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의 독서환경 군집에 따른 유아 어휘력과 읽기 흥미의 차이

        최나야(Choi, Naya),노보람(No, Boram),최지수(Choi, Jisu),오태성(Oh, Tae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물리적 독서환경, 양적 독서상호작용과 질적 독서상호작용으로 구성한 유아 가정의 독서환경에서 가정 간 차이가있을 것으로 보고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가정독서환경 유형에 따라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만 4세 유아와 어머니 47쌍이다. 유아는 어휘력을 측정하는 면대면 검사에 참여하였고, 어머니는 가정의 독서환경과 유아의 읽기 흥미를 측정하는 질문지 조사에 참여하였다. 가정의 독서환경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시행하였고, 군집에따른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군집분석 결과, 가정의 독서환경은 전반적 우수, 물리적 환경 취약, 질적 상호작용 취약의 세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간에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 우수 집단과 물리적 환경 취약 집단의 경우, 질적 상호작용 취약 집단에 비해 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 수준이 높았다. 또한 전반적 우수 집단이 질적 상호작용 취약 집단에비해 유아의 읽기 흥미가 높았다. 결론 유아를 둔 가정의 독서환경은 세 가지 군집으로 유형화될 수 있으며,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는 가정의 독서환경 유형에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질적 독서상호작용이 물리적 환경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of children depending on the clusters of home reading environment, which is consisted of the physical reading environment, quantitative reading interactions, and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s. Methods 47 pairs of 4-year-old children and mothers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o measure home reading environment and children’s reading interests.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the clusters of home reading environment, and one-way ANOVA to find differences in children’s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depending on the cluster. Result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home reading environment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verall superiority, physical environmental vulnerability, and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ility. As a result of the one-way ANOVA,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the overall superior and physical environmental vulnerable group was higher than the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le group. Also, the overall superior group had a higher reading interest than the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le group. Conclusions Children’s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vary according to the home reading environment, especially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s affect a greater impact than the physical environment.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자녀 말놀이 프로그램이 책 읽기 상호작용, 만 4세 유아의 이야기 이해와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

        최나야(Naya Choi),최지수(Jisu Choi),노보람(Boram No),오태성(Taeseong Oh)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1

        연구목적: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자녀 말놀이 프로그램을 각 가정에서 실시하여 책 읽기 상호작용, 유아의 이야기 이해와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44명의 만 4세 유아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12주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말놀이에 적합한 그림책 14권을 선정하여 말놀이를 구성하고, 그림책을 활용한 언어적 상호작용 방법과 말놀이 교육 동영상을 각 가정에 전달하여 이를 숙지하고 실행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의 변화를 부모가 최대 주 3회 기록하였고, 부모의 질문에 대해 매주 연구진이 온라인 답변을 하고, 직접 소통하는 질의응답 시간을 2회 가졌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와 자녀가 그림책을 활용한 말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다수의 그림책을 읽고 말놀이를 즐겼으며, 유아는 그림책에 대해 높은 흥미를 갖고 질문하였고, 부모는 긍정적인 정서로 참여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이후,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시간이 늘어났고, 부모의 확산적 상호작용과 아동의 발화 빈도가 증가하였다. 셋째, 참여 유아의 이야기 이해와 음운론적 인식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자녀 말놀이 프로그램은 책 읽기 상호작용과 유아의 이야기 이해, 음운론적 인식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arent-child wordpla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n each household to discover its effects on reading interactions, s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Methods: Forty four children of 4 year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pre and post-testing was conducte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12 wee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14 picture books suitable for wordplay were selected, and educational videos were delivered to each household. Parents recorded changes up to three times a week. Researchers gave online answers to parents’ questions every week and had two sessions where they communicated on-line. Results: First, parents and children read several picture books and enjoyed wordplay while participating in wordplay programs on a daily basis. Children asked questions about picture books with high interest, and parents participated with positive emotions. Seco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interaction time for reading picture books increased, and divergent interaction of parents and frequency of children’s speech also increased. Third, s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hav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on book reading interactions, s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had been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