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억력 감퇴모델에서 산사의 기억력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왕수빈 ( Su Bin Wang ),안은미 ( Eun MI Ahn ),정지욱 ( Ji Wook Jung ) 대한본초학회 2009 大韓本草學會誌 Vol.24 No.4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effects of the ethanolic extract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on the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duced by scopolamine using the passive avoidance and the Morris water maze tasks in mice. Methods: The cognition-enhancing effect of C. pinnatifida was investigated using a passive avoidance test, the Morris water maze test and Y-maze test in mice. Drug-induced amnesia was induced by treating animals with scopolamine (1 mg/kg, i.p.). Results: The ethanolic extract of C. pinnatifida (100, and 200 mg/kg) significantly reversed the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impairments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p < 0.05). Moreover, C. pinnatifida (200 mg/kg) also improved escape latencies in training trials and increased swimming times and distances within the target zone of the Morris water maze (p < 0.05). On the Y-maze test, C. pinnatifida (100, and 200 mg/kg) also significantly reversed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impairments in mice (p < 0.05). Conclusions: The ethanolic extract of Crataegus pinnatifida dramatically possesses the anti-amnestic and cognitive-enhanc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memory processes, and these activities were parallel to treatment duration and dependent on the learning models.

      • KCI등재

        동충하초 균사체로 발효시킨 백련잎차의 품질특성

        김종숙(Jong-Suk Kim),왕수빈(Su-Bin Wang),강성구(Seong-Koo Kang),조영숙(Young-Sook Cho),박석규(Seok-Kyu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5

        눈꽃 동충하초 균사체를 이용한 백련잎 발효차와 비발효차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품질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추출수율, 갈변도, 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무기질의 함량을 조사하였고, 또한 수증기 증류법으로 백련잎차의 휘발성 성분을 동정하였다. 추출수율은 발효 및 비발효차 모두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백련잎 발효차의 열수 추출용매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26.55%를 나타내었고(p<0.05), 갈변도는 흡광도로서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1.6배 이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 유리당은 백련잎 발효차의 열수 추출물에서 43.4%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glucose 함량은 발효차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5.6배, 3.7배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총 유기산은 861.9~4,704.8㎎% 범위로서 발효 백련잎차의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에는 succinic acid가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p<0.05), 백련잎 발효차는 비발효차의 경우와는 달리 acet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가 확인되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건물 당 346.4~1,480.8 ㎎% 범위로서, 비발효 백련잎차의 열수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백련잎 발효차는 비발효차에 비하여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용매별로는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2.9배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총 무기질은 비발효 및 발효차의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각각 2.1배, 1.7배 높았으며, 그 중에서는 발효차의 열수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휘발성 성분은 aldehyde류 11종, alcohol류 14종, ketone류 11종, hydrocarbone류 11종, acid류 12종으로 총 59개를 동정할 수가 있었으며, 특히 비발효차는 alcohol류, 발효차는 aldehyde류와 ketone류에서 서로 다른 휘발성분들이 확인되었다.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lotus leaf tea (LLT) fermented with or without mycelial Paecilomyces japonica were investigated. Extraction yield and browning index of hot water extract from non fermented and fermented LLTs were higher than those of ethanol extract (p<0.05). In all LLTs, nutritional components such as total free sugar, free amino acids and minerals of hot water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ethanol extracts except for total organic acids (p<0.05). Contents of total free sugar and organic acids were markedly increased through fermentation process of mycelial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same solvent extracts (p<0.05). Contents of most taste components of fermented LLT were increased by mycelial solid fermentation (p<0.05), but total free amino acids of two extracts were decreased in the range of 37.1~67.2% as compared to non-fermented LLT. Fifty-nine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GC and GC-MS, including 11 aldehydes, 14 alcohols, 11 ketones, 11 hydrocarbones and 12 acids. Aldehyde and ketone compounds were more identified in fermented LLT than in non-fermented LLT being abundant alcohol compounds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The most abundant compounds of LLT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curcumene followed by 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l and cyclohexen. Main compounds of fermented LLT were 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l, butanoic acid, furfural, benzaldehyde, hexanoic acid and 2(3H)-furanon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산균 종류와 찹쌀가루의 호화온도 및 발효시간에 따른 약초부각 발효풀의 품질특성 변화

        고영란(Young-Ran Ko),손미예(Mi-Yae Shon),김윤근(Yun-Geun Kim),정경숙(Kyung-Sook Chung),왕수빈(Su-Bin Wang),박석규(Seok-Kyu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2

        전통 약초부각의 맛과 조직감 등 기호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산균 종류와 찹쌀가루 조건에 따른 발효풀과 약초부각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당은 발효 찹쌀풀의 농도별로 호화온도 90℃가 70℃보다 높은 함량이었으나, 환원당은 오히려 70℃가 90℃보다 평균적으로 2~5배 이상 높았으며, 발효시간이 길수록 증가되었다. 총산도는 발효 15시간의 찹쌀풀에서 70℃가 90℃에 비하여 2.7~1.3배 높았으며, 유산균 중에 L. lactis가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발효찹쌀풀의 점도는 생찹쌀풀에 비하여 상당히 낮았고, 호화온도 90℃는 찹쌀가루 28% 이상 농도에서 70℃보다는 현저하게 높았으며, L. lactis와 L. plantarum는 발효 15시간에 비하여 40시간에서 2~3배 이상 낮아졌다. 색차계 명도(L)와 황색도(b)는 호화온도가 높거나 발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찹쌀풀의 기공형성은 L. lactis의 발효찹쌀풀은 미셀구조가 일정한 형태로 비슷한 크기의 기공이 많았으나, L. plantarum은 무정형 형태로 미셀이 변화되면서 기공이 작은 크기로 많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L. lactis 유산균의 낮은 산생성과 발효찹쌀풀의 기공형성을 좋게 하므로 전통 약초부각의 조직감과 부착성 및 기호성을 포함한 품질특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quality properties of yakchobugak as affected by lactic acid bacteria and waxy rice paste for improving palatability of yakchobugak of Agastache rugosa. Total sugar contents of lactic acid bacteria-fermenting waxy rice paste gelatinized at 90℃ were higher than that of 70℃. Reducing sugar contents were 2~5 times higher in 70℃ waxy rice paste than in 90℃ waxy rice paste and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Total acidity of waxy rice pastes gelatinized at 70℃ and fermented for 15 hours were 2.7~1.3 times higher than at 90oC, and then Lactococcus lactis had the lowest total acidity during fermentation. Viscosity of fermented paste (VFP) were lower than those of raw paste. VFPs gelatinized at 90℃ were markedly higher than those at 70℃ over 28% concentration. In L. lact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VFPs fermented for 15 hours were over 2~3 times lower than those fermented for 40 hours. Hunter's color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fermentation time. L. lactis and L. plantarum-producing waxy rice pastes were the uniform micell type with a large air-pore size and amorphous micell type with a small air-pore size,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L. lactis was a lower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as well as uniform air-pore distribution on waxy rice paste. It was found to be a good sourpaste-fermenting strain for enhancement of quality properties of yakchobugak, as revealed through viscosity, total acidity, Hunter's color b value and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