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6년 1월 23일 제주도에 일어난 국지규모 폭설의 원인과 특징에 관한 사례 연구

        여지혜(Ji-Hye Yeo),하경자(Kyung-Ja Ha) 한국기상학회 2017 대기 Vol.27 No.2

        The development mechanisms of an unusual heavy snowfall event, which occurred in the coast of Jeju Island on 23 January 2016 were investigated through a thermodynamic approach. The formation of heavy snowfall was attributed to the enhanced thermal convection in two ways. First, the convection was enhanced by the air-se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ld air advection in low-troposphere associated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Siberian High and abnormal warm sea surface temperature, which is 1~2℃ higher than normal year over the Yellow Sea (YS). Second, the convective instability was increased by the vertical temperature gradient between the 7 days-sustained cold air advection in low-troposphere and the abrupt cold air intrusion in mid-troposphere induced by the southward shift of a cold cut-off vortex (−45℃) at the formation stage. Compared to the twelve hours prior to the formation, the low-level moisture increased by 5% through the moisture supply from the YS, and the air-sea temperature difference increased from 18.5℃ to 28.5℃. Furthermore, the upward sensible (latent) heat flux increased 1.5 (1.2) times over the YS before the twelve hours prior to the formation. Thereafter, the sustained moisture supply and upward turbulent heat flux helped to maintain the snowstorm.

      • 캐릭터의 성격 유형별로 정서적 특징을 반영한 인공감정

        여지혜(Ji-Hye Yeo),함준석(Jun-Seok Ham),조유영(Yu-Young Jo),이경미(Kyoung-Mi Lee),고일주(Il-Ju K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1

        본 논문은 선행 연구된 인공감정 모델에 성격 유형별로 정서적 특징을 반영한 캐릭터의 인공감정을 설계하여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캐릭터의 인공감정은 성격 유형별로 정서적 특징을 생성에서 소멸까지의 시간과 크기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서의 유지시간, 정서적 경험을 한번 했을 때 느낄 수 있는 최대 크기와 정서를 표현하는 시점을 두 단계로 나누어 정서적 특성을 MBTI 성격 유형에 따라 적용한다. 이렇게 설계된 인공감정은 실제 캐릭터의 적용해보고 성격 유형에 따라 감정 표현과 변화를 분석한다.

      • KCI등재

        인공정서를 가진 스마트폰용 인터랙티브 캐릭터 개발

        함준석 ( Jun Seok Ham ),여지혜 ( Ji Hye Yeo ),박성호 ( Sung Ho Park ),고일주 ( Il Ju Ko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4

        본 논문은 상황, 시간, 성격에 따른 정서적 특징이 반영된 인공정서를 개발하고, 이를 가진 인터랙티브 캐릭터를 스마트폰을 통해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인공정서는 외부의 정서적 자극과 내부의 욕구에 의한 정서 표현을 위해 정서 모듈과 추동 모듈을 갖는다. 정서 모듈은 시간, 성격, 서로 다른 정서 간의 상호관계에 따른 정서의 변화를 담당하는 모듈이다. 추동 모듈은 장시간에 걸친 욕구 변화에 따라 정서적 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모듈이다. 또한 방어기제에 의한 정서표현을 위해, 정서를 정서모듈과 추동모듈에 영향을 받는 제 1경로와, 받지 않는 제 2경로로 나누어 처리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인공정서를 가진 인터랙티브 캐릭터를 스마트폰을 통해 개발하였다. 또한 동일한 입력이 주어졌을 때 상황, 시간, 성격에 따라 어떠한 정서적 차이를 갖고 표현을 하는지 시뮬레이션 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물은 인공정서를 가진 인터랙티브 캐릭터를 실제적으로 구현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표현함으로서 인공정서의 개인화를 가능하도록 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purposes to develop an artificial emotion reflecting emotional features contains situations, time, and characteristics, also to develop an interactive character having this artificial emotion with a smart phone. The artificial emotion has an Emotion Module and Drive Module for expressing emotion according to external emotional stimulus and internal drive. The Emotion Module administrates emotions according to time, characteristic, interrelation between different emotions. The Drive Module controls sensitivities of emotion according to changing drives over long time. Also due to defence mechanism for expressing emotions, emotions are processed by two pathways: The first pathway which is affected by the Emotion Module and the Drive Module, and the second pathway that is not to be done. We developed an interactive character having the artificial emotion with this structure using smart phone. And we simulated the artificial emotion what differences there are according to situations, characteristic, and time under same input conditions. The result of this paper has meanings developing the interactive character having the artificial emotion actually, and making it possible to personalize an artificial emotion with expressing the artificial emotion using smart phone.

      • 관계적시점지도로 구성된 SOM을 이용한 가스배관 부식상태의 자율적 판단 방법

        손충연(Choong-Yeon Sohn),여지혜(Ji-Hye Yeo),고일주(Il-Ju K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1

        시설의 안전성 평가에 대한 연구는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데이터를 정량화하여 획일적인 자동 수행하는 안전관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달리 자율수행은 수집 된 상황 정보나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예측하고 사고 위험성을 경보하여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설물 중에서 가스배관의 부식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 신경망의 대표적 비지도학습인 자기조직화지도를 적용한다. SOM의 적용에서는 주변효과를 보완하기 위해서 관계적관점지도로 맵을 구성한다. 학습 할 데이터는 가스배관의 방식전위이다. 배관의 부식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집 된 데이터인 방식전위에는 부식에 대한 위험요인이 내재되어 있다. 학습 후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면 각 상태 군집의 중심뉴런과 맵핑된 뉴런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배관의 부식상태를 결정한다. 제안 된 방법으로 판단 된 결과를 기존에 사람이 판단한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한다. 이를 통해 배관의 부식상태를 자율적이고 신속하게 판단하여 지능화 된 가스배관 관리로 활용한다.

      • 스마트폰 기반 다중 순번대기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박성호(Sung-Ho Park),여지혜(Ji-Hye Yeo),김미선(Mi-Sun Kim),방그린(Green Bang),박준형(Jun-Hyoung Park),고일주(Il-Ju Ko)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스마트폰의 보급증가로 인해, 각종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이 등장하고 있다. 은행이나 영화관에서 전용 대기번호 발급기를 이용해서 순번을 제공하던 "순번대기시스템" 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등장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시스템은 보통 하나의 순번만 부여하거나, 여러 개의 순번을 받을 수는 있어도 순번들 사이의 스케쥴링에 대한 고려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GPS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다중 순번을 받을 시에 효과적인 대기 스케쥴링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다. 제안된 방식을 사용하면 기존보다 전체적인 대기시간의 감소 효과가 있다. Due to the increasing of smartphones, has been the emergence of various mobile applications. The queueing system used dispenser in banks and cinemas, as for mobile applications has appeared. But The existing system, usually one ticket grants or while it's possible to receive multi-queueing tickets, between tickets scheduling has not been taken into account. In this papers, using the smartphone's GP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by taking advantage of when receiving a multiple-turn waiting number, Propose an effective scheduling method, is realization in application. Using the proposed method than the existing overall effect is a reduction in waiting time.

      • 인공감정을 적용한 게임 난이도 조절에 관한 연구

        박준형(Jun-Hyoung Park),현혜정(Hye-Jung Hyun),여지혜(Ji-Hye Yeo),고일주(Il-Ju K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1

        최근 게임 산업에서는 게임을 인공지능적인 측면으로 접근하는 방식 중 하나로 인공감정을 주목하고 있다. 인공감정은 감정자극과 감정, 그리고 감정의 표현 방식이라는 총 3가지 기본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감정을 사람들에게 꾸준하게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는 캐주얼 게임에 적용시켜 보았다. 캐주얼 게임은 다른 게임들에 비해 게임 속에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환경요소가 한정적이고, 표현할 수 있는 감정이 적어 인공감정에 대한 플레이어의 반응을 실험하기에 적합한 게임 장르이다. 본 연구에서는 쉽게 제작 가능한 버튼 클릭 방식의 캐주얼 게임을 만들었다. 그리고 게임에 플레이어의 행동을 통해 감정적 영향을 받는 인공감정이 적용된 게임 에이전트를 제작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