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개암사 및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에 분포하는 식물상

        오현경,Oh, Hyunkyung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7 환경영향평가 Vol.26 No.5

        변산반도국립공원의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는 개암사와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 2구역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한 것으로,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71과 166속 222종 2아종 27변종 4품종으로 총 25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목본식물은 114분류군(44.7%), 초본식물은 141분류군(55.3%)으로 확인되었다. 세부구역별로 개암사 지역에서 총 178분류군, 쇠뿔바위 지역에서 총 18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법정보호종인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에 해당하는 노랑붓꽃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멸종위기종(CR)에 노랑붓꽃 1분류군, 취약종(VU)에 호랑가시나무 1분류군, 약관심종(LC)에 개족도리풀,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뻐꾹나리 등 4분류군으로 구분되었다.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개족도리풀, 은꿩의다리, 고광나무, 떡윤노리나무, 민땅비싸리, 참갈퀴나물,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지리대사초, 노랑붓꽃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V등급에 노랑붓꽃 1분류군, IV등급에 층실사초 1분류군, III등급에 큰여우콩, 호랑가시나무, 단풍나무, 새비나무, 호자덩굴, 산기장 등 6분류군, II등급에 자주잎제비꽃, 큰참나물, 이팝나무, 청괴불나무, 좀딱취, 지리대사초, 금난초 등 7분류군, I등급에 쇠고비, 전나무, 폭나무, 개족도리풀, 큰꽃으아리, 개구리발톱, 투구꽃, 상산, 대팻집나무, 사철나무, 말오줌때,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돌외, 송악, 오갈피나무, 개시호, 정금나무, 들메나무, 올괴불나무, 조릿대풀, 큰천남성, 일월비비추 등 2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본 노랑붓꽃 특별보호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 다른 어떤 지역보다 자연성과 건강성이 우수한 지역이므로 향후에도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특별보호구로서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 the vascular plants of special protection zones (the native land of Iris koreana in Gaeamsa Temple and Soeppulbawi Rock)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and identified the whole flor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55 taxa including 71 families, 166 genera, 222 species, 2 subspecies, 27 varieties and 4 forms. Woody plants were identified as 114 taxa (44.7%) and herbaceous plants as 141 taxa (55.3%). A total of 178 taxa were identified in the area of Gaeamsa Temple, and 184 taxa were found in the Soeppulbawi Rock. As a legal protected species, the endangered wild plant II grade Iris koreana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confirmed. A total of 6 taxa of rare plants were identified, each of which was divided into 1 taxa of critically endangered (CR; Iris koreana), 1 taxa of vulnerable (VU; Ilex cornuta), and 4 taxa of least concern (LC; Asarum maculatum, Viola albida, Chionanthus retusa and Tricyrtis macropod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1 taxa (Populus tomentiglandulosa, Lonicera subsessilis, Carex okamotoi, etc.). In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8 taxa, a degree I were 23 taxa (Euscaphis japonica, Hedera rhombea, Lophatherum gracile, etc.), 7 taxa of a degree II (Viola violacea, Ainsliaea apiculata, Cephalanthera falcata, etc.), 6 taxa of a degree III (Ilex cornuta, Callicarpa mollis, Mitchella undulata, etc.), 1 taxa of a degree IV (Carex remotiuscula), 1 taxa of a degree V (Iris koreana). The Iris koreana special protection area that is more natural and healthier than any other areas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Therefore, it should be possible to continue its role as a special protection area through regular monitoring in the future.

      • KCI등재

        한남정맥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특성 - 문수산, 계양산, 수리산, 광교산을 중심으로 -

        오현경 ( Hyunkyung Oh ),김동필 ( Dongpil Kim ),유주한 ( Juhan You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7 환경영향평가 Vol.26 No.2

        본 연구는 한남정맥의 중점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객관적으로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자연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자연자원 정보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상은 102과300속 428종 4아종 50변종 6품종 등 488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왜 박주가리 등 4분류군이다.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고광나무, 오동나무, 병꽃나무, 고려엉겅퀴 등 7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29분류군으로, IV등급은 1분류군, III등급은 3분류군, II등급은 5분류군, I등급은 20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큰닭의덩굴, 돌소리쟁이, 뚱딴지, 오리새, 큰조아재비 등 52분류군이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가시박,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등골나물, 가시상추 등 7분류군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inform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basic data for assessing the Korean natural environment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main survey sites of Hannam-Jeongmaek.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numbering 488 taxa including 102 families, 300 genera, 428 species, 4 subspecies, 50 varieties and 6 forms. The rare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LC), Viola albida(LC), Chionanthus retusus(LC) and Tylophora floribunda(VU).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Clematis brachyura, Clematis trichotoma, Philadelphus schrenckii, Paulownia coreana, Weigela subsessilis and Cirsium setiden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29 taxa including 1 taxa of grade Ⅳ, 3 taxa of grade Ⅲ, 5 taxa of grade Ⅱ and 20 taxa of grade Ⅰ.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2 taxa including Fallopia dentatoalata, Rumex obtusifolius, Helianthus tuberosus, Dactylis glomerata, Phleum pratense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Aster pilosus, Eupatorium rugosum and Lactuca scariola.

      • KCI등재

        한국의 가족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현경 ( Hyunkyung Oh ),이윤석 ( Yunsuk Lee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결혼-출산으로 이어지는 가족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가치관에 주목한다. 한국 사회의 가족체계는 낮은 혼인율과 출산율을 동시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이는 결혼-출산으로 이어지는 가족형성과 체계 유지에 비혼, 동거, 이혼 가치가 끊임없이 공유됨으로서 형태 차원에서 자기 완결적 형태를 벗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방법: 이러한 가족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피기 위해 한국종합사회조사 2016년 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집단 및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하여 집단을 유형화하고 유형화된 집단들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결과 응답자들을 보수주의, 자유주의, 유보적 태도를 갖는 3집단으로 분류하고 집단 간 가치관이 성별, 연령, 종교변수에 의해 구별되는 것을 확인했다. 보수주의와 유보주의 집단 간에는 성별, 연령, 종교가 그리고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집단은 성별, 연령, 혼인상태, 종교가 유의미한 변수였다. 결론 및 제언: 이러한 결과는 제도로서 가족에 대한 사회적 통제에 대해 성별, 연령, 종교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종교의 경우 신앙인구가 감소하고 종교의 세속화가 진행되고 있어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성과 세대를 중심으로 한 가족 가치관의 재배치 전략이 가장 유효하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Traditional familism is well known for its positive effect on family cohesion but low marriage and fertility rates are happening in korea at the same time. Obviously, The role of family formation and maintenance is shared constantly by the value of non-marriage, cohabitation, and divorce. Hence we need to know who actively accepts familism or who rejects it. We use the 2016 KGSS to examine familism in korea. We find respondents are classified as conservative, liberal, and reserved through attitudes about cohabitation, marriage, divorce, and child-birth. Gender, age, and religion are main factors differentiating the conservative group and the moderation group. And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religion were also the main factors distinguishing conservative and liberal groups.

      • KCI등재후보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브랜드 로고에 관한 연구 : 롤랑 바르트의 의미작용 이론과 SD법을 활용한 국내 주유 브랜드 로고의 이미지 분석

        박영원(Park Youngwon),오현경(OH Hyunky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브랜드 로고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대변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주유 브랜드 로고의 이미지를 기호학 이론과 SD법을 이용한 통계학적 접근으로 분석 하였다. 첫째 기업의 브랜드 로고 제작의도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일치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반면에 불일치하는 부분도 있어 브랜드 로고를 통하여 기업이 의도한 브랜드 로고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계획 수립 시 이미지의 생성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기호학적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SD법을 통한 통계학적 접근은 기호학적 분석의 자의적인 부분을 보완할 수 있어 객관적인 이미지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기호학적 접근 방법은 통계학적 분석결과 추출된 요인들의 이미지 생성경로를 재확인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이미지 분석을 위해 기호학적 해석과 SD법의 통합적인 접근은 유용하다. 인간의 감성을 텍스트를 중심으로 그 의미작용의 경로를 정교하게 읽어보고자 하는 인문학적 이론인 기호학적 접근방법과 통계학적 감성평가 기법의 병행 사용은 의미가 있다. 즉 이러한 통합적인 분석 방법은 브랜드 로고의 분석뿐만 아니라 디자인 아이디어 전개 시 적극 활용한다면 디자인 본래의 기능의 충족과 함께 디자인을 통한 부가적인 정서적 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Brand logo is playing a role of medium which communicates for the image of brands.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 of refueling brand logos which is often confronted in everyday life with approach of semiotic analysis and SD method. First regarding intention of making brand logos in company there were also consistent aspects with the analytical result of this study but even inconsistent aspects on the other hand. To correctly deliver meanings and images of brand logos which were intended by the company the semiotic analyses are essential as establishing design plans. Second the statistical SD method can supplement arbitrary parts in the semiotic analysis. And SD method make it possible to evaluate the image of brand logos objectively. Thus the semiotic approach reconfirm routes of generating images which are extracted factors by the statistical SD methods. Therefore the combined method of statistical SD method and the semiotic analysis can be useful for the effective image analysis. So this combined method should be available for analyzing the images of brand logos efficiently. And this method is very useful to analyze human being's emotions as well as evaluating design functions of brand logos scientifically. Therefore positive utilizations of this combined method of statistical SD method and the semiotic analysis will lead to be able to maximize the original function of design and the additional emotional satisfaction.

      • KCI등재

        Two Faces of Transnational Finance Capital in American Foreign Policy : The Case of J.P. Morgan during the Interwar Period (1919~1939)

        Gon Namkung(남궁곤),Hyunkyung Oh(오현경)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1 국제관계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미국 금융패권 형성 과정에서 미국 행정부/의회와 초국적 금융자본의 관계와 그의 정치경제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간기를 중심으로 초국적 금융자본을 대표하는 제이피 모건(J.P. Morgan)의 사례를 분석한다. 제이피 모건은 미국 국내 산업과 금융 커뮤니티에서의 영향력뿐만 아니라 영국과 프랑스를 둘러싼 국제 정치경제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초국적 금융자본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제1차 세계대전 발발과 제이피 모건의 급속한 성장은 세계 금융패권이 영국 런던에서 미국 뉴욕으로 이동하는 데 기여하였다. 초국적 금융자본의 주도하에 미국의 금융패권 획득 의지는 이미 전간기에 드러났다. 국제적으로 제이피 모건은 도스 플랜(Dawes Plan)과 영 플랜(Young Plan)을 실행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미국 행정부는 제이피 모건의 네트워크와 세일즈 능력을 활용하였다. 미국 의회는 엣지법(Edge Act)과 같은 법 제정을 통해 전간기 금융자본의 해외 진출을 도왔다. 제이피 모건은 자신들의 이익을 보호하고 확대하고자 미국의 국제주의적 외교정책을 지지하였다. 하지만, 국내적으로 미국 행정부는 대법원의 판결을 통해 금융자본을 규제했다. 의회는 반(反) 금융자본 정서에 편승하여 청문회를 개최하고 제이피 모건을 견제하고자 했다. 그럼으로써 미국 대외경제정책의 방향이 국제주의로 나아가는 것을 경계했다. 결국 제이피 모건은 두 개의 회사로 분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merican Transnational Finance Capital’s initiative to build American financial hegemony during the interwar period (1919-1939).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one of the world’s oldest, largest, and best-known banks, J.P. Morgan & Company. This study argued that TFC led the construction of American hegemony in interwar years. Signs of will to build hegemony away from isolationism had already surfaced at market level during the interwar period. That hegemonic ambition was driven by American TFC’s initiative. TFC’s initiative operated through two phases to protect and expand their profits: domestically, through strategically acquiescing to the regulations of both government and congress, and internationally, by implementing aggressive strategy to influence the formulation of American foreign economic policy. American government supported American TFC by offering chances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postwar economic settlements such as the Dawes and Young Plan, and passing pro-trust acts. However, the congress based on anti-financial capital sentiments regulated TFC through Pecora and Nye hearings. The present study emphasizes TFC’s strategic initiative to change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circumstances via J.P. Morgan & Co. case in relations with American government and cong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