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탈중심화와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오충광,배애진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decenter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ata was collected from 599 college students(male : 301, female : 298). The data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an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compassion, decentering and emotion control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compassion, decentering, emotion control have a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 Second, self-compassion directly influenced decentering, emotion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 control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ecentering and emotion control mediated sequen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mpassion, decentering and emotion control may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together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자기자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과정을 통합적 접근으로 탐색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인지적 측면으로 탈중심화, 정서적 측면으로 정서조절을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도, 강원도에 위치한 3개 대학교 학생 5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형검증에 사용된 연구모형은 자기자비가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탈중심화와 정서조절을 매개하여 대인관계에 영향을 준다는 부분매개모형이다. 상관분석 결과, 자기자비, 탈중심화, 정서조절은 대인관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서로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모형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경쟁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기자비는 탈중심화, 정서조절, 대인관계 각각에 모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정서조절은 자기자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그리고 탈중심화와 정서조절은 자기자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기 작업동맹과 상담 불만족에 대한 개입이 후기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오충광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3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working alliance and the counselor's intervention to the client's dissatisfaction over counseling on latter working alliance. To do this, 81 clients who were on their 3rd to 6th session were asked to answer to a questionnaire intented to test their early working alliance. The latter working alliance and the intervention to the dissatisfaction were examined after 6 sessions from the first te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ronger the early working alliance the better the latter working alliance was. The higher the level of the intervention on dissatisfaction, the stronger the latter working alliance was. There was an interaction of the early working alliance on its effect on the intervention to the client's dissatisfaction. That is,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to the dissatisfaction was more meaningful among the clients whose early working alliance was low. It seems to imply that clients who are difficult to establish working alliance need more active intervention to their dissatisfaction on the counseling. 본 연구는 초기 작업동맹과 내담자의 상담 불만족에 대한 개입이 후기 작업동맹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81명의 내담자들에게 3회기에서 6회기 사이에 초기 작업동맹 질문지를 실시하는 1차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1차 측정 후 6회기가 경과한 후에 내담자 상담 불만족에 대한 개입 질문지와 후기 작업동맹 질문지를 실시하는 2차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 초기 작업동맹이 수준이 높을수록 후기 작업동맹 수준은 높았다. 그리고 내담자 상담 불만족에 대한 개입이 높을수록 후기 작업동맹 수준은 높았다. 초기 작업동맹과 내담자 상담 불만족에 대한 개입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내담자 상담 불만족에 대한 개입이 후기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은 초기 작업동맹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초기 작업동맹이 낮은 내담자일수록 상담 불만족 개입이 높을 때, 후기 작업동맹에 대한 증가량이 더욱 커졌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동맹이 낮은 내담자의 상담 불만족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 - 공감과 자비불안의 매개효과 -

        오충광,신형섭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1

        This study explored the connection between attachment and forgiveness in college students,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s of empathy and fear of compassion. A questionnaire, including attachment, empathy, fear of compassion, and Korean forgiveness scales, was administered to 493 university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ath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ar of compassion. And empathy and forgiven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ar of compassion. Second, Empathy and fear of compassion were found to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forgiveness. Third, the direct effect of attachment on forgiveness was not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it is effective to provide counseling intervention to increase empathy and lower the level of fear of compassion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practicing forgiveness due to attachmen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마음챙김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

        오충광,최문주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academic burnout through mindfulnes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 between mindfulness and academic burnout.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data from a total of 994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 mindfulness scale, academic burnout scale, self-control scale.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academic burnou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ffects academic burnout via mindful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was moderated by self-contro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마음챙김을 경유하여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마음챙김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가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994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척도, 마음챙김 척도, 학업소진 척도, 자기통제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 대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과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마음챙김을 경유하여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 대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가 자기통제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자기통제 수준이 높아질수록 마음챙김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강도가 변화되어 학업소진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마음챙김과 학업소진의 관계는 자기통제 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에 주는 시사점,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시험불안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오충광,최혜윤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0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est anxiety, self-compassion,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We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the data from a total of A total of 610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an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st anxiety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ailure tolerance. failure toleranc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compassion and failure tolerance mediated sequen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together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불안의 적정수준이론을 바탕으로 시험불안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강원도에 위치한 3개 대학교 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형검증에 사용된 연구모형은 시험불안이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준다는 경로모형이다. 그리고 경쟁모형은 시험불안이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시험불안은 자기자비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자기자비는 실패내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실패내성은 학업성취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모형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경쟁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험불안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시험불안으로 학업성취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이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을 향상시킴으로서 효과적인 학업성취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와 학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일치모형의 적용

        오충광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일치모형을 적용하여 진로정체감,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학업 만족도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강원도에 위치한 3개 대학교 학생 7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형검증에 사용된 연구모형은 진로정체감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자기일치모델을 적용한 경로모형이다. 그리고 경쟁모형은 진로정체감과 자기조절학습이 각각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학업성취가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진로정체감은 자기조절학습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자기조절학습은 학업성취 및 학업만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학업성취는 학업만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모형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경쟁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일치모형이 한국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만족을 잘 설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대학 생활에서 효과적인 학업성취 및 학업만족을 얻기 위해서는 진로정체감 형성을 통한 자기일치적인 목표 형성과 자기조절학습을 통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identity,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atisfaction. We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the data from a total of A total of 753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based on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showed that the original model was more fitted to the data than competition model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It means that career identity predicted academic satisfaction mediated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wo conclusions can be inferred from the result. First, the Self-Concordance Model properly explai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atisfac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Second, to achieve an good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atisfaction, in needs not only establishing self-concordance goal setting through career identity achievement but putting in persisting effort supported by self-regulated learning.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together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충동성의 매개효과

        오충광,배애진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tive stress coping, emotion regulation, impulsivity and internet addiction. We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the data from a total of 506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tive stress coping and emotion regulation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net addiction. impulsivit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et addi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motion regulation and impulsivity mediated fully and sequen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stress coping and internet addict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also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정서조절과 충동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형검증에 사용된 연구모형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정서조절과 충동성을 각각 완전매개하여 인터넷 중독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정서조절과 충동성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인터넷 중독에 부적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상관분석 결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정서조절은 인터넷 중독과 부적 상관이 있었고, 충동성은 인터넷 중독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모형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경쟁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정서조절과 충동성을 완전매개하거나 순차적인 이중매개 경로를 통해 인터넷 중독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트레스에 대한 부적절한 대처로 인터넷 중독 문제를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충동성을 감소시키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가족체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숙도와 대학환경지각의 매개효과

        오충광,최혜윤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1

        본 연구는 가족체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대학환경지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652명을 대상으로 가족체계 척도(FACES III), 대학생활적응 척도(SACQ), 진로태도성숙도 검사(CAMI), 대학환경 척도(CUES)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가족체계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성숙도와 대학환경지각은 각각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가족체계는 진로성숙도와 대학환경지각을 각각 매개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기능적인 가족체계가 형성되어야함을 의미하며, 대학 내에서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향상과 긍정적인 대학환경지각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 students’family system patterns and their adaption to college. A total of 652 college students completed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III(FACES III),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are, 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College and University Environme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system patterns had a direct effect on students’adaption to college. Second, career matur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patterns and students’ adaption to college. Perception of college environ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patterns and students’ adaption to colleg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together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실패공포와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오충광,신진철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fear of failure, mindfulnes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e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the data from a total of 664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ear of failure, and fear of failur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indfulness. Also, mindfuln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fear of failure and mindfulness mediated sequen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also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패공포와 마음챙김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66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변인들 간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을 통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실패공포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실패공포는 마음챙김과 부적 상관이 있었고 마음챙김은 학업지연행동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아울러 경로분석 결과, 연구모형이 경쟁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패공포와 마음챙김이 순차적으로 완전매개함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학업지연행동을 보이는 대학생들에게 실패공포를 낮추고 마음챙김을 향상시키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