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장애인 고용확대 방안

        염희영 한국직업재활학회 2013 職業再活硏究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in publication, movie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dustries to other industries, and to suggest a policy to improve employment in those industries. The sample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1,579 businesses companies who hir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data came from the '2010 Business Disabled Employee Status Study' of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t-tests, Chi-square 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ur industries and others. The followings ar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dustries in employee recruitment and management. But, awareness of employee with disability has no difference in two industr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dus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분야의 장애인 고용과 관련된 특성을 다른 산업 분야와 비교 분석하여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장애인 고용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 기업체 장애인고용 실태조사’ 중 장애인 고용 기업체 1,579개의 자료를 대상으로 재분석 하였다.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과 타 산업의 장애인 고용 관련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 검정,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은 타 업종 대비 장애인 채용에 어려움을 더 크게 느끼며, 채용 시 경력을 중시하고, 채용 시 인력 수요 부서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채용 분야는 전문가이고 장애인에 대한 사전 지식의 부족이 장애인 노무관리에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은 업종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장애인 고용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현황과 인력 수요,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 수집과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에 특화된 채용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 셋째, 숙련된 전문가 위주의 인력 양성 및 직업훈련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보조공학 적용이 시각장애 근로자의 작업수행, 삶의 질, 자아인식과 자아 수용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염희영,송창순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09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 근로자를 대상으로 보조공학을 체계적으로 적용해보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서울 소재 사업체에 근무하는 시각장애 근로자 2명을 대상으로 Job Accommodation Network(JAN) 의 보조공학 적용 5단계에 따라 보조공학을 적용하였다. 보조공학 적용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적용 전과 후에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자아인식검사, 자아수용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보조공학 적용 후 작업 수행 능력, 삶의 질 모두 증가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자아인식과 자아수용검사 문항 일부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 JAN의 5단계 보조공학 적용은 시각장애 근로자의 작업 수행능력과 삶의 질, 자아 개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시각 장애인의 취업과 직업 유지 증진을 위한 다양한 보조공학 적용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assistive technology throughout system atic application method among employee with vision impairm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2 vision impaired workers who had worked in Seoul area companies. Job Accommodation Network(JAN) Assistive technology application metho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Self Concept Test and Self Acceptance Test are used for Outcome measurement of assistive technology. Results :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COPM, SWLS, Self Concept Test and Self AcceptanceTest score were differences after assistive technology application. Conclusion : Assistive technology influence on occupational performance, quality of life and self concept with vision impairment worker. In future studies, outcome measurement method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method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직업 유지를 위한 인간작업모델 (Model of Human Occupation)의 임상 적용: 사례 연구

        염희영,이효성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1

        서론 :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인간작업모델을 적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직업 유지 과정과 어려움을 파악하고, 개입 방법을 소개하여 향후 시각장애인의 직업 적응과 유지를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론 : 2009년 3월부터 11월까지 안마사로 취업한 시각장애인 근로자 1명을 대상으로 인간작업모델에 기초한 면담과 작업환경인식평가(Work Environment Impact Scale)를 실시하였고, 대상자가 취업한 업체의 사업주와 관리자 각 1명씩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인간작업모델의 치료 전략을 활용하여 개입하였고, 개입 후 면담과 사후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각장애인의 작업환경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 직업재활 과정에서 인간작업모델을 적용하는 것은 대상자를 보다 전인적이고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되며, 대상자를 바라보는 관점을 변화시키고 다양한 해결 방법을 제시하여 작업치료서비스의 전문성과 질을 향상 시키고, 관련 영역을 확대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장애근로자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염희영 한국직업재활학회 2013 職業再活硏究 Vol.2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assistive technology device support service and system for the futur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us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by employees with disabilities. From January 1, 2009 to December 31, 2012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imed at 635 employees with disabilities who were supported with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The use rate of assistive engineering devices by employees with disabilities was 83.6%. It was discovered that on average they used those devices for 6.08 hours a day for 5.14 days a week. Although the subjects used many more assistive engineering devices compared with their needs, in comparison with their expectations during application for support, they used fewer devices than expected.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se according to occupation type and the number of full-time employees. Also the main reason they did not us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was that they did not nee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or felt uncomfortable in their use. Regarding the starting period of non-use, it was mostly within one month after support. Consequently, in order for employees with disabilities to use effectively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offer accurate and diverse types of information to users during early support. Also it is necessary to enable them to be supported with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each individual through a more thorough and professional counseling and assessment service. Also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warranty services such as the repair and re-assessmen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the change of devices through consistent monitoring of the condition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use situations after support. 본 연구는 장애근로자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를 조사 및 분석하여 향후 보조공학기기 지원 서비스 및 제도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9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은 근로 장애인 6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근로자의 보조공학기기 사용률은 83.6 %이며, 1일 평균 6.08시간, 1주일 평균 5.14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보조공학기기를 필요 대비 많이 사용 하고 있으나 지원 신청 시의 기대와 비교할 때 예상보다 적게 사용하고 있었으며, 직종과 상시 근로자수에 따라서 사용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조공학기기를 비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보조공학기기가 필요 없거나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이며, 비사용 시작 시기는 대부분 지원 후 1달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장애근로자들이 보조공학기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초기 지원 시,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보다 면밀하고 전문적인 상담 및 평가 서비스를 통해 개인별로 적합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원 후, 보조공학기기의 상태와 사용자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보조공학기기 수리, 재평가 및 기기 교체 등의 사후 서비스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근무일지 쓰기 훈련이 우울증 환자의 우울감과 직무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염희영,정보인 대한작업치료학회 200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raining of writing a daily work log using cognitive therapy approach can help increase work performance in a patient with depression using a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versal design (ABA). Method : The patient is a 19-year male youth with a diagnosis of depression of which onset was 2 years. While being on a work-aid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various disabilities, he has shown helplessness, inferiority with his appearance, insomnia, and suicidal impulse besides depression. His supervisor reports that he often fails to complete his own work, makes errors and mistakes, and cuts his work hours. His training of writing a daily work log consisted of the following steps; (a) analyzing and writing about the circumstances, his behaviors, thoughts, and feelings at the happiest and unhappiest work or time on a daily basis; (b) analyzing and writing his plans about how to improve his unhappy feelings or circumstances, implement them accordingly, and the results post implementation of these plans; (c) reviewing his daily work log and discussing about it with the main investigator daily; and (d) writing 3 times and reading aloud 2 times his resolutions regarding the unpleasant circumstances, methods to improve the circumstances or feelings, and the expected positive results from his resolutions. This training was conducted for 5 days. Results : The results were: on self-reporting depression scale, a mean of 80% in the baseline and 68% in the training; on self-reporting on the patient’s work performance satisfaction, a mean of 68% in the baseline, and 88% in the training; the supervisor’s reporting of the patient on the Work Personality Profile, a mean of 58% in the baseline and 70% in the training; and on the self-reporting on the Dysfunctional Attitude Scale, 215 out of 280 full points in the baseline and 164 in the training.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writing a daily log using cognitive approach helps improve not only depression state but also work performance in a patient with depression.

      • 암환자의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인식전환에 관한 연구 : 심신통합코칭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염희영(hee young Yeom)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3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 No.1

        Background : As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increases, survival rates increase, and the age of diagnosis decreases, quality of life becomes more important, and the desire of cancer patients to engage in learning to develop competencies and take care of their bodies and minds increases. In addition, the need for an integrated program of health and mind based on the WHO definition of health is emerging, a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ransformative learning implications and processes of lifelong learning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ancer patients' perceptions change through participation in a lifelong learning Psychosomatic coaching program, and how their quality of life change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Methodology / Approach : Through interviews, diaries, and social media data of four cancer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a nursing home an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more than one year, we analyzed the application of the mind-body integration coaching program as a case study. Findings / Conclusions : Participants' perceptions of life shifted from "regret, chaotic reality, and the dreaded cancer" to "my life as a gift, where every day is a gift," and they reported a shift in positivity, love for themselves, confidence in their illness, and a sense that cancer is something to be cared for, not eliminated. Implications :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improve the will to live and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by changing their perception of health and positivity, as well as to help develop lifelong learning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and provide related basic materials. 연구배경 : 암환자 수와 생존율은 높아지고 발생연령은 점점 낮아짐에 따라 삶의 질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역량을 개발하고, 몸과 마음을 돌보고자 학습에 참여하고자 하는 암환자의 욕구는 증가하고 있다. 또한 WHO의 건강정의에 의거한 건강과 정신의 통합적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암환자를 위한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전환학습적 의미와 과정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 암환자가 평생학습 심신통합 코칭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인식의 전환이 어떻게 변하는지, 프로그램 참여 이후에는 삶의 질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요양병원에 입원하여 프로그램에 1년 이상 참여한 암환자 4명의 인터뷰와 수기집, SNS 자료를 통해 심신통합 코칭프로그램을 사례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 참여자들은 ‘후회와 혼돈의 현실과 두려운 암’에서 ‘주어진 하루하루가 선물 같은 나의 삶'으로 삶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었으며, 주어진 삶에 대한 긍정성과 자신에 대한 사랑, 치병에 대한 자신감, 암은 없애는 것이 아닌 돌봐야하는 대상이라는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시사점 : 암환자의 건강하고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통해 투병의지와 삶의 질을 높일 뿐 아니라 암환자를 위한 평생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 기초자료 제공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 KCI등재

        보조공학이 시각장애인 근로자의 작업수행 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염희영(Hee-Young Yeum) 한국직업재활학회 2007 職業再活硏究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보조공학이 작업수행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 지역의 사업체에 1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시각 장애인 근로자 30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Job Accommodation Network(JAN)의 5단계 적용 과정에 따라 보조공학기기를 적용하였고, 적용 전, 후의 작업 수행 능력과 삶의 질의 변화를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과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검정을 통해 보조공학 적용 전과 후 시각 장애인 근로자의 작업수행능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t-검정을 통해 보조공학 적용 전후 시각장애인 근로자의 삶의 질은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조공학 적용 후 삶의 질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 분석을 통해 보조공학 적용 후의 작업 수행능력과 수행능력에 대한 만족도,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조공학 적용 후의 수행도와 삶의 질과 큰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JAN의 5단계 과정에 의한 보조공학의 적용은 시각 장애인 근로자의 작업 수행능력과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 장애인의 고용을 활성화에 보조공학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JAN의 5단계 과정은 보조공학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데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보조공학의 적용을 통해 시각 장애인의 고용과 직업 유지를 증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와 성과 측정 방법들이 개발되고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assistive technology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mong employee with vision impairments. The subjects were 30 vision impaired workers who had work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companies.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are used for Outcome measurement of assistive technology.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t-tes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fter assistive technology use. Second, moderat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PM performance score and SWLS score. But, COPM satisfaction score has no association of the SWLS scor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ssistive technology influence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with vision impairment worker. In future studies, outcome measurement method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후보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염희영(Hee-Young Yeum),정보인(Boo-In Jung),정민예(Min-Ye Jung),유은영(Eun-Young Yoo) 한국직업재활학회 2006 職業再活硏究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것이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장려금 지급 사업체에 6개월 이상 근무한 경험이 있는 지체장애 근로자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검정과 분산분석을 통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업유지기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학력, 결혼상태, 직종, 임금, 고용상태, 자격증 여부 등에 따라 직업유지기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과 장애등급, 직장 규모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신체기능 요인과 직무만족도 요인이 영향을 주었고, 가족관련 요인, 직업재활서비스 요인은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경로분석을 통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고, 신체기능 요인, 가족관련 요인, 심리적 요인 순으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 신체기능 요인, 심리적 요인, 가족관련 요인, 직무만족도 요인 등 많은 요인들이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각 요인들은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업유지기간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직업재활 서비스 이외에 대상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직업재활 서비스가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job maintenance of handicapped workers and to spec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The subjects were 256 handicapped workers who had worked in companies that received encouragement benefits in 2003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urvey. First. the t-test and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job. salary, employment and certific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x, handicap level and scope of the work. Second. factors influencing job maintenance period of the handicapped workers were physical functions and job satisfaction. In detail, the upper limb movement capabilities and motor capabilities. self-efficacy. job finding support and family support, and consideration and welfare were the influencing factors. Third, physical function factors, family related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job maintenance period of the handicapped workers and physical function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family related factors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job maintenance period of the handicapped workers. However. job rehabilitation service factors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job maintenance period both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factors such as physical function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family related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influenced the job maintenance period of the handicapped worker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various job rehabilitation services and programs reflecting the requirements of the targets additional to the existing job rehabilitation services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maximize the job maintenance period of the handicapped workers. In future studies. the influences of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factors that influence overall job rehabilitation on the job maintenance period should be spec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