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희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한 아동의 진단 모형 분석을 이용한 영구치 맹출 단계

        오태준,남옥형,김미선,이효설,김광철,최성철 대한소아치과학회 201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6 No.1

        Individual dental age is used as an index of chronological age estimation and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child’s growth stage. Dental age does change greatly over time, but it changes constantly. And updating information about this change i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ooth eruption stage using diagnostic model analysis and to investigate tooth eruption sequence and estimate chronological age based on this information. Tooth eruption stages were measured on a diagnostic model from 488 patients in 5 - 13 year old childre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eruption stage, eruption sequence in maxilla was first permanent molar,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first premolar, canine, second premolar and second permanent molar. Eruption sequence in mandible was first permanent molar,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canine, first premolar, second premolar and second permanent mol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eruption stage of canine, first and second premolar, and second molar at several ages. The chronological age of male and female was estimated by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816, 0.826 respectively. 개인의 치령은 연령 추정의 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아동의 성장 단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치령의 변화는 시대의변화에 따라 크지는 않지만, 꾸준히 변하게 되며 이에 대한 정보의 업데이트의 중요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진단 모형을 이용해 한국 아동의 치아 맹출 단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치아 맹출 순서를 조사하고 연령 추정을 시행해보았다. 5 - 13세 아동 488명의 진단 모형을 통해 치아 맹출 단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맹출 단계 정보를 바탕으로 한 영구치의 맹출 순서는 남녀 모두 상악에서는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제1소구치, 견치, 제2소구치였으며, 하악에서는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서로 나타났다. 일부 나이에서 견치, 제1,2소구치, 제2대구치에서 남녀 간의 유의한 맹출 단계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연령별 맹출 단계를 바탕으로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해 연령 추정을 시행해 본 결과 남아와 여아의 나이를 결정계수 0.816와 0.826 수준으로 추정해 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