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숙자 숙소 거주 중인 노숙자의 1년 추적 연구

        홍진표(Jin-Pyo Hong),박종익(Jong-Ik Park),방수영(Soo-Young Bhang),서동우(Tong-Woo Suh),진영(Jin-Young Yeo),조성진(Seong-Jin Cho),조맹제(Maeng-Je Cho),한오수(Oh-Su Ha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3 사회정신의학 Vol.8 No.2

        목적: 노숙자 숙소에 거주하던 노숙자들을 1년간 추적하여 노숙생활 중 정신질환의 유병이 사회적 재활과 의료이용 등의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0년 서울 시내 1개 노숙자 숙소에서 정신과 진단평가를 받은 220명을 대상으로 1년 뒤 직접 면담 및 노숙자 숙소 자료 분석을 통하여 추적 조사하였다. 우울장애, 알콜장애, 병발장애군을 정신질환이 없던 노숙자군과 비교하여 외부 작업횟수, 노숙자 숙소 거주기간, 퇴소 형태, 현재 거주형태, 신체질환 및 의료서비스 이용행태를 살펴보았다. 결과: 노숙자들은 정신질환 유무에 따라 경과에 차이를 보였다. 우울장애가 있는 노숙자군은 노숙자 숙소에 가장 오래 머물렀고, 외부작업은 가장 적게 하였다. 알콜사용장애가 있는 노숙자군은 노숙자 숙소에 가장 짧게 있었고, 재입소가 많았다. 의료서비스 이용면에서 우울장애환자들이 가장 많은 신체질환을 앓고 있었다. 노숙자들은 1년간 많은 이동을 하여 추적 관리가 어려웠다. 결론: 노숙자에서 정신질환이 있는 경우 사회 재활에 악영향을 주었다.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노숙자를 위한 별도의 재활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이 필요하다.

      •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여홍진 ( Yeo Hong-jin ),김영식 ( Kim Young-sik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통해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대인관계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의 효과성 검증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B초등학교 4학년 남·여학생 49명으로 총 2개 학급 중 1학급은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1학급은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전통놀이와 여가’라는 동일한 주제로 6주간 총 14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 체육수업을 적용하였다. 두 집단의 비판적 사고와 대인관계 변화의 검사를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여 집단간 비교와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집단 간 사후 검사 결과와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 결과 비판적 사고와 대인관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을 통해 미래사회를 대비한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다는 것과, 체육교과는 핵심역량 함양 교육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 경험 탐색

        여홍진(Yeo Hong Jin),김상목(Kim Sang Mok),김영식(Kim Young 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탐색하여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청주시의 B초등학교 4학년 학생 2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7년 6월 19일부터 7월 21일까지 6주간 ‘전통놀이와 여가’ 단원의 내용으로 ‘퓨전 놀이 한마당 열기’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수업 일기, 성찰 활동지, 소감문, 참여관찰,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진실성 확보를 위해 삼각 검증법, 전문가 협의, 참여자 검토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구체적인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수업의 권한을 위임받아 오롯이 스스로 답을 찾았다.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하는 보이지 않는 길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신만의 길을 찾는 즐거움을 경험했다. 둘째, 학생들은 학습이 삶이 되고 삶이 학습이 되는 경험을 했다. 이는 학습의 공간이 학교 밖으로 확장되었으며, 학습이 학생들의 삶에 실제적인 의미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학생들은 팀원들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치열한 갈등을 극복했다. 다양한 갈등상황을 극복하면서 함께 성취하는 기쁨을 맛보게 되었고 협력하는 방법을 체득하게 되었다. 넷째, 학습 결과물을 다른 반 친구들과 공유하며 보상을 얻었고 스스로 작품을 창조한 경험으로부터 오는 높은 자존감을 형성했다. 학생들은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에서 주도적으로 창조적인 지식을 구성하는 경험을 하며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project - based PE classes and to conduct a qualitative case study to find educational meaning. For this purpose, 24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and project-based PE classes were conducted for 6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udent diaries, reflection activities, questionnaires,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nd triangulation method, expert consultation, and participant review were conducted to ensure the authentic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ere given the authority of the class from the teacher and found the answer on their own. By planning and practicing learning on their own, they have had the pleasure of finding their own way out of fear of the invisible path. Second, students had experiences in which learning became life and life became learning. This means that the space of learning has expanded outside the school and that learning has become a practical meaning for students lives. Third, students have overcome fierce conflict through active interaction with team members. They have experienced the joy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 overcoming of various conflict situations and have learned how to cooperate. Fourth, students shared their learning outcomes with other classmates and received rewards and formed a high sense of self-esteem from the experience of creating their own work.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through their experience in organizing creative knowledge in project-based PE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