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실용적 주문형 RFID 물류 정보 시스템 구축에 관한 사례연구
오성환,양광모,박재현,Oh Sung Hwan,Yang Kwang Mo,Park Jae Hyun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4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Vol.6 No.3
A company wishes to obtain a competitive edge by adopting an efficient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o control the logistics management process. The elements of the competitive edges a company targets are to maintain good quality, reduce cost and on-time delivery and those competitive edg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ycle time of a product.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n a company is also closely tied with other business activities than the logistics itself.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hoose a system that will help rationalize the logistics but also overall business operations along the supply chain from manufacturing to distribution of the products. This paper aims to research and analyze a problem with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rough case study and to suggest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with RFID in place adopted to eliminate problems such as damages, loss and defect rates.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가치화를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오성환(Oh, Sung Hwa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3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
문화콘텐츠 산업은 21세기에 가장 각광받는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문화콘텐츠와 문화 원형 콘텐츠의 원천이 되는 문화유산은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를 보존한다는 사회문화적 의의뿐만 아니라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측면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화는 문화콘텐츠의 개념을 가능하게 만든 동인이며, 문화유산의 복원과정에서 활용 및 서비스의 측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문화유산 데이터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의 표준화가 반드시 이행되어야 한다. 미래의 사업에도 표준화지침이 필요하겠지만, 기존에 수행되었던 사업의 결과물을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해서도 표준화 지침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국가적 차원이나 국제적 차원의 기준 및 표준이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으며,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방안에도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기록화 사업의 기획부터 데이터의 활용에 이르기까지 공유가능하며 활용가능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를 도출해낼 수 있는 표준화 방안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유산의 디지털화가 각 기관별 혹은 대상 문화유산별로 진행되다보니 생성되는 정보의 차이, 기관 간의 정보 공유의 어려움, 일반인에 대한 활용도 미흡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는 표준화된 제작 지침이 없으며, 또한 유관기관 간에 지침이 공유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난다. 따라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제작과정에서 활용 서비스까지를 고려한 국가 주도적 표준화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Cultural contents industry has emerged as the most promising industries in the 21st century.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source of the content of cultural content and cultural circles,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hat preserv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history has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in terms of creating economic value. The digitized drivers, and made possible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 and, ranging widely used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erms of service. Standardization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content, digital cultural heritage data to create value-added content is produced in order to be utilized must be fulfilled. Standardized guidelines for future business, but also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e project have been made to the existing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it is time to standardized guidelines. The criteria and standards of the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and the point is not to raise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has not been interested in Lea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standardized methods to derive a recording project from the planning to the use of data can be shared and take advantage of the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However,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sharing information between agencies, and the public about the lack of utilization of digitization of cultural heritage looked to be conducted by each agency, or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destin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ormation that is generated. In addition, guidelines and standardized production, which takes place between the relevant agencies because they do not share the instructions. Therefore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standardized measures used in the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creation process,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s to the state-led.
오성환(Oh, Sung Hwan),김기덕(Kim, Gi Deok)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8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디지털, 모바일시대, 많은 정보가 생산되고 빠르게 사라져가는 기록들을 어떻게 잘 관리하고 보존해 후손에게 남겨줄 것 인가가 인류의 영원한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에 유네스코(UNESCO)가 가장먼저 문제제기를 하고 나왔다. ‘디지털 유산 보존에 관한 헌장’(2003.10)을 제정하고, ‘유네스코 디지털유산 보존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컴퓨터가 워드프로세서 등을 통해 기록을 생산하게 되면서 전에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방대한 양의 정보들이 쉴 새 없이 생산되고, 빠르게 유통되고, 단 시간에 사라지고 있다. 이렇게 사라져 가는 디지털 정보를 체계적으로 보존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며 국가적인 과제이다. 그러나 현실은 보존이 필요한 정보조차 제대로 관리가 안 되고 사라져 가고 있어, 이에 대한 보존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형편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기구인 유네스코의 ‘디지털 유산 보존을 위한 가이드라인’전본을 번역하여, 동 가이드라인에 대한 내용을 최초로 소개하고, 이 가이드라인에 담긴 내용을 중심으로 디지털 유산 보존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In this Digital era, so much information is created, so how to manage and preserve the archives for the descendants, which are disappearing rapidly, is the question for mankind. Concerned with this matter, UNESCO was the first one that raised the question. It enacted the establishment for ‘the Charter (Constitution) about Digital Heritage Preservation (Oct. 2003)’ and provided the settlement of ‘the Guideline for Preservation of UNESCO Digital Heritage’. While computer and mobile devices are creating archives, huge amount of information is being produced, distributed so fast and vanished. So, at this time to preserve a number of digital information which is disappearing is very significant and the national task. But in reality, the most urgent thing is to search for the way to preserve the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conserved because it isn’t controlled and is going away. Therefore, about this matter, I would translate the whole volumes (scripts) of ‘the guideline for Digital Heritage Conservation’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UNESCO and introduce the conservation policy for digital heritage mainly and lastly, research the preservation methods for digital heritage followed by the same guide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