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e-Learning 기반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효과: 초등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박성익(Park Seong Ik),여혜진(Yeo Hyejin),이규민(Lee Gyumin),이재진(Lee Jaej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이러닝 기반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기본과정인 ‘이러닝 기반 창의적 원리탐구 교수-학습모형’과 심화과정인 ‘이러닝 기빈 창의적 가설설정 교수 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러닝 기반 교수-학습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창의성, 과학적 태도 학습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성찰일지의 내용분석을 통해 과학창의성의 하위요인별 점수를 평가하였다. 이러닝 기반 교수-학습프로그램이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사전ㆍ사후 창의성검사 점수 간의 일원변량분석에서 사전ㆍ사후검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찰일지의 내용분석 결과에 따르면, 창의적 원리탐구 교수-학습모형 수업에서 과학창의성의 하위요인들 중 독창성 점수의 실험전기와 실험후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창의적 가설설정 교수 학습모형 수업에서는 과학창의성의 하위요인들 중 유창성과 융통성 점수의 실험전기와 실험후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적 태도도 사전ㆍ사후 검사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이러닝 기반 교수-학습활동은 학생들의 과학지식 수준 향상과 창의적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유발과 긍정적 태도를 형성시켜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learning based teaching-learning model for enhancing scientific creativ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researchers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professional consultation, while we developed two models through three experts" review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eaching-learning program to school application: one is the basic e-learning based model, "creative principle-inquiry teaching-learning model" and the other is the intensified model, "creative hypothesis -making teaching-learning model". After making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developed models, we verified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is program by three experts who have doctoral degree in those fields. In addition, we carried out an experiment which was applying it to experimental group so as to verify the effects of two our developed models. Also, tests of creativity, scientific attitude, and program satisfaction were conducted and the sub-factors of scientific creativity were evaluated by analysing reflection papers.<BR>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s on creativity.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ng reflection papers, there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scores on sub-factors of scientific creativity in both cases of applying basic and intensified models. The scores on scientific attitude also had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s. Additionally, it came out that students generally satisfied with these teaching-learning models. It appeared that students felt the models helpful for acquiring scientific knowledge and motivation in science learning.

      • KCI등재

        지역사회 재생을 위한 캠퍼스타운 계획 및 설계 연구

        오주석(Oh, Jooseok),김동현(Kim, Donghyun),여혜진(Yeo, Hyejin),김세용(Kim, Seiy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캠퍼스타운 조성과 대학-지역사회 간 협력을 통한 환경 개선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대학 인접지역에 지역사회의 재생을 위한 전략적 거점구역의 선정 및 캠퍼스타운의 계획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대학 주도의 캠퍼스타운 조성의 당위성과 방법론을 모색한 후 대상지 선정을 위한 지표를 도출하였고, 둘째, 대상지인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를 중심으로 낙후한 주변 지역의 재생과 대학의 시설 충족 및 주변 시설 간 연계 방안을 목적으로 하는 거점구역을 선정하여 캠퍼스타운 계획의 근간을 마련하였다. 셋째, 구역 내 필지 및 건축물의 현황을 바탕으로 대상지의 지역성 보존, 대학시설과 지역산업 간 연계, 그리고 정주환경 개선을 통한 주거환경 증진을 위해 구역 내 건축물의 보수, 신축, 개축, 존치 등을 바탕으로 한 소단위 정비계획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대학과 대상지 간 연계성 확보를 위한 가로 및 건축물 입면 재료 및 색채 등의 디자인 개선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대학의 성장 목표가 내연적 성장이 아닌 지역사회의 재생과 관계기관의 지원 하에 장기적 관점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ways to design a campus town by selecting strategic areas with an aim to revive local communities adjacent to college. The process begins from a growing trend of creating a town that encompasses both a school campus and its neighboring areas, and from the notion that the partnership between a school and a local community would lead to the improvement in regional environments. This paper adopts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literature reviews and the study of relevant cases verify a need to build a campus town in local community and present proper approaches to the matter. Secondly, the paper pinpoints strategic areas to connect the Anam Campus of Korea University in Seoul and to those for neighboring regions to seek ways to vitalize the shabby regions. Third, the paper draws a small-scale regeneration plan by factoring in diverse aspects of the region and structures. The dissertation also seeks how to improve designs of streets and facade, which would enable a college to achieve desirable, long-term goal of restoring the loc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