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보육센터의 멘토링 교육 서비스가 창업기업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김기홍(Kihong Kim),오상도(Sangdo Oh) 한국소비문화학회 2023 소비문화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창업보육선터 멘토링 교육 서비스의 기능이 초기창업기업 구성원의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 및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창업보육센터에서 시행하는 멘토링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238부의 설문을 표본으로 경로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멘토링 서비스의 기능, 멘토-멘티 신뢰감, 멘토링 서비스의 공정성 지각, 조직몰입도, 직무만족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멘토링 서비스의 기능은 신뢰감, 공정성 지각, 조직몰입도, 직무만족도에 모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멘토링서비스기능-공정성지각-직무만족도 경로의 간접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 of trust in mentors and imparti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mentoring on start-up compani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assertions of previous studies on other various fields. We confirmed that the mentoring function of the start-up research center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tart-up entrepreneurs. It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he way to elici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rust in not only the mentoring function but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s,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tion inside the start-up research center, mentors should stay positive and bring up passion for their mentees. Start-up workers, in the same vein, also suggest that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overall mentoring composition is required for meaningful mentoring.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자본이 여성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임은정 ( Eun Jung Lim ),오상도 ( Sangdo Oh ),조인숙 ( Insook Cho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0 여성경제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 우울감, 동기화 등의 사회·심리적인 요인들이 여성의 창업의지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본다. 240명의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요 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와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자본은 여성의 우울증상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감은 사회적 지지와 창업의지 변수 사이에서 완전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동기(motivation)는 사회적 자본과 창업의지 변수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자본이 여성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서, 여성의 우울감이 창업의지에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요인임을 밝혀냈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근거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여성의 경제 참여를 독려하고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정책을 개발할 때, 여성의 내적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이를 반영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social capital, depression, and synchronization on women's entrepreneurship intention. Using the survey data from 240 women on a career break,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jor variables using a path analysis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caus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among variables through these path coefficients. Main findings of this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nd social capital have negative effects on depression. Second, depression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Finally, synchronization was considered to play a partial role between soci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will.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reveals that women's depressive symptoms are one of main factors influenc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women, to design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and to provide the environment to increase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rate and influence their will to start a business.

      • KCI등재

        고객접점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이 여성 고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현서 ( Hyeon Seo Park ),오상도 ( Sangdo Oh ),조인숙 ( Insook Cho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1 여성경제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대인 서비스 접점에 있는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이 여성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 및 기업에 호의적인 행동 참여 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규정된 역할의 고객 서비스(RPCS)와 비규정된 역할의 고객 서비스(ERCS)로 구성된 친사회적 행동이 고객의 내적반응을 매개하여 고객 만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더 나아가 서비스에 만족한 고객들이 자발적으로 보이는 애호도, 협조, 참여 등의 기업에 호의적인 행동을 대상으로,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이 고객들의 자발적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객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직업훈련 기관의 여성 훈련생(고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조사 대상은 경북과 경기 지역에서 선정된 5개의 요양보호사 교육원의 교육 프로그램을 수료한 학생들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 36부를 제외하고 총 264부의 설문 결과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접점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 중 규정된 역할의 고객 서비스는 고객의 인지적 및 감정적 내적반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 중 비규정된 역할의 고객 서비스는 고객의 인지적 및 감정적 내적반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 중 비규정된 역할의 고객 서비스는 고객의 내적반응을 매개로 고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만족은 고객의 자발적 행위 중 애호도, 협조, 참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서비스 업종에서 고객접점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이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는 점을 보여주며, 서비스 업종에서 종업원 교육과 관련된 인적자원 관리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ustomer service personnel’s prosocial behavior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ervice personnel’s prosocial behavior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s well as customers’ voluntary performances such as affinity,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This study examines 264 customers from 5 nursing care education centers in Gyeongsangbuk-do and Gyeonggi-do.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female respondents because most of the trainees in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re women. Empirical analyses of this study report four important findings. First, role-prescribed customer services positively influence customers’ cognitive and emotional inner reactions. Second, extra-role customer services positively influence customers’ cognitive and emotional inner reactions. Third, extra-role customer services positively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mediation of positive inner reactions of customers. Fourth,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voluntary performance such as affinity,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ustomers are satisfied when they experience positive inner reactions through prosocial behaviors of service encounters in service environment. In addition, when their satisfaction levels were increased, customers tend to have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service providers as well as are willing to help the service providers to flourish.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sights on human resources management strategies of education service providers.

      • KCI등재

        기혼 여성 근로자가 출산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우울감과 서비스 품질저하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우연화(Yeon Hwa Woo),오상도(Sangdo Oh),김준환(Joonhwan Kim)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24 地域發展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직장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기혼 여성 근로자가 출산과 관련하여 겪는 우울감과 그들이 제공하는 낮은 서비스 품질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출산과 관련하여 기혼 여성근로자들은 직장과 가정사이에서 역할 갈등을 겪으며 출산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할 갈등과 심리적 소진이 우울감과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야기하며, 우울감과 심리적 소진은 근로자의 이직 의도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직장과 가정 사이에서 생기는 갈등은 서비스 품질 저하를 야기하며, 심리적 소진은 우울감과 서비스 품질 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감이 증가할수록 이직 의도가 높아지며, 서비스 품질이 저하 될수록 근로자의 이직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근로자들이 출산과 관련하여 직장에서 겪는 어려움이 출산율 저하의 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만큼, 출생율의 심각한 저하를 겪는 대한민국에서 이는 눈여겨보아야 할 주제이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근로자의 이직 의도가 출산과 관려한 우울감과 서비스 품질 저하에서 비롯되며, 이는 직장과 가정 사이에서의 역할 갈등과 심리적 소진이 원인임을 보여 주어 여성 근로자들의 역할 갈등과 심리적 소진을 줄여 줄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analyzes how depression and service quality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female workers who experienced pregnancy. Female workers who are experienced pregnancy ecounter their role conflicts between work and family. The workers also suffer from psychological burnout while due to the pregnancy. This research shows that role conflict and burnout lead to depression and poor service quality, resulting in high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suggests that we should develop methods to reduce work-family role conflict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female workers who experience pregnancy to reduce their turnover intention. That will reduce depression levels and increase the service quality of the workers, resulting in lower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군 간부의 직무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허태선(Tae Sun Heo),임정인(Jung In Lim),김준환(Tom Joonhwan Kim),오상도(Sangdo Oh) 한국소비문화학회 2022 소비문화연구 Vol.25 No.2

        자살생각은 개인과 가정 나가서는 군 조직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자살생각을 낮추는 것은 자살 사고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유형의 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살생각의 선행변수를 탐색하여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 관계에서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절변수를 확인하는 것은 개인과 가정, 군 조직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생각의 선행변수로서 군 조직 내 직무스트레스, 알콜 의존도를 확인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알콜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와 알콜 의존도와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육군에 근무 중인 간부 266명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을 시행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알콜 의존도 및 회복탄력성을 측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알콜 의존도에 미치는 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알콜 의존도의 선행변수로서 직무스트레스가 확인되었고, 알콜 의존도가 직무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투입되었을 때 부분매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알콜 의존도,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낮아졌으며 알콜 의존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역시 낮아졌다. Since suicidal ideation have been reported to have a profound impact on individuals, families, and, furthermore military organizations, reducing suicidal ideation is important not only when it comes to suicide itself but also in preventing various types of in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individuals, families, and military organizations to explore the leading variables of suicidal ideation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with suicidal ideation and to identify moderating variables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n this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job stress and alcohol dependence within the military organizations as leading variables of suicidal ideation,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alcohol 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alcohol dependence,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o this end, a survey response was conducted on 266 militaray officers and NCOs of ROK Army, which measured job stress, suicidal ideation, alcohol dependence, and resilience.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f job stress on alcohol dependence was positively significant, confirming job stress as a leading variable of alcohol dependence,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when alcohol dependence was used as a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alcohol dependence, and suicidal ide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 and specifically, when resilience is high, the effect of job stress on suicidal ideation will be lower than when it is low. In addition, when resilience is high, the effect of alcohol dependence on suicidal ideation will be lower than when it is 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