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업공간에서 미술품 색 계열과 방문객 만족도 관계의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

        왕연주(Wang, YeunJu),이승현(Lee, SeungHyun),배지혜(Bae, JiHye),김선영(Kim, SunYoung) 한국예술경영학회 2021 예술경영연구 Vol.- No.58

        본 연구는 상업공간에 환경적 자극으로 설치된 미술품 색 계열이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 관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심리학 분야의 매장환경 연구에 적용된 자극(Stimulate)-유기체(Organism)-행동반응(Response)의 SOR 모형과 이를 이용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미술품 색 계열(S) -기분 및 공간 어메니티(O)-만족도(R)의 연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실험은미술품의 색 계열에 대해 난색과 한색이 설치된 이미지를 제작하여 두 집단 간 응답자가 반응하는 만족도 차이를 조사했다.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미술품 색계열은 난색(vs. 한색)이 설치된 경우 더 높은 방문객의 만족도를 유도한다는 것을발견했다. 또한, 이러한 영향 관계에 있어서 기분과 공간 어메니티 유형의 조절요인을 분석한 결과 미술품 색 계열의 난색(vs. 한색)이 주는 긍정적 기분을 평균보다더 높게 느꼈을 때, 공간 어메니티의 네 가지 유형 중 쾌적성과 심미성만을 더 높게 인지했을 때 각각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 결과는 상업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자극하는 미술품의 난색 계열이 한색 계열에 비해 방문객의 만족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것은 긍정적 기분 및 쾌적성, 심미성에 따라 강화된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기존 문헌의 이해를 추가하고 효과적인마케팅 전략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lor series of artworks installed as environmental stimuli in commercial spaces on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based on the SOR model of Stimulate-Organism-Response applied to burial environment research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the preceding research using the SOR model, artwork color series(S)-mood and spaace amenity(O)-A research framework for satisfaction(R) was developed. In the experiment,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domestic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by producing images with two conditions depending on the case where warm colors and cold colors were installed for the color series of artwork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respondents corresponding to the two condition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warm color(vs. cold color) of the artwork color series induces higher visitor satisfac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ntrolling factors of mood and space amenity variables in this relationship of influenc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as found when the positive mood of warm colors(vs. cold colors) in the artwork color series was felt higher than the average. And, of the four types of space amenity, it was found that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ppeared when only comfort and aesthetics were measured as moderating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at the warm color series of artworks that stimulat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ommercial spaces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than the cold color series, and this is reinforced by positive mood, comfort, and aesthetics. It adds understanding and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for building an effective spatial image.

      • KCI등재

        대학로 공연장 집적의 장소성과 관람 행동에 따른 공연성과에 관한 연구: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과 K-MEANS 군집 알고리즘에 기반으로

        왕연주(Yeunju Wang),이승현(Seunghyun Lee),최언희(Unhee Choi)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1

        This study utilized KOPIS data to examine performance outcomes and pattern changes based on the behavior of ticket buyer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placeness of a performance theater agglomeration in Daehakro. To this end, we extende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concept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ness of Daehakro and the behavioral attitudes of ticket-buying audiences and developed a framework that incorporates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products. Through exploratory data analysis of KOPIS aggregate extract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we identifi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icket purchasers and performing arts products exert varying expected effects on the placeness of the university district. This finding provides important insights, serving as a predictor and determinant of attendance behavior.

      • KCI등재

        문화도시를 위한 사회참여 공공미술 - 서울 도시 갤러리 프로젝트의 패러독스: 포용 -

        김미진 ( Kim Mijin ),왕연주 ( Wang Yeunj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9 예술과 미디어 Vol.18 No.2

        최근 정부의 문화도시 정책 기조는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 및 지역 주민의 문화적 삶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의 사회적 가치는 문화의 창의성을 활용하여 사회혁신을 제고하고, 문화예술을 통해 능동적인 참여와 소통에 다가가는 “문화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관련한 사회참여 공공미술은 그동안 문화도시 전략에서 활발히 전개되었지만, 사회적 가치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재차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시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쟁점을 살펴보면 도시 정책의 문화적 전환을 배경으로 수행된 사회참여 공공미술은 사회재생의 효과를 위해 자칫 예술의 도구화를 야기하여 모순된 개입을 가속화시킬 뿐이라는 것이다. 이는 소외계층의 포용을 위한 사회적 혜택이 정책의 의도된 문화적 시혜라는 점에서 사회적 배제의 유효성을 연장하는 역설적인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도시 슬로건을 걸고 사회참여 공공미술을 수행한 서울시 도시갤러리프로젝트 사례에서 나타난 패러독스를 살펴본 것이다. 참여, 소통의 주체적 역량 프로젝트에서는 물리적 환경개선과 사회봉사적인 측면이 강조되어 예술적 가치의 격하를 가져오는 논의로 이어졌다. 사회연대의 공동체 활성화 프로젝트에서는 소극적인 주민참여로 실제 생활에 혜택이 되는 경영적 컨설팅의 경제적 활성화에 집중하는 상황을 감지할 수 있었다. 서울 상징과 시민 정체성 형성 프로젝트에서는 시민의 합의를 이루지 못한 가운데 도시관광의 상품화를 위한 전략으로 간주되어 갈등과 긴장 관계를 초래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상호의존할 수 있는 포용적 관점으로 정책의 사회적 가치와 예술의 사회적 영향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리스크가 많은 누적 상태에서 모든 주체가 민주적인 의사소통의 합의를 이루는 수정화 기간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또한, 시민의 다양한 입장을 반영하는 측면에서 전형적인 수행방식을 넘어서 다양성의 관점을 포용하는 섬세한 기획과 진행 과정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따라서 사회참여 공공미술의 사회적 효용성과 미적 효용성을 끌어내 더 나은 더 나은 사회참여 공공미술을 설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자 했다. The government's recent policy stance on cultural cities emphasizes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culture and the cultural life of local residents. The social value of these cultures is on the trend toward "cultural democracy" that uses the creativity of culture to enhance social innovation and approach ac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cultural arts. Public art related to social participation has been actively developed in the strategy of cultural cities, but it is at a time when attention is focusing again on giving new meaning to social values. Nevertheless, the recent issue is that social participation public art, carried out against the backdrop of a cultural shift in urban policy, will only accelerate contradictory intervention by creating a tool of art for the effect of social revival. This could lead to a paradoxical situation that extends the validity of social exclusion, given that social benefits for the engagement of the underprivileged are the intended cultural benefits of the policy. This study looked at paradoxysms in the case of the Seoul City Gallery Project, which conducted public art of social participation under the slogan of "cultural cities." In the project of Juche competence in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and social service aspects were emphasized, leading to discussions that led to the degradation of artistic values. In the social solidarity community revitalization project, the government could detect situations in which it focuses on economic revitalization of management consulting that benefits real life through pass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Seoul Symbol and Citizen Identity Formation Program, it was regarded as a strategy for commercializing urban tourism amid the failure of civic consensus, resulting in conflict and tension. Through this, it is important in this study to find a balance between the social value of policy and the social impact of art from an interdependent perspective, suggesting that in order to achieve a period of revision in which all subjects in a highly risk-laden cumulative state achieve a consensus of democratic communication. It also suggested the need for a delicate planning and progress process to embrace a view of diversity beyond a typical performance style in terms that reflect the diverse positions of citizens. Therefore, it wanted to bring out the social utility and aesthetic utility of the public art of social participation and put its significance on inducing the design of better social participation public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