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횡하중을 고려한 압축최종강도에 대한 보강재 치수의 영향

        오영철,고재용,오동기,Oh, Young-Cheol,Ko, Jae-Yong,Oh, Dong-Ki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4 No.1

        Stiffened panels are basic strength members which have been used widely in a vessel or an offshore. They have been used often a deck, a side and a bottom structure of ship and have a number of one sided stiffener in either one or both directions called grillage. Their buckling and plastic collapse become damaged reason of the hull girder so it needs to investigate accurately buckling and ultimate strength of stiffened panels. In the present paper, using the ANSYS, a commercial finite element analysis code, we conducted the evaluation regarding buckling and post-buckling behaviour of stiffened panels, and analyzed stiffener's web height change, considering the effect of lateral pressure load against compression ultimate strength. 보강판은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기본적인 강도 부재이다. 이러한 보강판은 선박의 갑판부, 선측부, 선저부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 보강판은 보강재가 어느 한 방향으로 또는 양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자에 대해서 보통 그릴리지라고 한다. 보강판의 좌굴 및 소성붕괴는 선각거더의 파손 원인이 되므로 좌굴 및 최종강도가 정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범용유한요소해석코드인 ANSYS를 이용하여 좌굴 및 좌굴 후 거동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보강재 치수변화, 수압의 영향을 고려하여 압축최종강도에 대해 해석 수행하였다.

      • KCI등재

        패치 로딩을 받는 알루미늄 합금 A6082-T6 사각형 판의 임계 탄성좌굴하중 검토

        오영철,고재용,Oh, Young-Cheol,Ko, Jae-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에서 해양플랜트 구조물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알루미늄 합금 A6082-T6의 재료특성을 반영한 사각형 판에 대한 패치 로딩의 구조 안정성 문제를 검토하였다. 구조 안정성 문제를 검토 시 네 가지 패치 로딩 형태와 종횡비 효과, 주변지지조건을 적용하여 임계 탄성 좌굴하중을 산출하였다. 고유치 좌굴해석 간 사용한 요소는 4절점 쉘요소 shell181을 적용하였다. 패치 로딩을 받는 판은 균일 축 압축하중과 비교 시 상이한 탄성 좌굴거동이 발생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하중형태와 위치, 종횡비 효과 등과 같은 변수에 대해 상당히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종횡비(a/b) 1.0, 하중길이(${\gamma}b$) 200 mm 단순지지 사각형 판에서 패치 로딩 형태에 따른 임계 탄성좌굴하중은 67 %(하중 I), 119 %(하중 II), 76 %(하중 III), 160 %(하중 IV)이 각각 산출되었으며 하중 I과 III은 하중 II와 IV보다 훨씬 더 탄성 좌굴거동에 강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problem of the structur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atch load of a rectangular plate that reflects the material properties of A6082-T6 is used primarily for marine plant structure. it applied to the four patch loading shapes, the effect of aspect ratio, a boundary condition and calculated the critical elastic buckling load. Calculating the critical elastic buckling load, During the eigenvalue buckling analysis it is applied to the shell181 as 4 node shell element. when the plate subjected to patch loading compare to the plate under a uniform axial compression load, it is possible observed to occur the different elastic buckling behaviour a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it is affected significantly on a variable position and type of loadings, such as the effect of the aspect ratio. Also, Critical elastic buckling load according to th patch loading type in simply supported rectangular plate a/b=1.0, ${\gamma}b$=200mm are calculated 67%(Loading type I), 119 %(Loading type II), 76 %(Loading type III), 160 %(Loading type IV), respectively. Loading type I and III could be determined with the strong elastic buckling behavior much more than Loading type II and IV.

      • KCI등재

        패치로딩을 받는 알루미늄 합금 플레이트 거더의 최종강도 예측식 추정

        오영철,서광철,고재용,Oh, Young-Cheol,Seo, Kwang-Cheol,Ko, Jae-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5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1 No.5

        본 논문에서는 교량, 선박 등에 사용하고 해양환경을 고려한 알루미늄 합금(A6082-T-6) 플레이트 거더의 물리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플레이트 거더는 제품수명주기에 이동하중, 적재하중 등 같은 패치로딩을 경험하게 된다. 이 하중을 받는 알루미늄합금 플레이트 거더의 최종강도에 대해 다수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탄소성 대변형 시리즈 해석을 수행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예측식은 최종강도와 세장변수의 상관관계로 나타냈으며 세장변수가 낮을 경우(0-2.3) 약 9 % 정도 오차가 발생하며 높을 경우(2.3-4.0) 약 1-2 % 정도 오차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제안 예측식 적정성은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paper, Used on the bridge and ship, investigate the physical relationship of aluminium plate girders(A6082-T6) considering the marine environment. Plate girder will experience the patch loading such as moving load, surcharge in the product life cycle. The ultimate strength of aluminum plate girders subjected to these loads applied multiple numerical model and performed the elasto-plastic large deflection series analysis and was proposed the predicted formula for regression analysis. The predicted formula was shown by the relationship of ultimate strength and slenderness. If the slenderness is low(0-2.3), it causes a 9 % error, and If the slenderness is higher(2.3-4.0), it causes a 1-2 % error. Therefore, the propriety of proposed prediction formular was found to be assess rationally.

      • KCI등재

        장방형 부유구조물에 대한 동유체력-구조응답 특성

        오영철,김옥석,고재용,Oh, Young-Cheol,Gim, Ok-Sok,Ko, Jae-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8 No.6

        부유구조물은 해양에서 다양한 외력을 경험하게 되며 특히, 파랑하중은 구조물의 설계에 결정적인 지배인자로 간주되고 있다. 이런 구조물은 파장과 크기의 상대적 관계로 소형구조물, 대형구조물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통적으로 소형구조물은 회절발생이 없는 것으로 가정하며 대형구조물은 회절 작용에 따른 관성력만을 고려하여 파랑하중을 산출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양과 강, 호수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정사각형 부유구조물을 이용하여 동유체력과 구조응답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장방형 부유구조물의 안전성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Structures floating in the ocean experience various kinds of external loads, among which wave load is considered as determining factor in structural design. Its relative size compared with wavelength may be used to classify whether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mall or large. Traditionally, the small structures are assumed to have little diffraction and the wave loads on large structure are usually calculated by only considering inertia force according to diffraction. In this paper, rectangular floating structures usually used in the ocean, river, and lake are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hydrodynamic forces and its structural response.

      • 쌍동형 선체의 운동응답특성과 동유체력에 관한 수치해석 비교검토

        오영철,고재용,Oh, Young-Cheol,Ko, Jae-Yong 선박안전기술공단 2013 선박안전 Vol.35 No.-

        선박 고속화와 해양레저선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쌍동형 선체건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쌍동형 선체는 복원성, 내항성능 및 저항추진 등에서 단동형 선체보다 고속선형 및 갑판활용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쌍동형 선체는 갑판 상에서 두 개의 선체를 동체로 결합시킨 선체로서 운동 시 부체 간 공진현상이 수반된 자유표면 거동과 유체력이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런 공진현상을 감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합리적인 쌍동형 선체의 운동응답특성과 동유체력을 산출하였다.

      • KCI등재

        패치로딩을 받는 알루미늄 합금 플레이트 거더의 강도 예측에 대한 기초 연구

        오영철,배동균,고재용,Oh, Young-Cheol,Bae, Dong-Gyun,Ko, Jae-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실험 모형을 이용한 탄소성 대변형 시리즈 해석을 수행하여 플레이트 거더의 파손모드와 최종하중을 예측하였다. 수치해석 모형의 붕괴모드는 재하 시 플랜지에서 소성 힌지가 형성되었으며 실험모형의 붕괴모드와 일치하였다. 또한, 웹에서 항복선이 형성되어 크리플링 붕괴모드가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실험모형과 수치모형 최종하중의 평균값 1.07, 표준편차 0.04, 변동계수 0.04로 선형성을 유지하였으며 전체 최종하중 결과도 대략 8 % 오차를 나타내었다. 이는 수치모형 결과가 실험 및 적용 기준에 매우 만족하고 양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알루미늄합금 플레이트 거더의 최종하중 예측 시 실험 및 적용 기준과 함께 병행하여 적용을 한다면 이에 대한 합리적 안전수준을 유지한다면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 알루미늄 합금 플레이트 거더의 파손모드 및 최종하중에 대해 예측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In this paper, it performed to the elastic-plastic large deflection series analysis using the experimental model and predicted a failure mode and ultimate strength. The collapse mode of numerical analysis model is formed a plastic hinge on loaded flange and consistent with the collapse mode of experimental model. Also, The yield line is formed in the web could observed that have occurred the crippling collapse mode and the ultimate loads of the experimental model and numerical analysis model have maintained linearly Means 1.07, Standard deviation 0.04, Coefficient of variation(COV) 0.04 and the result of ultimate loads have appeared approximately 8% error rate. it was found that very satisfied to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applied rules. if it is considered to be maintain a reasonable safety level,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failure modes of aluminium alloy plate girders and ultimate loads.

      • KCI등재

        초기 처짐 영향을 고려한 알루미늄 합금 사각형 판의 좌굴 후 거동

        오영철,강병모,고재용,Oh, Young-Cheol,Kang, Byoung-Mo,Ko, Jae-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0 No.6

        In this paper, It is performing to the elastic and elasto-plastic large deformation series analysis using a numerical method for the initial deflection effect of the aluminum alloy rectangular plate in the elasto-plastic loading area patch loading size. It is assumed a boundary condition to be a simply supported condition and consider the initial deflection amplitude, aspect ratio. It examined the critical elastic buckling load and post-buckling behaviour of aluminium alloy A6082-T6 rectangular plate. It used a commercial program for the elastic and elasto-plastic deformation series analysis. If the initial deflection amplitude is smaller, the in-plane rigidity with increasing to load is reduced from the start and occurs significantly more increasing the amplitude. More higher the aspect ratio, the initial yield strength is gradually decreased, and the plate thickness thicker and occurs larger than the thin walled plate a reduction ratio of the initial yield strength of the patch loading size as 0.5. 본 논문에서는 탄소성 영역 내 패치 로딩 크기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 사각형 판의 초기 처짐 영향을 수치해석방법으로 이용한 탄성 및 탄소성 대변형 시리즈 해석을 수행하였다. 주변 지지조건은 단순지지로 가정하고 초기 처짐 크기(w/t), 종횡비(a/b), 세장비(b/t)를 고려하여 알루미늄 합금 A6082-T6 사각형 판의 임계 탄성 좌굴하중과 좌굴 후 거동을 검토하였다. 탄성 및 탄소성 대변형 시리즈 해석은 상용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초기 처짐 크기가 작을 경우 하중증가와 함께 면내 강성이 처음부터 감소하며 크기가 커질수록 훨씬 두드러지게 발생한다. 종횡비가 커질수록 초기항복강도는 점차 감소하며 판 두께가 두꺼울수록 패치 로딩 크기(l/b) 0.5 이후 초기 항복강도 감소비율은 얇은 두께보다 더 크게 발생한다.

      • KCI등재

        티(Tee)형(型) 보강재로 보강된 곡판의 붕괴모드에 대한 검토

        오영철,김경탁,고재용,Oh, Young-Cheol,Kim, Kyung-Tak,Ko, Jae-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7 No.3

        선박은 상자형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박의 선 수미, 선저만곡부, 갑판 등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런 구조는 박판구조이며 1차 지지부재로 사용된다. 평판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상이한 거동을 보이며 일반적으로 압축하중을 받을 경우 곡률변화에 따라 다른 좌굴 및 최종 강도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압축하중을 받고 있는 보강곡판인 1/2+1+1/2 bay 모델에 대하여 비선형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매개변수 영향은 곡률변화뿐만 아니라 세장비, 웨브높이/두께 등을 고려하여 해석모델에 대한 붕괴모드에 대해 검토하였다. Ship are a box-shaped structure. It is used often fore and aft parts, bilge strake, deck with camber of ship structures. When this structure is compared with flat plate structure, it different to behaviour. Generally, if it subjected to axial compressive load, ultimate strength depend on the change of curvature. Also, In this paper, stiffened curved plate with 1/2+1+1/2 bay model subjected to compressive load carried out the elasto-plastic large deflection series analysis. and parameter effect considered slender ratio, web height/thickness as well as change of curvature and investigated collapse mode for analysis model.

      • KCI등재

        규칙파 중 플로팅 도크의 운동응답특성 및 계류장력 추정

        오영철,김옥석,고재용,Oh, Young-Cheol,Gim, Ok-Sok,Ko, Jae-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9 No.2

        이 연구에서는 상용코드(AQWA)를 이용하여 규칙파 중 8점 계류 중인 플로팅 도크의 계류 장력과 운동응답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심 10 m 연안환경(파 진폭 1.05 m, 파주기 3.85 sec, 풍속 20.21 m/s, 풍향 및 조류방향 $90^{\circ}$, 입사파 ${\chi}=180^{\circ}$, $135^{\circ}$ 및 $90^{\circ}$ 조건에서 수치 해를 적용하였다. 해석모델은 길이 140 m, 폭 32 m 및 높이 14.6 m의 강구조물로 현수선의 길이는 최대 120 m를 적용하였다. 해석결과 상하동요와 종동요는 선수파 보다 횡파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계류 장력도 횡파와 풍하중에 의해 크게 작용하였다. The paper was investigated on the mooring forces(or tension) and motion response characteristics for a 8-point mooring floating dock in regular waves using a commercial code(AQWA). To achieve the aim of the research, a numerical simulation was adapted on an inner port environment condition, which the water depth is 10 meters, significant wave amplitude(1.05 m). wave period(3.85 sec), wind speed(20.21 m/s), wind and current direction ($90^{\circ}$), incident waves(${\chi}=180^{\circ}$, $135^{\circ}$ and $90^{\circ}$). The dimension of the numerical model is length(140 m), breadth(32 m), depth(14.6 m). The maximum length of a mooring line is 120m. We can expected that roll and pitch motions appeared in beam seas better than head sea. the mooring forces also indicated higher in bean seas than in head seas including wind forces.

      • 북한군의 선전선동과 그 역할 - 강연회를 중심으로 -

        오영철 ( Oh Young-cheol ) 한국군사학회 2017 군사논단 Vol.92 No.-

        This research is to approach lectures of North Korea as tools of propaganda/agitation and ideology education which play a critical role of conveying messages to public in planning, organizing and operating by North Korea labor party. Specially, in considerations of its important nature of lecture formats, system operation and control of idea rituals through lectures, this research would identify which process are adopted for North Koreans soldier to be educated and organized and how those lectures are utilized for North Korean soldier government to maintain and manage their political system. However, lectures itself compose web typed systematic educational structure in various ways such as per organization, hierarchy and job levels for all of institutions and units in overall country. So, any North Korean soldier cannot get away from lectures organized by party orchestrated lectures are carried out systematically and periodically for every month including unexpected lectures. With major changes of soldiers awareness after economic recession, North Korean soldier decided to manage lectures increasingly in diversified forms and ways to cope actively with any unexpected incidents may happen. So far, lectures played major roles for controlling soldiers ideological awareness by retraining soldier and providing its own guidelines. This research has a few limitations for focusing on system, operation, management and changes of lectures only, but it is considered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identifies major elements and concrete process of lectures currently being carried for taking control of North Korean soldier thought and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