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이 유아의 놀이행동 및 상호주관성에 미치는 영향

        엄정애(Jung Ae Ohm),이은화(Eun Wha Lee) 한국아동학회 1998 아동학회지 Vol.19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theme-relevant play center on children`s play behavior and intersubjectivity with an integrated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4 kindergarten children (12 boys and 12 girls). Half of the experimental subjects participated in a novel dramatic play center connected with a specific theme for the duration of 5 weeks. pre- and post-testing was conducted for all children. The theme-relevant dramatic play center wits an integrated approach to early education facilitated a high level of play behavior and children`s intersubjectivity.

      • KCI우수등재

        유아의 충동성 기질 및 사회극놀이 참여도와 자기규제간의 관계

        엄정애(Jung Ae Ohm) 한국아동학회 2004 아동학회지 Vol.25 No.5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Impulsivity temperament, socio-dramatic play, and self-regulation of 4-year-old children. Subjects were 117 4-year-old children(59 boys and 58 girls) selected from three kindergartens. Each mother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her child`s temperament. Naturalistic observations of total socio-dramatic play, complex socio-dramatic play, solitary dramatic play and of self-regulation in two classroom contexts - clean-up periods and group circle time - were conducted for obtaining data. Significance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hildren`s Impulsiv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self-regulation and to total and complex socio-dramatic play, but impulsiv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solitary dramatic play. Total and complex socio-dramatic play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regulation while solitary dramatic play was negatively related to self-regulation. Total and complex socio-dramatic play, and solitary dramatic play dis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impulsivity and self-regulation during clean-up periods.

      • KCI등재

        놀이와 유아교육 : 그 조화의 방향에 대한 탐색

        엄정애(Ohm Jung 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놀이와 유아교육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놀이가 유아에게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의 효과적인 수단임을 지적함으로써 놀이를 유아교육의 매체로 적극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놀이와 유아교육 과정과의 연관성을 교육과정으로부터 형성된 놀이와 놀이로부터 형성된 교육과정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더불어 놀이 중심 교육을 전개해 나가는데 있어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 높은 교사 대 유아의 비율로 인한 시간과 에너지의 부족 및 협소한 놀이 공간, 기본적인 기술을 가르쳐야 한다는 학교 교육과정이 주는 압력 놀이에 있어서의 성인 참여에 대한 부정적 시각 등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a discussion of the relation between play and education. Play is enjoyable and intrinsically motivating and is thereby able to fuel children's enthusiastic involvement in play linked learning activity. The nonliteral nature of play opens the door for children to find ways to make academic activities significant, and the means-over-ends orientation allows freedom from the threat and anxiety associated with evaluated performance. And also, play is associated with a wide range of learning processes and outcomes and this makes play ideally suited for meeting DAP guideline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lay provides multiple ways for children to learn, and play is a flexible mode that allows for individual differences and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Play is related to the curriculum in two ways : curriculum-generated play, play-generated curriculum. Curriculum-generated play can serve two important functions depending on when it occurs in relationship to instruction : (1) Initial learning, (2) practice and consolidation. Play-generated curriculum is that ideas for teaching and learning flow out of children's play. A gap often exists between what teachers say about the value of play and their actual behaviors in the classroom. Part of the difficulty is lack of time, energy and space given low teacher-child ratios and curriculum pressures to teach basic skills, as well as the teacher's own beliefs that adults should not intervene in play. In order to counteract these impediments, teachers need to be open advocates for play, educating parents and administrators about the academic value and uses of play.

      • KCI우수등재

        영아기 전래놀이노래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적용실태

        엄정애(Jung Ae Ohm) 한국아동학회 2001 아동학회지 Vol.22 No.2

        This study examined parental perceptions and use of traditional play songs far infants by parent`s age and gender. The 464 subjects living in Daejeon City provided data via questionnaires and recorded tapes. Of 13 play songs for infants, parents were really acquainted only with Jjak-jjak-kkung, Do-ri Do-ri, Gon-ji Gon-ji, and Jam-jam. However, most parents thought traditional play songs are important for the education of the whole child. Mothers and parents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considered traditional play songs to be more important than did fathers and parents in their twenties. Though infants liked traditional play songs, most parents didn`t use them with their infants because parents knew few traditional play songs and they had little time to play with their infants. Lack of time was a more serious problem for fathers than for mothers.

      • KCI등재

        만 5세 하늘반 유아들의 또래관계 탐색

        장정윤 ( Chang Jung-yoon ),엄정애 ( Ohm Jung-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하늘반 한 학급이라는 단일사례 내에서 관찰된 유아들의 특수한 또래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또래관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만 5세 유아 23명(남아 12명, 여아 11명)과 교사 1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우관계분석 결과로 나타난 만 5세 하늘반 유아들의 또래관계 양상을 은하계와 행성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또래관계에 대한 유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으며, 유아들이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만 5세 하늘반 유아들의 또래관계는 다양한 밝기의 행성들이 모여서 조화를 이룬 은하계와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유아들은 또래관계 안에서 친구의 능력(나에게는 없는, 너의 숨은 능력), 친구의 좋은 점(나에게만 보이는, 너의 좋은점), 친구의 외모(나에게만 귀여운, 너), 친구와 함께한 경험(너와 나, 함께 한 경험이라는 연결고리), 친구와의 놀이코드(너와 나, 우리들의 놀이코드), 친구에 대한 질투(질투, 관심의 또 다른 이름)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다. 다음으로 만 5세 하늘반 유아들이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은 대장, 선생님, 매력쟁이, 중립자, 관계해결사, 나도 은하계의 행성, 주변을 맴도는 위성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new view about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by examining a special peer relationships discovered in a single case as 5-year-old Haneul class. 23 children(12 boys and 11 girls) and a teacher of clas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showed a peer relationships aspects of Haneul class through Netminer for Friendships Analysis compared to galaxy and planets. Also the researcher heard the account of children how children recognize peer and explored how they maintained a peer relationship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pects of Haneul class peer relationships is described as a galaxy which is consist of various brightness planets in harmony. Children also showed likes and dislikes based on various impressions of peer ability, peer advantages, peer appearance, memory of experience with peer, play code with peer, and jealousy. Second, mechanisms of children as individual planet forming galaxy were described as a leader , teacher , charmer , neutrals , relationship solver , a planet of galaxy , and a satellite hovering a planet .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놀잇감 공유에 대한 유아의 생각

        라지영(Ji Young La),엄정애(Jung Ae Ohm)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4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9 No.1

        본 연구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놀잇감 공유에 대한 유아의 생각을 유아의 목소리로 직접 들어보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C도에 위치한 A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30명, 만 5세 유아 30명이었다. 자료 수집 방법은 드로우 앤 텔(Draw and Tell)방법으로, 유아가 주제와 관련해 그린 그림 을 토대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놀잇감 공유에 대한 유아들의 생 각은 적극적인 놀잇감 공유 수용, 놀잇감 공유 규칙의 존재, 놀잇감 수량에 따른 공유방식 결정, 예외적 인 공유 거부 상황의 출현 등 크게 네 가지 범주로 요약되었다. 첫째, 유아들은 가족 및 친구와의 놀잇 감 공유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둘째, 놀잇감 공유를 위해 유아들은 구두로 허락 구하기, 사용 할 수 있는 공간 한정하기, 망가뜨리지 않기 등의 규칙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공유방식의 결정 시 놀잇감의 수량을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넷째, 이전에 부정적인 놀잇감 공유 경험이 있 거나, 비호감 가족에 대한 공유이거나, 유아 자신에게 소중한 가치가 있는 놀잇감인 경우에는 놀잇감 을 공유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는 자신이 소유한 놀잇감을 공유하는 것에 대한 유아의 생각을 살펴봄으로써 유아 스스로가 인식하고 있는 공유의 의미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ar young children’s voices on their thoughts about toy sharing at home. Thirty 4-year-old children and thirty 5-year-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in Province C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Employing the ‘Draw and Tell’,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children’s drawings of toy sharing situations at home. As a result of the study, children’s thoughts on toy sharing at home were broadly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active acceptance of sharing, adherence to sharing rules, consideration of toy quantity in sharing decisions, and emergence of exceptional situations of refusal to share. First, children were actively accepting sharing toys with family and friends. Second, childre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ertain sharing rules, such as asking for verbal permission, limiting the designated play area, and taking care not to damage the toys when sharing. Third, when determining the sharing method, the number of toys wa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Fourth, instances of reluctance to share were noted, it was thought that the child did not want to share the toy if there was a previous negative toy sharing experience, if the toy was shared in response to unfavorable family, or if the toy was very valuable to the chil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ddresses the meaning of sharing as perceived by young children by examining young children’s thoughts about sharing their own toys.

      • KCI등재

        대위법 그림책에 대한 만 4, 5세 유아의 문학적 반응

        박은성 ( Eun Seong Park ),엄정애 ( Jung Ae Oh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대위법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문학적 반응을 알아보고, 유아의 문학적 반응이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 24명에게 대위법 그림책을 읽어준 후 유아가 보인 문학적 반응을 전사하여 범주별로 분류하였다. 대위법 그림책은 서정숙(2011)이 제시한 6가지 유형의 대위법 그림책 중 만 4, 5세 유아들에게 적합한 4가지 유형[장르, 시점, 사건, 인물 대위법]에 속하는 그림책을 유형별로 각 1권씩 선정하였다. 문학적 반응은 Sipe(2011)가 제시한 범주에 따라 분석적, 상호텍스트적, 개인적, 동화된, 연행적 반응으로 분류하였다. 대위법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문학적 반응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학적 반응비율은 분석적, 개인적, 연행적, 상호텍스트적, 동화된 반응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위법 그림책에 대한 연령별 유아의 문학적 반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물 대위법을 제외한 그림책 유형 모두에서 만 5세가 만 4세보다 높은 분석적 반응을 나타낸 반면, 개인적 반응은 만 4세가 만 5세보다 높게 나타냈다. 상호텍스트적, 동화된, 연행적 반응은 만 4, 5세 공통적으로 분석적, 개인적 반응에 비해 낮은 반응 비율을 나타냈으나, 연령별로 반응을 높게 보인 순서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s responses on counterpoint picture books and to examine age differences in responding to the counterpoint picture book reading.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results, five counterpoint picture books were selected for each of five category of the counterpoint picture books: utterance, genre, viewpoint, character and incident counterpoint. The researcher read the counterpoint picture books to the children and then all the responses of the children on the counterpoint picture books were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with 5 categories of responses by Sipe(2011). Based on the five categories by Sipe(2011), the children``s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analytical, inter-textual, personalizing, transparent, and performative response.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children’s response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unterpoint picture book. It shows a high percentage in the order of analytical, personalizing, performative, inter-textual, and transparent response. Next, 5-year-old children showed higher analytical responses than that of 4-year-old children for most categories of the counterpoint picture books, except for the character counterpoint picture book. On the other hand, 4-year-old children had a higher ratio in personalizing responses in most categories of the counterpoint picture books, except for the character counterpoint picture book. For an inter-textual, transparent, performative response, 4- and 5-year-old children both show a lower ratio. The ranking is somewhat different for the categories of the counterpoint picture book.

      • KCI등재

        유아의 놀이행동과 역량지각 및 사회적 수용감 간의 관계

        유주연(Ryu Joo-yeon),엄정애(Ohm Jung a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2 육아지원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만 4, 5세 유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놀이행동의 차이와 유아 놀이행동과 역량지 각 및 사회적 수용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4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세 유아 48명과 만 5세 유아 56명을 대상으로 역량지각 및 사회적 수용 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들의 담임교사 9명을 대상으로 유아 놀이행동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놀이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만 4세 유아와 만 5세 유아의 놀이행동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놀이행동 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아와 여아 사이에는 거친 놀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아 가 여아보다 거친 놀이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놀이행동과 역량 지각 및 사회적 수용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아의 사회적 놀이와 인지적 역량지각 간의 정적 상관이, 여아의 정적인 혼자놀이와 인지적 역량지각 및 또래 수용감 간의 정적 상관이 나 타났다. 본 연구 의의는 놀이행동에 있어서의 성별의 차이를 밝혀내고 사회적이지 않은 놀이를 하는 유아들에게도 긍정적인 발달적 특성이 나타남을 보여줌으로써, 유아의 성별 및 놀이행동에 적합한 교육적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데에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y behaviors of 4 or 5 year-old children on the basis of age and sex,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lay behavior,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this purpose,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on 48 four-year-olds and 56 five-year-olds in 4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Furthermore, we've posed a questionnaire of children's play behaviors to their 9 class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survey for children's play behaviors on the basis of age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four-year-olds and five-year-old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children’s play behavior based on their gender. It was revealed that boys tended to behave more roughly than girls. Third, the surve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behavior,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resulted in showing that boy's social play has affirmative relation with cognitive perceived competence and that girl's solitary-passive play has affirmative relation with cognitive perceived competence and peer-group acceptance.

      • KCI등재

        TV 프로그램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에 미치는 영향

        고준희 ( Joon Hee Koh ),엄정애 ( Jung Ae Oh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캐릭터를 교육적인 관점에서 유아의 놀이와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도구로 재조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캐릭터 놀이감과 비(非)캐릭터 놀이감으로 놀이감 조건을 달리 하여 가상놀이 빈도, 주제에 나타난 놀이감 조건의 주효과와 놀이감 조건 및 연령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의 중류층 거주 지역에 위치한 D 유치원의 만 4, 5, 6세 유아 72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비캐릭터 놀이감보다 캐릭터 놀이감 조건에서 탐색과 놀이감 소유에 관한 협상이 더 많이 나타난 반면 캐릭터 놀이감보다 비캐릭터 놀이감 조건에서 가상극과 관련된 높은 수준 가상협상이 더 많이 나타났다. 둘째, 캐릭터 주제는 비캐릭터 놀이감보다 캐릭터 놀이감 조건에서 더 많이 나타난 반면, 전형적 주제, 현실적 주제, 환상적 주제는 캐릭터 놀이감보다 비캐릭터 놀이감 조건에서 더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캐릭터 놀이감으로 인해 놀이감 소유에 관한 협상과 탐색이 증진되는 반면 극과 관련된 의사소통의 필요성과 수준 높은 가상극의 시도가 감소하고, 가상놀이의 주제가 캐릭터와 관련된 주제에 한정되어 주제의 다양성이 제한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캐릭터 놀이감의 매력이 유아의 소유욕과 탐색에 대한 충동을 자극하여 결과적으로 가상놀이의 기회가 줄어들 우려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re is no question that pretend play is vital to the social, intellectu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pretend play, often stimulated by props, such as found objects or toys, is a necessary part of the curriculum.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etend plays that young children create in an effort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V character toys on children`s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72 children ranging from four to six years of age, all attending D Kindergarten, located in a middle-class residential area of Seoul, Korea, participated in two different play sessions respectively: character toys (media related) and non-character toys (non-media related) and were observed for the frequency and the themes of their pretend play with each type of toy. Analyses of the data reveals 1) that exploration of the toys themselves and negotiations for possession of the toys occurred more often in situations with character toys than with non-character toys 2) however, high-level pretend negotiations, i.e. discussion of roles and development of pretend play scenarios occurred more often in situations with non-character toys than with character toys 3) more themes involving the persona of the character toy were produced with the character toys than with the non-character toys 4) archetypical themes, reality-based themes and fantasy themes were produced most often by non-character toy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influence of TV character toys on children are limited to possession of the toys, and that children are only attracted to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haracter toys. In addition, a preponderance of their use as pretend play props may lessen the crucial developmental opportunities in various themes of pretend 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