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학교급식 영양사의 영양적 품질관리 수행도 평가

        류경(Kyung Ryu),우창남(Chang-Nam Woo),김운주(Woon-Ju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2

        학교급식의 영양적 품질관리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총체적 품질 경영(TQM)을 기초로 영양적 품질관리 수행도를 평가하였다. 충북지역 초ㆍ중ㆍ고등학교 급식 영양사 2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영양적 품질관리 수행도와 음식 생산단계별 수행도 및 영양적 품질관리 관련문서 및 서식 사용현황을 조사하였다. 총체적 품질경영을 기초로 한 영양적 품질관리 영역에서 평균 3.12/5점의 수 행도를 보였으며, 그 중 ‘리더십’ 영역에서 높은 수행도(3.66)를 보였고, ‘인적자원 중시’ 영역에서 가장 낮은 수행도(2.66)를 보였다. 학교유형과 급식 실시시기에 따라 전략계획, 고객 및 시장중시, 사업성과 영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영양사의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서는 연령, 근무 경력, 고용상태에 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5), 30~40대가 20대보다 리더쉽이 높고, 급식의 전략계획을 더 잘 수행하고 있었다. 리더쉽과 전략계획, 인적자원 중시 영역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자가 이하보다 수행도가 더 높았다(p<0.05). 음식 생산단계별 수행도는 평균 3.72/5점의 수행도를 나타내었고, 학교 특성별로는 초등학교 영양사가 중ㆍ고등학교에 비해 건열조리법과 분산조리법 및 가열시 온도조절의 효과적 사용을 통해 가열처리 시간을 최소화하여 영양소 보존을 더 잘 수행하고 있었다(p<0.05). 영양사의 경우 연령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30, 40대가 20대보다 구매 영역에서 더 높은 수행도를 보였다(p<0.05). 영양적 품질관리를 위한 관련문서 및 서식 사용현황 평가에서 평균 60.6%의 보유율을 보였으며, 급식섭취량 조사일지(42.0%)와 직무기술서(41.0%)는 50.0%미만의 보유율 나타냈다. 학교 특성별로는 학교유형별로(p<0.05), 영양사의 경우에는 연령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영양적 품질관리 수행도와 음식 생산단계별 수행도 및 관련문서ㆍ서식 사용현황 간에는 각각 0.55, 0.45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학교급식의 영양적 품질관리(TQM) 수행도 평가 결과, 인적자원 중시에 대한 수행도가 낮으므로, 조리종사원의 영양적 품질관리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지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음식 생산단계별 영양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열조리 단계를 중요관리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 기준의 개발이 시급하다. 결론적으로 TQM을 기반으로 한영양적 품질향상을 위한 기준이 설정되어 실제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chool dieticians' performance of nutritional quality control, and further to establish effective and objective standards of nutritional quality control.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200 school dieticians' responses in the Chungbuk area. The total quality management (TQM)-based questionnaire was structur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following four fields: (1) performance of nutritional quality control, (2) performance of stepwise food production to maximize nutrient preservation rate, (3) management of documents and records related to nutritional quality control, and (4) other relating matters.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were measur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which ranged from “strongly agree” to “strongly disagree”. First, the analysis indicated that school dieticians performed “least”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mediocre” on nutritional quality control, and best on “leadership”. Second, the analysis on performance of stepwise food production to maximize nutrient preservation rate showed that dieticians considerably endeavored to maximize nutrients of cooked food, but it was found out that the most of nutrient destruction can be caused by heating during cooking.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ystematic use of documents and records for nutritional quality control was not sufficiently accomplished, especially in the production phase of food. In addition, the measure by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of nutritional quality control and performance of stepwise food production to maximize nutrient preservation rate, and between performance of nutritional quality control and management of documents and records related to nutritional quality control.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effort should be exerted to carefully establish TQM-based standards for the improvement of nutritionary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