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급성 전골수구성백혈병 환자에서 발생한 ATRA 분화증후군 관련 안침범 1예
오시은(Si Eun Oh),최승용(Seung Yong Choi)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4
목적: 급성 전골수구성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환자에서 all-trans retinoic acid (ATRA) 치료 중 발생한 분화증후군 관련 안침범 사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7세 여자 환자는 급성 전골수구성백혈병을 진단받고 ATRA 복용을 하던 중 시야가 노랗게 보이는 증상과 함께 시력저하를 호소하였다. 안저검사상 양안에 미만성으로 퍼져 있는 다수의 드루젠 유사 병변과 빛간섭단층촬영상 다수의 색소망막상피층의 박리가 보였다. 형광안저혈관조영술상 연한 노란색 병변과 대응되는 다수의 점상 과형광과 후기 누출이 확인되었고, 인도사이아닌그린혈관조영술상 다수의 저형광 반점이 보였다. 본 환자는 ATRA를 중단하고 고농도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투약 받은 이후 양안시력이 회복되었고 맥락망막병변 또한 소실되었다. 결론: ATRA 치료를 받는 급성 전골수구성백혈병 환자에서 분화증후군과 연관된 맥락망막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분화증후군의 전신적 악화를 시사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진료와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To report a rare case of differentiation syndrome with ocular manifestations in a patient with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treated with all-trans retinoic acid (ATRA). Case summary: A 27-year-old female complained of yellowing of vision and decreased visual acuity during an ATRA medication course for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Bilateral diffuse drusen-like lesions were found at the posterior pole along with multiple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scans. Fluorescein angiography showed multiple hyperfluorescent lesions with leakage at the late phase corresponding to drusen-like lesions in fundus photography.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revealed multiple hypocyanescent lesions. ATRA treatment was discontinued and replaced with high-dose dexamethasone. Accordingly, the patient experienced a rapid improvement in visual symptoms and the chorioretinal lesions on OCT scans showed marked resolution. Conclusions: Differentiation syndrome-associated chorioretinopathy may occur in patients with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treated with ATRA. Because the occurrence of chorioretinopathy may be associated with systemic aggravation of the ATRA syndrome, preemptive treatment with early detection is required.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서의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
오시은(Si Eun Oh),하민지(Min Ji Ha),황웅주(Woong Joo Whang),변용수(Yong-Soo Byun),황형빈(Hyung Bin Hwang),나경선(Kyung Sun Na),노창래(Chang Rae Rho),이현수(Hyun Soo Lee),정소향(So-Hyang Chung),김은철(Eun Chul Kim),조양경(Yang Kyung C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12
목적: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Descemet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 2차적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6세 여자 환자가 6년 전 우안에 백내장수술을 받고, 한 차례 인공수정체교환술을 받은 뒤 수포각막병증이 발생하여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을 시행받았다. 5년간 시력을 잘 유지해오다가, 이식편 실패로 인해 시력이 감소하게 되었다. 해당 환자는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 후 녹내장이 발병하였던 상태로, 2차 각막이식술은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로 시행하였으며 추가적인 공기주입 없이 수술은 성공하였다. 수술 3개월 후 교정시력은 0.2였으며 각막은 투명하였다. 결론: 데스메막박리 자동각막내피층판이식술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서 2차적으로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5개월까지 각막이식편의 실패 없이 투명한 각막을 유지하였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secondary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to treat graft failure after Descemet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Case summary: A 66-year-old female underwent DSEK of her right eye to treat pseudophakic bullous keratopathy that developed after cataract surgery and intraocular lens exchange. After 5 years, she complained of decreased vision; graft failure was observed. Secondary DMEK was performed; no additional air injection was needed. The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2, 3 months after surgery, and the cornea became clear. Conclusions: Visual recovery can be achieved by performing secondary DMEK after primary DSEK graft failure.
소아에서 Wavefront 수차계를 이용한 굴절검사의 유용성
오시은(Si Eun Oh),황웅주(Woong Joo Whang),박미라(Mi Ra Park)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5
목적: 조절마비 후 wavefront 수차계, 자동굴절검사 및 망막검영법에 의한 굴절검사를 비교하여 소아에서 wavefront 수차계를 이용한 굴절검사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조절마비 후 wavefront 수차계, 자동굴절검사 및 망막검영법에 의한 굴절검사를 시행한 3세 이상 16세 이하 소아 65명 13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굴절검사값은 power vector (M, J0, J45) 및 원주렌즈의 절대값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각 검사 방법을 통한 굴절검사값 간의 일치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망막검영법의 구면렌즈대응치 절대값 2 D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추가 비교하였다. 결과: 수차계와 자동굴절검사 모두 망막검영법에 비해 근시성 경향을 보였다(p=0.007, p<0.001). 경도의 굴절이상을 가지는 경우, 수차계로 측정한 M, J0, J45 벡터가 망막검영법과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p=0.674, p=0.699, p=0.766), 자동굴절검사는 M, J0, J45 벡터, 원주렌즈의 절대값 모두 망막검영법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모두 p<0.05). 큰 굴절이상을 가지는 경우 수차계와 자동굴절검사를 통하여 얻은 M 벡터는 망막검영법과 비교시 근시성 경향을 보이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모두 p<0.001). 결론: Wavefront 수차계를 이용한 굴절검사는 경도의 굴절이상을 보이는 경우 기존의 자동굴절검사보다 망막검영법에 근사한 값을 보이나, 큰 굴절이상을 보이는 경우 수차계와 자동굴절검사는 모두 망막검영법과는 차이를 보였다. Purpose: To compare the refractive measurements from a wavefront aberrometer, autorefractor, and retinoscopy after cycloplegia in evaluating the usefulness and validity of refractive measurements by a wavefront aberrometer in children. Methods: A total of 130 eyes of 65 children, aged from 3 to 16 years, were examined using retinoscopy, a wavefront aberrometer (OPD-Scan III), and an autorefractor (KR-1) after cycloplegia. Refractive measurements were converted to power vectors (M, J0, and J45) and cylindrical absolute value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agreement between instruments was assessed and the correlations of measurements were evaluated.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on two subgroups: one representing less refractive error (|M| < 2 D on cycloplegic retinoscopy) and the other with larger refractive error (|M| ≥ 2 D on cycloplegic retinoscopy). Results: Compared with retinoscopy readings, the aberrometer and autorefractor yielded more myopic values (p = 0.007, p < 0.001). In the less refractive error group, the autorefractor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retinoscopy readings for M, J0, and J45 and the cylindrical absolute value (all p < 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 J0, and J45 vectors of the aberrometer and those obtained using retinoscopy (p = 0.674, p = 0.699, p = 0.766). With the larger refractive error group, the M vectors of the aberrometer and autorefractor showed more myopic values than the M vector retinoscopy reading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p < 0.001). Conclusions: The wavefront aberrometer yielded refraction readings closer to those obtained with retinoscopy than the automated refraction in the less refractive error group. With a larger refractive err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l p < 0.001) were found among the aberrometer, autorefractor, and retinoscopy readings.
통영 연안에서 채집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의 산란시기와 성전환
이해원 ( Hae Won Lee ),정재묵 ( Jae Mook Jeong ),유효재 ( Hyo Jae Yu ),황강석 ( Kang Seok Hwang ),오시은 ( Si Eun Oh ),송세현 ( Se Hyun Song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1
본 연구는 연안에 서식하는 감성돔의 산란생태학적 연구를 위해 2020년 2월부터 2021년 1월까지 통영 연안에서 어획된 시료 총 470개체 (가랑이체장 20.5∼50.2 cm)를 대상으로 하였다. 통영에 서식하는 감성돔의 월별 생식소숙도지수 (GSI) 변화를 통해 암수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며 4∼5월이 산란시기로 추정되었고, 연 1회 산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학적 검경을 통해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하는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전기자웅동체 (MF)는 20.5∼39.6 cm에서 보였고, 후기자웅동체(FM)는 26.4∼50.2 cm에서 보였다. 난경은 0.02∼0.60mm 범위였으며, 2월에 평균 난경은 0.09mm로 가장 작았고, 8월에 평균 난경은 0.43mm 가장 높았고, 포란수는 277,148 (33.9 cm)∼2,772,421 (34.1 cm)립의 범위를 보였다. This study sought to reveal spawning period and sex inversion of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collected off the coast of Tongyeong, Korea. The monthly gonodosomatic index (GSI) showed the same pattern of between both sexes, and it was estimated that black seabream spawned once a year (between April and May).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e transition from male to female sex, size of fork length bisexual gonad with ovarian (primary hermaphrodite; progress from male to female, MF) was seen at 20.5 to 39.6 cm and bisexual gonad with testicular (post hermaphrodite; female development and Male degeneration, FM) was seen at 26.4 to 50.2 cm. The egg diameters was in the range of 0.02 to 0.60 mm, with the smallest average egg diameter of 0.09 mm in February, the highest average egg diameters of 0.43 mm in August, and the range of fecundity was number of eggs 277,148 (33.9 cm) to 2,772,421 (34.1 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