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변속구동장치에 의한 Voltage Distortion 분석

        오혜림(Hye-Rim Oh),서훈철(Hun-Chul Seo),김철환(Chul-Hwan Kim)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1

        본 논문에서는 가변속구동장치의 용량에 따른 voltage distortion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EMTP/ATPDraw를 이용하여 가변속구동장치를 포델링 하였으며, 이를 IEEE 13 Node Test Feeder에 연결하였다. 유도 전동기의 용량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계통의 Total Harmonic Distortion(THD) 값을 분석하였다.

      • 광학 문자 인식(OCR)을 활용한 저시력자 및 시각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비건 판독 시스템 개발

        오혜림 ( Hye-rim Oh ),공예나 ( Ye-na Kong ),김정민 ( Jeong-min Kim ),최재준 ( Jea-jun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커져만 가는 비건 시장에 비해서 비건 제품의 가격은 높고, 한정되어 있다. 성분표만을 보고 비건 여부를 파악하기에는 어렵고, 저시력자 및 시각장애인에게는 더욱 어려운 일이다. 치주 질환이나 당뇨를 포함한 크고 작은 다양한 질병으로 인해 육식 섭취 대신 불가피하게 채식을 실천해야 하는 경우 또는 가격 부담이 크고 찾기 어렵다. 그래서 비건 인증을 받은 제품 대신 일반 제품들 사이에서 비건에 적합한 제품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시력자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큰 글씨 화면, 음성 입출력 시스템 제공과 성분표 촬영을 통해 비건 적합 여부 및 알레르기 정보 제공, 사용자 특성 분석을 통한 UI 구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성분표 촬영에 어려움을 겪는 저시력자 및 시각장애인에게 편리를 제공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를 구성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종단변화에 대한 코호트 분석

        김선경 ( Kim Sun-kyung ),오혜림 ( Oh Hye-rim ),박병기 ( Bak Byung-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종단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학년과 분기에 따른 코호트 간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반복측정을 진행하였다. 3년 동안 같은 초등학교 4, 5, 6학년 477명을 출생년에 따라 5개 코호트로 구분하고, 연 4회(3월, 7월, 9월, 12월) 성취목표지향성 설문을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숙달접근목표는 6학년에서 하락하였고, 수행접근목표도 4학년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숙달회피목표는 4학년과 5학년에서 증가하였으며, 수행회피목표는 5학년에서 증가하였다. 학기초와 학기말의 평균 변화를 살펴보면, 숙달접근목표는 4, 5, 6학년에서 모두 상승하였으며, 숙달회피목표는 4, 5학년에서 하락하였다. 성취목표지향성의 시간에 따른 코호트 간 차이를 살펴보면, 숙달접근목표는 4학년, 5학년, 6학년에서 나타났으며, 숙달회피목표는 6학년에서 나타났다. 수행목표는 접근과 회피 모두에서 코호트 간 차이가 없었다. 숙달접근목표와 수행접근목표에서 시간에 따른 코호트 간 상호작용 효과는 4학년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repeated measurements on how the difference between cohorts according to grade and quarter appeared in order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3 years, 477 students in the same elementary school 4th, 5th and 6th grade were classified into 5 cohorts according to their birth year, and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questionnaire was repeated 4 times a year (March, July, September, Decemb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stery approach goal decreased in the 6th grade, and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also decreased in the 4th grade. The mastery avoidance goal increased in the 4th and 5th grade, and the performance avoidance goal increased in the 5th grade. Looking at the average change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mastery approach goal increased in all 4th, 5th, and 6th graders, and the mastery avoidance goal decreased in the 4th and 5th graders.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cohor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cording to time, the mastery approach goal was found in the 4th, 5th, and 6th grades, and the mastery avoidance goal was found in the 6th grad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horts in performance goals in both approach and avoidance.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cohorts over time in the mastery approach goal and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appeared in the fourth grad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중국 중학생의 학업부력 및 학업 자기개념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

        능첨엽 ( Ling Tian-ye ),마서민 ( Ma Rui-min ),오혜림 ( Oh Hye-rim ),박병기 ( Bak Byung-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부력, 학업 자기개념, 학업성취 간 관계구조를 수학-중국어의 영역 특수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성별과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살펴볼 것이다. 434명의 중국 운남성(雲南省)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업부력, 학업 자기개념, 학업성취 간 관계구조를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업부력은 학업 자기개념을 매개로 학업성취와 연관성을 보이며 영역 특수적인 특성을 지녔다. 둘째, 성별에 따른 모형의 변인 간 직·간접 경로값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른 모형의 변인 간 직접 경로값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 및 제한점을 기술하고 몇 가지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academic buoyancy,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performance with domain-specific perspective in the field of mathematics and Chinese. We also compared its relationship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The sample consisted of 434 middle school students from Yunnan Province, Chin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academic buoyancy,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performance. As results, first, there existe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oyancy and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rect and indirect path value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model by gender.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rect path value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model according to the grade.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