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nergy Optimized Transmission Strategy in CDMA Reverse Link: Graph Theoretic Approach

        오창윤,Oh, Changyoon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15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2 No.6

        본 논문에서는 짧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CDMA 시스템 환경에서 전송률 스케줄링과 전력량 할당 문제를 연구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각각의 단말이 짧은 구간 동안의 평균 전송률을 유지하는 동시에 에너지 효율적인 스케줄링 방안을 제안한다. 다중 코드를 적용한 CDMA 시스템을 고려하며, 각각의 코드는 가상의 사용자로 해석할 수 있다. 논문의 최종 목적은 전송률 과정에서 소모하는 에너지가 최소화되도록 각각의 시간슬럿에 가상의 사용자를 스케줄링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주목할만한 점은, 본 논문에서 고려하는 전송률 최적화 문제가 최단 경로 알고리즘으로 해결 가능하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이 제안하는 에너지 최적화 스케줄링 방안을 TDMA 형식의 스케줄링 방안과 성능 비교 분석한다. We investigate rate scheduling and power allocation problem for a delay constrained CDMA systems. Specifically, we determine an energy efficient scheduling policy, while each user maintains the short term (n time slots) average throughput. We consider a multirate CDMA system where multirate is achieved by multiple codes. Each code can be interpreted as a virtual user. The aim is to schedule the virtual users into each time slot, such that the sum of transmit energy in n time slots is minimized. We then show that the total energy minimization problem can be solved by a shortest path algorithm.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optimum scheduling with that of TDMA-type scheduling.

      • KCI등재후보

        현무암석 이미지를 이용한 제주도자제품디자인 개발 연구

        오창윤 한국도자학회 2010 한국도자학연구 Vol.6 No.2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methods for advancement of Jeju tourism industry by researching Jeju pottery works design and its strength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Jeju pottery industry and its pottery culture. Jeju is the international tourism city where 6 million people visit every year. Jeju is cultural heritage that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designated. Jeju tourism type and course have been changed from the natural sightseeing to Jeju's unique products and experiences.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nd emphasizes on the social and cultural integrity rather than the fragmentary values. For this, development of various and specific Jeju cultural product's design is needed in the consideration of visitors' needs for a change and Jeju's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Men are the culture's subject. For many centuries our culture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relation of each social group, and fusion and conflicts with other cultures. Our pottery culture will be developed through ceaseless trials and the fusion with other cultures. This thesis examines Jeju pottery culture and the process of pottery industry and suggests pottery products design that shows Jeju culture and local peculiarities. This thesis also examines Jeju basalt and its relation with the image of Jeju traditional ceramics, which will contribute to Jeju tourism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pottery culture. 본 연구는 지역도자(제주의 도자문화)의 고찰 및 분석을 통하여 지역도자의 장점을 이용한 도자제품디자인 연구를 함으로서 지역산업(제주의 관광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는 한해 600만명이 넘는 관광객이 찾아오는 세계적인 관광도시이다. 또한 '유네스코"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가 지정한 세계자연유산이다. 이런 환경 속에서 제주의 관광의 형태는 과거에 경관 위주에서 최근에 들어서는 체험과 독특한 상품구매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현대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단편적인 가치보다는 통합적 가치 중시 등 새로운 방향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런 점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인간(관광객)의 변화욕구와 제 환경을 배경으로 인간에게 새로운 물적 환경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제주문화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하고 독특한 제품디자인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본래 문화의 주체는 인간이며 각 사회 집단의 서로 긴밀한 관계 속에서 다른 문화와의 융합 혹은 갈등하는 역사적 과정을 거쳐 수 세기 동안 축적되어 발전하여 왔다. 우리의 도자문화도 새로운 시도, 다른 문화와의 융합 속에서 발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런 맥락에서 지역의 도자문화(제주전통도예, 제주의 지역적 특성)를 고찰하고 제주도내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의 현황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지역성을 느낄 수 있는 도자제품디자인 제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제주 현무암이 지닌 물성(物性)과 제주전통도예의 이미지 접목으로 도자예술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살펴봄으로서 이를 통해 제주의 관광산업과 도자문화의 발전방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제주옹기의 숙성실험과 용기개발에 대한 연구

        오창윤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유약(잿물)을 사용하지 않아 통기성이 다른 지역에 옹기보다 뛰어난 것으로 이해되고 있는 제주옹기의 숙성실험(ph실험, 젖산균실험)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용기를 개발함으로서 향후 제주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방향성, 즉 제주도예의 현대화, 산업화의 기초 틀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옹기는 다른 지역에 옹기와 비교해 독특한 모습이 많으며 이는 점토, 제작과정, 가마, 소성방법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런 차이가 발효과정에서 다른 품질변화를 보이지 않을까하는 사소한 물음에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시작하게 되었다. 총 30일의 시험기간을 기준으로 ph 변화와 젖산균 변화를 실험한 결과 제주점토를 이용한 옹기(과거, 현재)는 유약사용(잿물)을 따로 하지 않아 높은 기공률에 의해 옹기 내부와 외부사이의 공기가 통하면서 통기성이 유약(잿물)을 사용한 옹기보다 탁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숙성실험 결과를 토대로 점토를 선정하고 제주에 전통성, 토속성이 묻어나는 형태와 용도로 디자인을 진행하여 용기개발을 제시하였다. 용기개발은 전통옹기의 장점을 활용하여 단순 저장 기능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험창출의 도구로 재해석해 지역성을 느낄 수 있는 옹기제품으로 디자인 제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제주 현무암이 지닌 물성(物性)과 제주전통도예의 이미지 접목으로 촉각적 재미와 함께 제주라는 자연을 용기를 통해 경험하게 하였고 이는 옹기에 대한 새로운 활용 가능성이며 도예문화에 있어 새로운 제안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thesis will have an experiment(ph experiment and lactic acid bacterium experiment)of quality change of Jeju Onggi that has greater air permeability than the onggies in other area because it doesn't use glaze. Based on this experiment this study will show various directions of Jeju Onggi using Jeju soil, and ways for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Jeju Ceramics. Jeju Onggi has unique quality compared to other onggies because the process of soiling, firing, and plastic deforming of Jeju onggi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onggies. This study begins from wondering if the special process of making onggi is the cause of unique quality of Jeju onggi. Total of 30days trial period chang of ph and lactic acid bacterium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 of Jeju onggi doesn't use glaze, so it has a good ventilation This air permeability shows the great quality of Jeju onggi. This study aims to make a design containing Jeju tradition and folksy atmosphere after selecting soil for making Jeju onggi based on the result of maturing experiment of onggies. The development of onggi products starts from using advantages of traditional onggi. I try to make onggi showing Jeju locality and tradition beyond the simple preserving container. My onggi has the tactile quality because it used Jeju basalt, so it has the image of Jeju traditional ceramics and Jeju natural environment. I think those aspects will be the new suggestion of Jeju onggi.

      • KCI등재

        전송전력과 엑세스 포인트 선정 알고리즘: AT 링크와 TA 링크

        오창윤,Oh, Changy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8

        다중 엑세스 포인트 환경에서 전송전력과 최적의 엑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문제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지난 연구결과를 확장하여 TA 링크와 AT 링크에서 전송전력과 엑세스 포인트를 함께 최적화한다. 목적은 모든 단말이 요구하는 최소의 신호대 간섭비를 유지하면서, 총 전송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TA 링크와 AT 링크 모두에서 제안하는 반복적 기법을 통해서 최적화된 결과값에 수렴함을 증명한다. 실험결과를 통해 1) 전송전력과 엑세스 포인트를 동시에 최적화하는 방법이 전송전력만을 최적화하는 방법보다 전송전력 소모에 이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 다중 엑세스 포인트 환경에서는 TA 링크와 AT 링크에서의 알고리즘의 결과값인 전송전력 벡터와 엑세스 포인트 벡터는 쌍대성이 성립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We investigate the joint selection problem of the transmit power level and the best access point for multi-access points. We further reduce the transmit power by jointly optimizing the transmit power and the access point selection. Our aim is to minimize the total transmit power, while each terminal maintains minimum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requirement. We observe that the optimum solution can be achieved through proposed iterative algorithm for both TA link and AT link.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algorithm (joint optimization of transmit power level and access point) outperforms the algorithm which optimizes the transmit power only. We also observe that the duality between the TA link and AT link does not hold in multi-access points environment. Accordingly, the resulting power vectors and the access point vectors for TA link and AT link are different in general.

      • 자기 조직화 맵 기반 유사 검색 시스템

        오창윤,임동주,오군석,배상현,O, Chang-Yun,Im, Dong-Ju,O, Gun-Seok,Bae, Sang-Hy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8 No.5

        특징 기반 유사성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중요한 연구 쟁점이 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징이 멀티미디어 객체들을 구별하는데 유용하다지만 특징 벡터의 차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종래의 다차원 데이터 구조의 성능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R^{*}-Tree$는 R-Tree의 가장 성공적인 병형으로 본 논문에서 고차원 특징 벡터를 위한 새로운 인덱싱 방법으로서 자기 조직화 맵 기반 $R^{*}-Tree$를 제안한다. 자기 조직화 맵 기잔 $R^{*}-Tree$는 고차원 데이터를 좀더 스칼라화해서 탐색할 수 있도록 SOM과 $R^{*}-Tree$를 결합하여 구축한 인덱싱 기법이다. 자기 조직 맵은 고차원 특징 벡터들로부터 2차원 공간으로의 맵핑을 제공한다. 그러나 맵을 위상 특징 맵이라 하고 인접 노느에서 서로 유사한 특징 벡터들을 모아서 입력데이터의 특징 공간들 속에 유사성을 보존하는데 위상 특징 맵의 각 노드는 코드북 벡터를 가지고 있다. 실험적으로 4만개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색깔 특징 벡터들을 이용하여 자기 조직화 맵 기반 $R^{*}-Tree$의 검색시간 비용과 자기 조직화 맵과 $R^{*}-Tree$의 검색 시간 비용을 비교한다. 그 결과 $R^{*}-Tree$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노드 수와 검색 시간 비용이 감소됨으로써 자기 조직화 맵 기반 $R^{*}-Tree$는 자기 조직화 맵과 $R^{*}-Tree$보다 훨씬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이 입증되었다. Feature-based similarity has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issue in multimedia database systems. The features of multimedia data are useful for discriminating between multimedia objects.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multidimensional data structures tends to deteriorate as the number of dimensions of feature vectors increase. The $R^{*}-Tree$ is the most successful variant of the R-Tre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M-based $R^{*}-Tree$ as a new indexing method for high-dimensional feature vectors. The SOM-based $R^{*}-Tree$ combines SOM and $R^{*}-Tree$ to achieve search performance more scalable to high-dimensionalties. Self-Organizingf Maps (SOMs) provide mapping from high-dimensional feature vectors onto a two-dimensional space. The map is called a topological feature map, and preserves the mutual relationships (similarity) in the feature spaces of input data, clustering mutually similar feature vectors in neighboring nodes. Each node of the topological feature map holds a codebook vector. We experimentally compare the retrieval time cost of a SOM-based $R^{*}-Tree$ with of an SOM and $R^{*}-Tree$ using color feature vectors extracted from 40,000 imag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OM-based $R^{*}-Tree$ outperform both the SOM and $R^{*}-Tree$ due to reduction of the number of nodes to build $R^{*}-Tree$ and retrieval time cost.

      • KCI등재

        다중 엑세스 포인트에서 전송전력과 MMSE 수신필터 알고리즘

        오창윤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20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15 No.3

        We investigate the optimization problem of transmit power control and MMSE Receiver filter for multi access points environment. Previous work showed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access points decreases the transmit power consumption. Accordingly, transmit power control algorithm was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he transmit power is minimized, while each terminal meets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Requirement. In this work, we further reduce the transmit power consumption by optimizing the transmit power level and the MMSE receiver filter together. We showed that the proposed joint optimization algorithm satisfie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to be standard interference function, which guarantees convergence and minimum transmit power consumption. We observ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the algorithm which only optimizes the transmit power.

      • KCI등재

        제주 옹기문화연구회의 변천과 발전 방안

        오창윤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2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to enhance cooperation and friendship among its members and conduct research on creative activities and Onggi (pottery or earthenware) culture in Jeju in 1999. Since its foundation, the institute has elevated its status through exhibitions, seminars and workshops based on creation of Onggi in Jeju. The study aimed to reflect on activities conducted by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for the past 20 years and suggest a method of facilitating and developing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based on it. The process and conclusion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cused on examining and sorting through the background and transition of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and analyzing such activities as seminars, exhibitions and workshops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such problems as reasons for failure in facilitation. Seco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its member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figure out problems and reasons for reduction in membership and suggest a method of development. As a result of analyses, it turned out that reduced membership of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was caused by change in its name into Jeju Onggi Design Association in 2013, failure in clarification of characterization of the organization (between exhibition and academic research), commercialization-oriented operation and transformed environment in terms of formation of an organization in Jeju since 2000, which resulted in decreased interest among its members, increased problems and reduced members. In order to facilitate and develop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def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push for invigoration through systematic improvement of on-going projects. In addition, efforts need to be made to enable non-majors and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interested in Onggi culture to take part as members with an aim to proliferate Onggi culture and suggest a method of development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Jeju Onggi Preservation Association and Jeju Onggi Cave Festival by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facilitating the research institute. In addition to in-depth discussions, a lot of thoughts need to be given to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so that it can make a leap forward and maintain its status as a leader in the Onggi culture and the pottery culture in Jeju in the future. Toward this end, the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milestone enabling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to establish a new vision and mission and make a mid-to-long-term plan. 제주옹기문화연구회는 회원 간 협력과 유대를 도모하고, 창작활동 및 제주옹기문화에 대한연구를 목적으로 1999년 제주에서 창립된 단체이다. 창립이후 제주옹기작업을 기반으로 전시, 세미나와 워크샵을 통해 단체의 위상을 높여 왔다. 본 연구는 제주 옹기문화연구회의 과거 20여년의 활동을 뒤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보다 발전적인 단체로 나아가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제시한다. 연구의 과정 및 결론은 첫째, 제주옹기문화와 옹기문화연구회의 성립배경과 변천과정에 대하여 조사·정리하고 세미나, 전시, 워크샵 등 제반활동을 분석하여 회의 활성화 실패요인 즉,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회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과회원감소 등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제주옹기문화연구회의 회원감소 원인은 2013년 제주옹기디자인협회로 단체명칭변경, 전시/학술연구 사이에서 단체성격을 명확하게 하지 못한 점, 사업위주의 회 운영과 2000 년 이후 제주의 단체형성 환경 변화 등으로 회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여러 가지문제점이 발생시키며, 회원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옹기문화연구회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서는 단체의 개념과 성격을 명확히 재정립함과동시에 단체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정비를 통해 활성화를 모색해야 한다. 또한옹기문화 확산에 초점을 두고 비전공자, 옹기문화에 관심 있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회원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마련과 제주전통옹기보존회, 제주옹기굴제 등과 지속적인 교류와 연계를 통한 회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발전방안을 제안·제시한다.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제주옹기문화와 도예문화를 선도하는 연구회로 위상을 유지하고 도약하기 위해서는 향후, 많은 고민과 함께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본연구는 이러한 논의의 출발점으로서 향후,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새로운 비전 및 미션을 정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해나감에 있어 이정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긴 지연시간을 갖는 ABR 트래픽에 대한 피드백제어 모델

        오창윤,배상현,O, Chang-Yun,Bae, Sang-Hy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4

        ATM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통신에 적합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 음성, 영상 등의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ATM의 QoS를 보증하기 위해서는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 비율에 대해 네트워크 초과적조 조건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는데 대부분의 제어알고리즘이 임계값을 기반으로 한 피드백 제어방식이다. 그러니 실시간 음성 트레픽과 같은 서비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서비스 동안에 동적인 연결이 설정되고 종료될 수 있으므로 피드벡 제어정보가 지연된다면 고속으로 서비스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품질은 소스의 목적지 사이의 시간 지연으로 인해 손실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시된 최소평균제곱오차에 근거를 둔 제어 알고리즘은 예시적인 피드백 제어로 피드백 제어를 위해 미지함수의 기울기와 버퍼크기를 이용하여 미래의 버퍼크기를 예측하려 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질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제어 알고리즘은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can be efficiently used to transport packet data services. The switching system will support voice and packet data services simultaneously from end to end applications. To guarantee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offered services, source rateot send packet data is needed to control the network overload condition. Most existing control algorithms are shown to provide the threshold-based feedback control technique. However, real-time voice calls can be dynamically connected and released during data services in the network. If the feedback control information delays, quality of the serviced voice can be degraded due to a time delay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 in the high speed link. An adaptive algorithm based on the optimal least mean square error technique is presented for the predictive feedback control technique. The algorithm attempts to predict a future buffer size from weight (slope) adaptation of unknown functions, which are used fro feedback control.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which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 KCI등재후보

        제주 돌가마(石窯)의 축조(築造)에 관한 연구 -제주 돌가마도예연구소의 돌가마(石窯) 축조(築造)를 중심으로-

        오창윤 한국도자학회 2009 한국도자학연구 Vol.5 No.2

        Natural and geographic environment of Today's Jeju island was made by a lot of volcanic activity. This volcanic island is Jeju's peculiar cultural aspect, which we can't find out in other areas. 'Dol'(Jeju volcanic stone, that is, basalt) is the most peculiar thing in Jeju environment, by which we can understand Jeju culture very well. It's not exaggeration that we regard Jeju culture as 'Dol'(basalt) culture. Through Jeju stone kiln, we can understand Jeju basalt culture. Jeju stone kiln was made by basalt (stone formed by volcanic activity),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area's traditional kiln. We can find out Jeju own's characteristic structure through Jeju stone kiln. A windbreak house was formed by Jeju's peculiar environment. If we look through the windbreak house, we know that there is a fire wall between the combustor and the plasticity room, and a rear hole located in the back of stone kiln. Korean traditional kiln's variety is based on the purpose of plasticity and the material. It is very meaningful and exciting that Jeju stone kiln is built by Jeju's native 'Dol.' This thesis examines that inner structure and material of Jeju stone kiln influence on the plasticity and records all the making process of Jeju stone kiln, which will show us a new possibility of kiln building, contribute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f Jeju Onggi, and provide many potters with various information about Jeju stone kiln. 제주도는 수차레 화산활동에 의해 이루어진 섬으로 오늘날과 같은 자연. 지리적 환경을 갖추게 됐다. 또한 지질의 대부분 구멍이 많은 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산섬이란 점은 제주에 있어서 육지부와는 다른 독특한 유형의 문화를 낳게 한 요인이 됐으며 돌이 많다는 의미의 "석다(石多)가 제주의 풍토와 문화를 가장 함축적으로 잘 나타낸 삼다(三,多)의 하나를 이루는 것은 단순한 수사가 아니다. '돌'은 화산섬 제주의 자연 조건을 규정짓는 독특한 요소일 뿐 아니라 제주문화를 이해하는 핵심 키워드라 할 만하다. 제주문화는 '돌문화'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를 잘 보여 주는 것 중 하나가 제주 돌가마(石窯)이다. 전통 가마는 지역적으로 소성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그 재료 또한 다양하다. 제주 전통 가마인 제주 돌가마의 제작 재료가 '돌'이라는 점은 매우 흥미롭고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제주의 돌(현무암)은 화산폭발에 의해 이미 한번 구워진 상태이다. 또한 현무암이 한번 구워졌다는 점 외에 다공질이어서 열을 흡수, 저장해 내화재로서 훌륭한 역할을 한다. 제주 돌가마는 내륙에 가마에서 볼 수 없는 구조들을 가지고 있다. 바람이 많은 환경에 의해 부장쟁이(바람막이 집)가 생겨났으며 연소실과 소성실 사이에 기물의 파손을 줄이기 위한 불벽, 가마에 굴뚝이 따로 없고 자연 경사를 그대로 이용해 가마 맨 뒤에 뒷구멍이 있다는 점 등이 제주 돌가마 만이 지닌 독특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주 돌가마의 내부구조와 재료 등이 소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제주 돌가마의 모든 축조(築造)과정을 기록, 정리함으로서 전통에 기반을 둔 가마 제작의 방향성과 제주 옹기에 대한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고 많은 도예인들에게 제주 돌가마에 대한 여러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간섭주요화를 적용한 D2D 유틸리티 함수 분석

        오창윤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7

        We consider the D2D utility optimization problem in the cellular system. More specifically, we develop a concave function decision rule which reduces the complexity of non-convex optimization problem. Typically, utility function, which is a function of the signal and the interference, is non-convex.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utility function from the interference perspective. We introduce the ‘relative interference’ and the ‘interference majorization’. The relative interference captures the level of interference at D2D receiver’s perspective. The interference majorization approximates the interference by applying the major interference. Accordingly, we propose a concave function decision rule, and the corresponding convex optimization solu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utility function is concave when the relative interference is less than 0.1, which is a typical D2D usage scenario. We also show that the proposed convex optimization solution can be applied for such relative interference cases. 셀룰라 시스템에서 D2D 유틸리티 최적화 문제를 연구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Non-Convex 최적화 문제의 복잡도를 완화하도록 해주는 오목함수 결정규칙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유틸리티 함수는 신호와 간섭의 함수이며, 해법이 복잡한 Non-Convex 형태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해법을 찾고자 유틸리티 함수를 간섭관점에서 분석한다. 먼저 D2D 수신단에서의 간섭레벨을 의미하는 ‘상대간섭’과 간섭을 주요간섭으로 간략화하는 ‘간섭주요화’를 수식적으로 정의한다. 정의한 간섭주요화를 바탕으로 간단한 해법의 기반이 되는 오목함수 결정규칙과 최적화 해법이 간단한 Convex Optimization 해법을 제안하도록 한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유틸리티 함수는D2D 적용시나리오에 해당하는 수치인 상대간섭 0.1 이하에서는 오목함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Convex Optimization 해법은 상대간섭 수치 0.1 이하에서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