nights and four days (20 hours)” and “one-day in-service training type program with a collection of various gugak lessons (6 hou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or the mid-and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First, the scale of teachers eligible for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expanded, both online and offlin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apply so called “customized-to-field” content to the training program, and also to develop new in-service training sessions applying various management methods. Thirdly,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onnection between the Center s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its in-house Gugak education projects. And finally, the Center should serve as the platform to build a nationwide ecosystem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Gugak.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