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육교사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가족관계 탐색에 나타난 상징체계 분석

        염창현(Yeom, Chang-hyun),선우현(Sunwoo, Hyun) 한국인형치료학회 2020 인형치료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형진단평가라는 투사적 심리검사를 이용하여 보육교사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가족관계 탐색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상징체계를 찾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 중 자기인식에 해당되는 2회기 ‘자신을 상징하는 동물인형 찾기’, 3회기 ‘소망하는 동물인형 찾기’와 타인인식에 해당되는 4회기 ‘나만의 동물 사파리 만들기’, 가족관계 탐색에 해당되는 8회기 ‘동물인형카드로 현재 나의 가족 세우기’, 9회기 ‘행복한 순간 포착하기’에서 실시된 인형진단평가와 인터뷰 과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질적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들의 자기인식에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통합되지 않은 대극의 상태로, 이는 내적 긴장과 갈등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인식에서는 대부분의 참여자가 수數 상징체계 1과 2로 표현했으며, 이는 내적 긴장과 갈등의 상태와 동시에 ‘휴식’을 향한 ‘단일성(oneness)’의 욕구가 표현된 것으로 보였다. 가족관계 탐색에서는 가족과의 행복했던 체험으로 대부분의 참여자가 여행을 선택했는데, 이는 자기인식과 타인인식을 종합해 보았을 때 여행이 가지는 의미를 대극의 긴장과 갈등상태를 벗어나 휴식이나 쉼을 소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보육교사들에게 필요한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효율적 중재 및 개입을 도울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지지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mon symbol system displayed in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family relationship awareness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using a objective test called figure diagnosis evaluation. The procedure involves qualitative method by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figure diagnosis evaluation and interview process shown in the group figure therapy program for 8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 the 2nd session ‘Founding figures symbolizing self’. the 3rd session ‘Founding figures representing wish’ showed self-awareness, the 4th session ‘Making own animal safari’ showed other-awareness, the 8th session ‘Making my current family using animal cards’, the 9th session ‘Catching happy moment’. showed family relationship awareness. The result showed unintegrated opposing states as a characteristic of self-awareness and this refers to internal anxiety and confrontation. For other-awareness,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with 1 and 2 in numeric symbolic system which demonstrates surfacing desire of ‘oneness’ for ‘rest’ liberated from anxiety and confrontation. In the search for family relationships awareness most participants chose to travel as a happy experience with their families, which interpreted the meaning of wishing to rest beyond internal anxiety and confrontation based on the study of self-awareness and other-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result as a basic data for effective mediation and intervention to help child care center teachers faced with mental conflicts as well as to support the needs for various programs.

      • 보육교사를 위한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염창현(Yeom, Chang-hyun),선우현(Sunwoo, Hyun) 한국통합치료학회 2020 통합치료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의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대상은 보육교사 16명을 대상으로 ‘2016년 한국인형치료학회춘계학술워크샵’을 통해 소개된 15회기 집단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양적분석 방법은 자아탄력성 척도와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전-사후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사례분석 방법은 단계별로 나타난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 대인관계, 낙관적 태도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에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 실시 후 보육교사의 자신감, 자기조절, 대인관계, 낙관적 태도와 같은 하위요인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으로서도 유용한 가치를 가질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group figure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 s ego-resilience and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gu, Incheon, Korea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16 teac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8 in the experiment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and 15 group programs that were introduced through the 2016 Spring Academic Workshop by Korean Association of Figure Therapy were used. The structured group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two months for 40 minutes at each session, and 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case stud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ego-resilience measure and the resilience measure were measured pre and post the group sessions and compared using SPSS 21.0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ilcoxon coding ranking verification. The case analysis method was examined through looking at the changes in confidence, self-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ptimistic attitudes, which are considered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and resil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oup figure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e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Second, group figure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Third, group figure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such as confidence, self-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ptimistic attitude of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In summar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roup figure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ego-resilience and resilience required to alleviate the job stress of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it will be useful as a group program with regards to the psycholog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in future.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 가족의 가족놀이치료 단일사례연구 : 양육효능감, 뇌파, 가족놀이평가의 변화

        염창현(Chang Hyun Yeom),박재훈(Jae Hun Park),선우현(woo Hyun Sun)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놀이치료 개입에 따른 부와 모의 양육효능감, 아동의 뇌파, 가족의 상호작용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단일 사례연구이다. 그 결과 가족이라는 친숙한 존재를 활용해 놀이라는 안전한 방법으로 가족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 첫째, 부와 모의 전체 양육효능감은 증가하였고 둘째,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의 세타파, 알파파, 저-베타파(L-β) 증가를 통해 정서적 안정감, 즐거움, 집중력을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가족놀이평가에서도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가족놀이치료 대상을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으로 확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지만 단일사례라는 한계점과 이에 따른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parenting efficacy, child's EEG, and family interaction according to family play therapy intervention for familie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tendencies. As a result, when the family play therapy is conducted in using a safe playing with the familiar existence of family; First, the overall parenting efficacy of father and mother increased. Second, emotional stability, pleasure, and concentration are experienced through the increase of the theta waves, alpha waves, and low-beta waves in child with autism spectrum features. Third, positive interactions are also experienced in family play evalu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xisting family play therapy target is expanded to child with autism spectrum features,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imitations of a single case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