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부 전계 링을 갖는 LDMOST의 항복전압 특성

        오동주,염기수,Oh Dong-joo,Yeom Kee-s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8 No.8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RF 전력 소자로 기대하고 있는 LDMOST의 BV(Breakdown; 항복전압) 특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구조는 외부 전계 링이라 하며 드리프트 영역 둘레에 3차원적인 구조로 형성된다. 외부 전계 링은 드리프트 영역에서 전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BV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차원 TCAD 시뮬레이션 결과, 외부 전계 링의 접합깊이와 도핑 농도의 증가에 따라 LDMOST의 BV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p+ sinker 공정을 사용하여 외부 전계 링 구조를 추가한다면 LDMOST의 BV 특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new structure of LDMOST, which has been expected as a next generation RF power device, to improve the BV(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structure, named external field ring, is formed around a drift region by the three dimensional structure. The external field ring relieves the electric field in the drift region and improves the BV characteristics. By the three dimensional TCAD simulations, it was found that the BV of LDMOST was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the junction depth and doping concentration of the external field ring. Therefore, the BV characteristics of the LDMOST can be remarkably improved by addition of external field ring using an existing p+ sinker proces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탐색 : 초등사회과를 사례로

        오동주(Oh, Dong-Ju),황홍섭(Hwang, Hong-Seop)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시연을 통해 어떻게 수업전문성이 신장되는 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시연은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학의 사회과 교재연구 강좌 시 3개학과 총 71명의 교대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마이크로티칭 절차는 크게 수업계획- 수업시연- 수업재시연의 3단계로 진행하였다. 각 단계마다 보다 원활한 진행과 의사소통을 위해 온라인 플랫폼으로 LMS(Learning Mangement System)와 온라인망으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적극 활용하였다. 수업시연을 통해 수업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교과전문 교수(수업분석자)와 현장수업전문가는 예비교사들의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단계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해주었으며, 예비교사들도 마이크로티칭의 과정에 모두 참여하여 피드백을 해주며, 동료평가, 양적 및 질적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이크로티칭의 단계마다 반복적인 피드백과 훈련을 통해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학생들은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사회과 수업설계(수업안 작성), 수업시연, 수업성찰 및 재시연 등을 통하며, 자신의 수업계획과 수업 행동에 대한 교수, 현장전문가, 동료예비교사들로부터 피드백 및 평가를 받으면서 예비교사들은 사회과적 특성을 감안한 수업개선을 통해 전문성이 신장되었다. 둘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은 피드백에 있어서 적시성과 효과성이 뛰어나 사회과 현장수업에서 맞닥뜨리게 될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습 경험을 공유함과 더불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사회과 수업에 대한 반복된 훈련을 통해 사회과 수업에 대해서 자신감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015개정 사회교과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 핵심개념, 기능 등의 학습요소에 대해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어 임용 2차시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반성과 성찰의 기회를 얻은 예비교사는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예비교사는 반성적 실천가(reflective practitioner)로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room improvement using micro-teaching. The demonstration syllabus using micro-teaching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1 education students during the class of social studies and textbook research at the university where the researchers worked. In this course, micro-teaching was conducted us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o better connect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leanup steps. Professors (class analysts) and field experts provided feedback regarding the steps in the micro-teaching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participated in all the micro-teaching processes, providing feedback, and conducted peer evaluation as well. The study provided direct experience to minimize the confusion encountered in the field, which is excellent in timeliness and effectiveness. Microteaching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studies and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By using the microteaching method, pre-service teachers designed and demonstrated to the social studies class. Field experts and professors provided feedback on their teaching, which provided them with the increased confidence in the classes. In particular, the willingness to work to solve one’s problems through micro-teaching opportunities has strengthened the classroom empowerment of pre-service teachers as reflective practition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COVID-19가 교육에 미친 인식, 행동, 가치 및 태도의 변화 양상

        오동주(Oh, Dongju),황홍섭(Hwang Hong Seop)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3

        본 연구는 COVID-19가 교육에 미친 키워드 변화양상 및 그로 인한 인식, 행동, 가치 및 태도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방법은 COVID-19전후 키워드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고, COVID-19로 인한 인식, 행동, 가치 및 태도의 변화양상을 위해선 설문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COVID-19로 인해 한국역사 이래 초 · 중 · 고 및 대학이 최초로 온라인 개학과 교육을 하게 됨에 따라 학습자와 교사들 모두 COVID-19로 인한 인식, 행동, 태도 및 가치에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교육으로의 전면적 전환은 학습자 중심 학습으로의 전환을 의미하여,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가정의 경제적 상황, 가족 구조 등에 따라 학력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학교중심의 구조를 가정과 학교라는 협력적 구조로 전환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analyze changes in perceptions, behaviors, values, and attitudes of education caused by COVID-19. Bi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for changes before and after COVID-19.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changes in perceptions, behaviors, values, and attitudes caused by COVID-19. According to results of the analysis, after COVID-19, elementary, middle, high, and universities began to offer online education and classroom. In particular, the full transition to online education means a transition to learner-centered learning. It appears as a difference in academic ability depending on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amily economic situation, and family structure. To solve these problems, learners should strengthen their ability to perform self-directed learning. In particular, COVID-19 has transformed the existing school-centered education structure into a cooperative structure of home and school.

      • KCI등재

        소유자불명 토지의 발생원인과 해소방안

        오동주(Oh, Dong Ju),장희순(Jang, Hee Soon) 대한부동산학회 202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9 No.4

        상속인의 토지방치는 피상속인들의 상속채무가 많은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이 경우 한정 승인을 하기보다는 상속채권자와 법률상 관계를 기피하여 상속포기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인 다. 상속포기는 소유자불명 토지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으며, 소유자불명 토지는 상속포기의 의사표시, 상속인의 부존재, 상속인의 존재가 분명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하에 이 연구는 소유자불명으로 인해 발생하는 토지의 법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상속인의 상속재산관리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상속인의 상속재산 관리의무 범위를 선관주의의무로 강화해야 한다. 둘째, 상속인이 상속재산 관리의무를 다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국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반드시 상속재산을 관리할 전담인력을 운용해야 한다. 셋째, 상속인 부존재의 경우 반드시 공정하고 전문성을 가진 상속재산 관리인을 선임할수 있는 제도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The inheritor s land value mainly occurs when the inheritors have a large inheritance obligation. In this case, rather than giving limited approval, there is a tendency to choose to abandon inheritance by avoiding legal relations with the inheritance creditor. Abandonment of inheritance is a direct cause of the occurrence of land of unknown owner, and land of unknown owner occurs when the expression of intention to renounce inheritance, the absence of an heir, and the existence of an heir are not clear.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inheritor s inherited property management system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 legal problems of land arising from unknown owner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cope of the heir s obligation to manage inherited property with a necessity. Second, in case the heir fails to fulfill the obligation to manage the inherited property, the state, local governments, etc. must operate a dedicated manpower to manage the inherited property. Third, in the absence of an heir,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required to appoint a manager of inherited property with fairness and expert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