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린 예배에 대한 비판적 재고

        여성훈 한국개혁신학회 2014 한국개혁신학 Vol.41 No.-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limits of ‘open worship’ of the Korean churches which has been originated from ‘seeker's service’ of the American churches. Specifically, these limits are from its dilemma in worship theology, the mistake in valuing the worship, and its nominal nonsense. With a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this discussion is with the traditional idea that worship is one of the major facets of Christian education curricula. Accordingly, the pivotal presupposit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quality of worship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elements which decide on the quality of the Christian educational practice. The theological dilemma of open worship is focused on the issue of the rationale of worship in relation with the qualification issue of the worship participants. This discussion will be with traditionally diverse definitions of worship. The mistake in valuing worship is focused on the issue of the overvaluation of open worship as public worship of the local churches. This discussion will be through some comparisons between open worship and seeker's service in respect of the valuation of the two. The nominal nonsense issue of open worship is focused on the gap between its name and the reality of open worship. 'Open education' will be referred in explaining this issue. Through this discussion, it will be identified that the inborn limits of open worship are rooted in its spirit that is 'the pop culture-friendly orient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op culture-friendly approach to worship will be pointed in negative sense. Finally, a few suggestions will be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s of open worship caused by the pop culture friendly approach. The expectation of this discussion is not merely to point out the limits of open worship. Ultimately, this paper is to evade its limits in designing the future worship services to create a better quality of worship as a part of Christian curriculum. 예배가 현대기독교교육학 연구의 한 핵심 분야인 ‘기독교교육 커리큘럼’ 혹은 ‘기독교교육의 장(場)’이라는 측면에서 ‘예배의 완성도’는 기독교교육의 완성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그런 의미에서 지난 세기 말에 시작되어 한국교회의 예배, 특히 청소년과 청년층 예배에 큰 영향을 미친 ‘열린 예배’에 대한 논의는 기독교교육학 연구 차원에서 자연스러운 것은 물론 필요한 작업이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지금이 ‘열린 예배 이후의 시대’(post open worship era)에 진입했다는 판단과 함께 기존의 전통예배를 ‘제1의 예배’, 열린 예배를 ‘제2의 예배’라 할 때 완성도 면에서 이 두 예배를 뛰어넘는 ‘제3의 예배’가 요청되는 시점이라는 인식으로 시작한다. 이 논문은 전통예배의 한계라고 할 수 있는 현대 대중성 확보 측면에서의 난제를 열린 예배가 ‘대중문화 친화적 정향(orientation)’을 통하여 일정 부분 해소한 점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입장을 전제한다. 그러나 이 논문은 완성도가 보다 높은 ‘제3의 예배’를 디자인하려 할 때 답습되어서는 안 될 열린 예배의 한계, 구체적으로 말하면 열린 예배의 태생적인 역기능 요인들을 주목하면서 이 역기능 요인들을 비판적으로 논의하는데 초점이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한마디로 열린 예배의 역기능적 요인들에 대한 비판적 재고(review)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주목하는 비판적 재고의 내용은 구체적으로 열린 예배의 예배 ‘성립조건’(rationale) 충족 여부에 관련된 예배신학상의 딜레마(dilemma), 공예배(公禮拜)로서의 열린 예배의 가치 혹은 위상 설정상의 차질, 그리고 열린 예배의 실명론(實名論) 측면에서의 넌센스 요인이다. 이 논의를 통하여 열린 예배에 내포된 태생적 한계의 궁극적인 원인을 소위 세속사회의 ‘대중문화 친화적 정향’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이 후의 ‘제3의 예배’ 디자인 작업에서 이 한계들이 답습되지 않을 수 있게 하는 한 방안으로 “예배의 ‘상향식 재정향’”을 제안하면서 논문을 마무리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파머(Palmer)의 ‘교육의 영성’ 사상을 통한 무어(Moore)의 게슈탈트 교육의 확대 이해

        여성훈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6 No.-

        Gestalt education has been occasionally discussed in both public and religious education. However, the gestalt method has not been fully constructed as a lecture method or a discussion method yet. In this situation, this article can be understood as a pre-work which is needed to be done before the constructing job of gestalt education. Generally, a construction of certain education comprehends its purport, presupposition, method, teacher and learner's role, its functions and limits, evaluation, etc. A full construction of gestalt education also needs comprehension of those elements. But this article is not to construct the system of gestalt education, but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which will be the foundations of the construction of gestalt education. This discussion is based on M. E. Moore's statements of gestalt method in her book, Teaching From the Heart: Theology and Educational Method, and P. J. Palmer's statements on educational spirituality in his book, To Know As We Are Known: A Spirituality of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is article are the openness of gestalt education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and method, the initiative of the learning process in gestalt education, and the effects of the concomitant learning in gestalt education.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gestalt education will be excerpted and presented from Moore's book. Then, Palmer's statements are supplementarily added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ore's gestalt education in a deeper sense. In fact, Moore and Palmer have not had any communication regarding the issue of gestalt education. But it is a recognition and the starting point of this discussion that Palmer's statements are good resources to interpret and understand Moore's gestalt education in a supportive way. The main discussion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oore's gestalt education. In addition, this job will be considered as good preparatory work for constructing gestalt education. 그 동안 "게슈탈트 교육(gestalt education)"은 일반 교육학에서나 기독교 교육학에서 간간히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것이 강의법이나 토의법과 같이 정형화된 하나의 교수-학습법으로 만들어져 있지는 않은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논문은 게슈탈트 교육을 정형화된 하나의 교수-학습법으로 만들려는 의도를 가지고 시도하는 사전 작업이다. 어떤 교수-학습법이 정형화 되면 그 구조 안에는 일반적으로 그 교수-학습법의 취지나 전제, 방법, 전개, 교사의 역할, 학습자의 위상, 평가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그것은 게슈탈트 교육의 정형화 작업에서도 동일하게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하는 논의는 게슈탈트 교육을 정형화하는 작업 자체가 아니라 게슈탈트 교육을 하나의 체계로 수립하기 전에 해야 할 게슈탈트 교육의 기본 성격 규명을 위한 것이다. 이 논의를 위한 구체적인 자료로는 무어(M. E. Moore)의 저서, Teaching from the Heart: Theology and Educational Method에 나오는 게슈탈트 방법에 대한 이야기와 팔머(P. J. Palmer)의 저서, To Know As We Are Known: A Spirituality of Education에 나오는 교육의 영성에 대한 이야기가 중심이 된다. 여기서 규명하려는 게슈탈트 교육의 기본 성격은 세 가지로, 게슈탈트 교육에 있어서의 "학습의 개방성", "학습 과정에 있어서의 학습자 주도성", 그리고 "부대 학습의 효과"이다. 이 논의는 먼저 무어의 저서에서 추출할 수 있는 게슈탈트 교육의 특성들을 설명한 후에 이 특성들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야기들을 팔머의 저서에서 발췌하여 그것으로 무어의 이야기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다. 사실 게슈탈트 교육을 두고 무어와 팔머 사이에 이루어진 대화는 없다. 그러나 팔머의 이야기가 무어가 말하는 게슈탈트 교육의 성격을 더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인식이요 출발점이다. 따라서 이 논의는 게슈탈트 교육에 대한 그 두 학자의 견해를 소개하거나 둘 사이에 대화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다만 무어가 말하는 게슈탈트 교육의 성격을 설명하면서 팔머의 이야기, 혹은 그 행간의 이야기를 유추하여 무어가 말하는 게슈탈트 교육의 성격을 더 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 마디로 이 논의는 이후에 독자적으로 게슈탈트 교육을 정형화된 하나의 구조로 만들 때 필요한 게슈탈트 교육의 성격 규명을 보다 분명히 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