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단감원에서 뚱보기생파리에 대한 선택독성

        부근,임유진,이흥수,최시림,이상대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단감원에서 노린재류의 천적인 뚱보기생파리의 보호를 목적으로 노린재류에 등록된 약제를 중심으로 선택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뚱보기생파리는 2013년 경남 진주시 문산읍과 금산읍에 소재한 단감원 3곳에서 끈끈이트랩(황색, 35 x 25 cm, 그린아그로텍)에 갈색날개노린재 페로몬(EEZ-2,4,6-decatrienoate 40mg)을 부착 하여 채집한 후 실험실로 가져와 약제 처리를 하였다. 뚱보기생파리의 암수 성충에 대한 4종 약제의 살충 검정은 소형분무기(40mL)를 이용해 처리하였다. 소형분무 기에 각 약제별 추천농도로 물에 희석하여 끈끈이트랩에 부착된 뚱보기생파리 한 마리씩 1회 분무하였다. 무처리는 처리구와 같은 방법으로 물만 분무하였다. 분무 후 3, 24시간 후의 보정사충율을 구하였으며 붓으로 살짝 건드려서 움직임이 없는 것은 사충으로 간주하였다. 썩덩나무노린재는 Black light trap을 이용하여 야간에 채집한 후 1세대를 실내에서 증식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방법은 감나무의 작은 가지에 추천농도로 약제처리 한 후 공시충이 탈출하지 않도록 공간과 감 먹이 를 제공한 후 방사하였다. 방사후 24, 48, 72시간 후에 생사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비펜스린수화제가 비교적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Management of the Development of Insecticide Resistance by Sensible Use of Insecticide, Operational Methods

        부근,박정규,Chung, Bu-Keun,Park, Chung-Gyo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2

        해충의 저항성발달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연구를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농약사용이 지속되는 한 저항성 발달은 필연적이라는 생각으로, 저항성발달을 지연시키기 위해 재배자가 활용할 수 있는 약제성질에 근거를 둔 약종선택, 혼용, 교호, 모자이크 처리 등 약제살포법과, 천적과 양립할 수 있는 선택성 살충제와 저항성 천적의 이용을 중심으로 한 병해충 종합관리(IPM)에 대해 고찰하였다. 저항성관리에 약종의 성질을 이용할 경우 약종별로 작용점과 mode of action(작용방식)이 같거나 다를 수 있고, 2차 해충과 함께 살충제의 활성, 잔류기간, 약제 저항성 발달에 대한 취약성도 다르다. 약제는 섭식, locomotion(거동), 비행, 교미, 포식자 회피 등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역교차저항성을 나타내는 살충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농약혼용은 실제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앞으로도 그러하겠지만, 진정한 의미에서 저항성 발달 지연을 위한 혼용, 교호, 모자이크 처리법은 대립유전자의 우성도, 교차저항성, 유입(immigration), fitness 불이익 등과 함께 살충제의 작용방식과 작용점들의 차이에서 구성약제가 매우 높은 비율로 충을 죽이는 부의 교차저항성을 가진 살충제들의 채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저항성 관리에 약제혼용의 대표적인 사례 22가지와 교호처리 사례 27가지를 표로 제시하였다. 혼용처리의 잠재적 불이익은 생물적 방제의 와해, 이차해충의 저항성발달, 고도의 저항성 개체군 선발, 다양한 살충제에 대한 교차저항성 범위 확대를 내포하고 있다. 교호처리는 살포약량을 높이거나 낮추고, 다른 대사기구를 가진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되었다. 모자이크 처리는 진딧물 같이 정주성 해충인 경우에 연관없는 살충제를 교호로 다른 구역에 처리하거나, 살충제 처리한 열(列)과 그렇지 않은 것을 혼합 배치하여 저항성 발달을 지연시키거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해충의 저항성 진화 측면에서 볼 때, 기생자와 포식자의 저항성과 선택성은 농약처리를 요하는 세대 수를 감소시키고 농약으로부터 피난처의 상보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작물별, 기주별, 기생자와 포식자에게 선택성을 보이는 약제를 별도의 표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기생자의 생존력 향상을 위해 살충제의 선택성과 선택성에 영향을 주는 내 외적 요인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농약사용 하에서 기생자를 사용하기 위해 농약에 대해 저항성이거나 내성이 있는 기생자를 검정, 채집 혹은 선발하는 것을 논의하였다. 포식자에 대한 선택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농약의 선택성, 선택성의 포장적용과 그에 미치는 요인, 포식자와 기주의 균형, 선택성을 도외시한 방제법의 문제점, 천적과 농약의 양립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n attempt was made to stimulate future research by providing exemplary information, which would integrate published knowledge to solve specific pest problem caused by resistance. This review was directed to find a way for delaying resistance development with consideration of chemical(s) nature, of mixture, rotation, or mosaics, and of insecticide(s) compatible with the biological agents in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The application frequency, related to the resistance development, was influenced by insecticide activity from potentiation, residual period, and the vulnerability to resistance development of chemical, with secondary pest. Chemical affected feeding, locomotion, flight, mating, and predator avoidance. Insecticides with negative cross-resistance by the difference of target sites and mode of action would be adapted to mixture, rotation and mosaic. Mixtures for delaying resistance depend on each component killing very high percentage of the insects, considering allele dominance, cross-resistance, and immigration and fitness disadvantage. Potential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mixtures include disruption of biological control, resistance in secondary pests, selecting very resistant population, and extending cross-resistance range. The rotation would use insecticides in high and low doses, or with different metabolic mechanisms. Mosaic apply insecticides to the different sectors of a grid for highly mobile insects, spray unrelated insecticides to sedentary aphids in different areas, or mix plots of insecticide-treated and untreated rows. On the evolution of pest resistance, selectivity and resistance of parasitoids and predator decreased the number of generations in which pesticide treatment is required and they could be complementary to refuges from pesticides To enhance the viability of parasitoids, the terms on the insecticides selectivity and factors affecting to the selectivity in field were examined. For establishment of resistant parasitoid, migration, survivorship, refuge, alternative pesticides were considered. To use parasitoids under the pressure of pesticides, resistant or tolerant parasitoids were tested, collected, and/or selected. A parasitoid parasitized more successfully in the susceptible host than the resistant. Factors affecting to selective toxicity of predator are mixing mineral oil, application method, insecticide contaminated prey, trait of individual insecticide, sub-lethal doses, and the developmental stage of predators. To improve the predator/prey ratio in field, application time, method, and formulation of pesticide, reducing dose rate, using mulches and weeds, multicropping and managing of surroundings are suggested. Plant resistance, predator activity, selective insect growth regulator, and alternative prey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the ratio. Using selective insecticides or insecticide resistant predator controlled its phytophagous prey mites, kept them below an economic level, increased yield, and reduced the spray number and fruits damaged.

      • KCI등재

        Sampling of Bemisia tabaci adults using a pre-programmed autonomous pest control robot

        부근,XIA CHUNLEI,송유한,이장명,Yan Li,김흥수,전태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17 No.4

        An autonomous robot (Cabbot)was built to control insect pests in a plastic greenhouse and utilized to sample adultwhiteflies (Bemisia tabaci) on paprika plants (Capsicum annum var. angulosum). To accomplish this, a sampling deviceconsisting of an air compressor for pest agitation, a sticky trap (100mm×150mm) and an image processingsystem for pest identification were installed on the Cabbot. The sampling precision of the Cabbot (D= 0.16)washigher than that of the sticky trap (D= 0.19) when sampling of adultwhite flies was conducted in caged pots. TheCabbot could also collect a substantial number of individuals within a short duration (3 minutes). The collection efficiency(i.e., percent of samples collected at least n (1 in this case) individuals to the total sample number) of insectsby the Cabbot was markedly high at low population size, showing approximately 30% when the populationsize was ≤16 individuals per plant. The sampling precision and collection efficiency suggested that the Cabbot iseffective in local, short-term sampling and could be used for early warning of pest occurrences.

      • 수출 단감원에서 주요 깍지벌레의 수체와 과수원에서 발생과 분포

        부근,이홍수,권진혁,김태성,송원두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5

        단감 수출재배단지에서 발생하는 깍지벌레류의 주요 우점종과 이들의 단감 수체 내에서와 과수원내에서 분포를 조사하여 방제에 활용코자 조사를 수행하 였다. 단감 재배단지는 순천시 외곽의 농가, 진주시 문산면, 창원시 동읍에서 단감재배 10농가 선정하여, 농가 당 10주 정도를 깍지벌레가 주로 활동하는 5 월부터 10월까지 매월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감나무 수체에서 발생하는 깍지 벌레류는 과실, 잎, 가지, 주간에서 조사하였다. 과원 내에서 발생하는 깍지벌 레류는 과원 중심에서 외곽으로 3방향을 나누고 다시 각각의 방향 별로 5등분 한 지점을 중심으로 9월에 조사하였다. 주로 발생하는 깍지벌레 종은 식나무깍 지벌레로 향후 주요해충으로 방제할 필요가 있었다. 그 외 깍지벌레류로 감나 무주머니깍지벌레, 거북밀깍지벌레, 뿔밀깍지벌레가 조사되었고 검역해충인 온실가루깍지벌레는 관찰되지 않았다. 단감 수체 내에서 식나무깍지벌레는 잎, 과실, 4년생 이하의 가지(세지)에서 주로 발생하였고 주간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종전까지 주요해충으로 인식되던 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는 잎, 과실, 가지, 주간 등에서 모두 발생하나 주로 주간에서 발생하였다. 과원 내 발생은 외관상 관찰되는 과수원 외곽과 달리 비교적 골고루 분산하여 발생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 경남지역 돌발해충의 예찰법, 정기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체계 구축 연구

        부근,이흥수,권진혁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온실재배 오이에 발생하는 목화진딧물의 발생밀도를 추정하는 표본조사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주 전체의 잎 별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목화진딧물의 공간분포 특성은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으며, 진딧물의 평균-분산 관계를 TPL이 IPR보다 더 잘 설명하였다. Green과 Kuno의 식을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D)수준에서의 축차표본조사법을 개발하였다. 목화진딧물의 축차표본조사법은 Green의 방법이 Kuno에 비해 더 효율적이었다. 목화진딧물 잎 당 10마리의 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 주 수는 13주이었으며, 이 때 조사를 중지하기 위한 누적 진딧물 수는 131마리이었다. 딸기에서 점박이응애, 오이에서 목화진딧물과 담배가루이, 수박에서 담배가루이를 대상으로 정기밀도를 조사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작기 종료기에 밀도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목화진딧물의 경우 농가온실에서 발견하기 어려웠다. 조기경보체계 구축 측면에서 조사한 벼의 해충인 애멸구, 벼멸구, 멸강나방 등도 발생량이 극히 저조하거나 없었다. 꽃매미의 경우 포도재배지에서 조사한 결과 지속적인 발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선녀벌레인 경우 밀양의 전 지역에서 발생하여 점차 김해, 창원, 창녕, 진주에서도 발생하여 경남의 서쪽지역으로 발생 확산되어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의 경우 하동에서 발생하여 진주, 사천, 산청, 함양 등 경남의 동남부 지역으로 발생이 확산되어가는 경향을 보였다.

      • 단감원에서 집합페로몬을 이용한 단감 노린재류 피해과 조사

        부근,이흥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단감원 외곽에 집합페로몬트랩을 설치하여 이동성인 노린재류의 방제 효과를 구명하고자 2012년부터 2년간 실시하였다. 2012년에는 시판중인 변형 통발트랩을 사천, 산청, 창원 등 3지역의 단감원 외곽과 중심에 설치하고 노린재 피해과를 조사하였다. 2013년에는 썩덩나무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는 피라미드트랩을 이용하였고,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변형 통발트랩 이용하여 김해, 사천, 진주, 창원, 하동 등 5개 지역의 단감원 외곽에 4-5m 간격으로 교호로 설치한 후 10월 하순에 노린재류로 인한 특징적인 피해과를 조사하였다. 2012년 조사결과 중심에 설치한 트랩에 톱다리개밀허리노린재가 포획된 결과로 보아 외곽에 설치한 트랩이 외부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을 저지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노린재류로 인한 단감 과실의 피해과율은 가장 바깥쪽에 심어진 단감나무에서 유의성 있게 높은 피해과율을 나타내었다. 비록 유의성은 없었지만 과수원 내부로 이동할수록 피해과율이 경감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페로몬트랩을 설치할 경우 과수원 영역을 벗어난 곳에 설치되어야 할 것을 의미한다.

      • 오이에서 담배가루이 성충의 표본 조사법

        부근,이흥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오이에서 담배가루이 성충의 표본조사법 개발을 목적으로 온실에서 시험을 수 행하였다. 시험수행을 위하여 2014년 4월 오이(낙동청장)를 재식거리 40 ×170cm 로 하여 정식하고 오이가 수직으로 자라도록 유인하였다. 오이에 발생하는 담배가 루이 성충을 오이 잎의 엽위 별로 전수 조사하였고, 엽위는 상층부터 최하위 잎까지 순위를 부여하였고, 주당 거의 16장을 유지하였다. 엽위 별 담배가루이 성충의 분 포 비를 분석하였을 때 초기에는 상층부위의 잎에 분포하다가 오의 생육이 진행될 수록 하위 엽에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표본조사법에 있어서 초기 발생 밀도의 예찰이 중요하므로 상위 제4엽과 하위 제4엽을 표본조사법 개발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들 엽위에서 담배가루이 성충밀도와 오이 식물체 전체에서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성충밀도와 상관관계의 결정계수는 1주일 간격으로 조사한 시기별로 결정계수가 0.49에서 0.94까지로 다소 다양하였으나 전체를 모두 분석하 였을 때 0.94정도로 매우 높았다. 이상의 근거정보를 토대로 D=0.25 수준에서 샘플 링 중지선을 계산하였을 때 회귀식 ln(Tn)=6.527-1.3305ln(n)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수치를 실용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상하위엽을 조사하는 10단위의 샘플인 20엽에서 약 32마리가 관찰되면 샘플링은 중지하는 것으로 비교적 합리적인 수준 에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향후 농가에 실제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약간 의 보완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좋은 결론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된다.

      • 산·염기 변화가 집토끼 유두근 막전압에 미치는 영향

        부근,엄대용,이상돈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1983 中央醫大誌 Vol.8 No.1

        The effect of acid-base on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yocardial cells were investigated in the isolated right ventricular papillary muscle preparations of rabbits by measuring simultaneously isometric contraction and the action potential by glass microelectrode transducer in acidic or alkali conditions respectively. Results were as follow : 1. The acid condition decreased the isometric contraction and at the sametime increased the time to repolarize 90% of its action potential amplitude.(Repol 90%) from 234±9.1 msec of the control to 244±6.8msec(P<0.01). 2. The alkali condition, on the other hand, increased the isometric contraction and lengthened Repol 90% from 256±49.3 msec of the control to 286±75.2msec(P<0.1) but Repol 95% lengthened more prominently from 281±66.8msec of the control to 329±101.5(P<0.05). The above result suggests that acid and alkali decreased and increased slow inward current respectively to reduce and augment the isometric contraction. In acidic condition, the reduction in delayed outward current might also play a role in augmented action potential duration.

      • KCI등재

        붉은테두리진딧물(Rhopalosipnum rufiabdominalis (Sasaki))에 의한 매실나무 신초 피해 및 방제적기

        부근,Chung, Bu-Ke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3

        매실나무에 발생하는 붉은테두리진딧물의 경제적 방제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잎 피해양상을 경남 하동에서 조사하였고, 경남농업기술원내 포장에서 방제적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acetamiprid WP를 2007년 4월 3일부터 시작하여 5월 8일까지 매주 살포하였다. 붉은테두리진딧물의 매실나무 잎 피해는 5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5월 중순에 가장 많았고, 그 이후 점차 낮아졌으나 10월 중순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붉은테두리진딧물의 방제적기는 2007년의 경우 4월 17일로 잎은 여전히 연약하고 3-5장의 잎이 전개되고 있는 상태였다. Occurrences of Rhopalosipnum rufiabdominalis damage in the leaves of Japanese apricots were observed in Hadong, Gyeongnam Province, a major producing area. R. rufiabdominalis occurred from early May to mid October, with the peak occurrence of damaged leaves in mid May. To find proper timing of chemical control against R. rufiabdominalis, acetamiprid WP was sprayed weekly from 3 April, before budbreak, to 8 May in 2007. The best time for control R. rufiabdominalis was on 17 April 2007, at which the leaves were still tender and developing up to 3 to 5 lea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