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소프트웨어 융합 과목 현황 분석

        양혜지(HyeJi Yang),우호성(Hosung Woo),김성희(SungHee Kim),김한일(HanIl Kim),김자미(JaMee Kim),이원규(WonGyu L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4 No.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초등 5,6학년 실과 내 SW교육이 17시간 이상 필수가 됨에 따라, 예비교원의 SW융합교육 역량 향상을 위해 교육부는 2018년부터 소프트웨어교육 강화 지원 사업(SWEET)을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SWEET 대상 교의 타 심화전공 내 SW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12개의 SWEET 대상교의 SW활용 융합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과교과에서 SW를 융합하는 학교가 7개교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수학에서 융합하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다양한 교과와의 융합을 고려한 학교는 3개교이다. 본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은 아직 미비한 수준임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SWEET 사업의 목적이 SW교육 역량 뿐 아니라 SW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측면의 노력도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의 수준 분석

        양혜지(Yang HyeJi),김자미(Kim JaMee),이원규(Lee WonG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에 대한 남녀 고등학생의 성취수준을 분석하여 성별에 따른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13개 고등학교의 학생 총 1,892명을 대상으로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 데이터의 필터링을 통해 SPSS로 통계분석 하였다. 성별 성취수준 분석 결과, 첫째, 점수 분포는 알고리즘에서 여학생, 프로그래밍에서 남학생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알고리즘은 여학생, 프로그래밍은 남학생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소속 학교의 정보 수업 진행 여부에 따른 점수 분석 결과,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모두에서 남학생은 정보 수업이 진행될 경우의 점수가 높았다. 그러나 여학생은 정보 수업의 진행 여부에 따른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여학생들의 경우, 단지 수업을 통해서 프로그래밍 관련 실력을 높일 수는 없으며, 학령이 낮을 때부터 시작하여 거부감을 없앨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level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regards to their algorithm and programming courses, an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according to gender. To achieve this goal, algorithm and programming test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892 students from 13 high school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7, and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sulting dat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achievement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that, first, the score distribution was higher for female students for algorithms while male students scored higher for programming. Second, the scores of girls for algorithms and those for boys for programm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ir countervailing gender. Third, as for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Informatics course of the school, male students were found to achieve relatively higher scores when Informatics courses included both algorithm and programming lessons. However,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cores regarding algorithms and programming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Informatics course. This study suggests that female students can t improve their programming-related skills only through classes, implying that their tendency to reject such courses at an early school age needs to be addressed.

      • KCI등재

        교육대학원의 중등 정보교사 양성 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 현황 분석

        양혜지 ( Hyeji Yang ),김자미 ( Jamee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0 No.2

        정보기술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윤리는 교과로서 `정보`가 처음 교육과정을 구성한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일반윤리와 다르게 정보윤리 교육을 해야 하는 정보교사들에게 요구되는 내용 지식의 정도를 분석하고, 교육대학원의 정보윤리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2002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의 정보윤리 내용을 분석하고, 32개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04학년도 임용시험부터 10회의 시험에서 정보윤리 관련 문항이 출제되었다. 둘째, 임용시험 초기에는 역기능에 관한 문항들이 주로 출제되었으나, 2010학년도 이후로 저작권, 정보보안, 다양한 중독 관련 문항이 많았다. 셋째, 정보교사 양성기능이 있는 32개의 교육대학원 중 11개(33%)에만 정보윤리가 개설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정보윤리 관련 문항의 변화 흐름을 분석하고, 정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대학원의 정보윤리교육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formation ethic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that occur in information technology, had been comprised of one unit ever since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07 from whence `informatics` was established as the first course, and has remained so even after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gree of content knowledge required of informatics teachers who will teach information ethics by distinguishing the subject from general ethics, and to grasp the status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information ethics questions of the informatics teacher appointment exam from years 2002 to 2015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curriculums of 32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first, questions related to information ethics were included in 10 exams, since the 2004 exam. Second, questions related to dysfunction were mainly addressed from the beginning of administering the exam but since 2010 many items related to copyrights, information security, and various addictions were added. Third, 11(33%) of the 32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th informatics teacher training provide information ethics cour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help to better understand the changes needed to update the information ethics related questions of the informatics teacher appointment exam,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 KCI등재

        초등교원의 SW교육 역량 추출

        양혜지(Yang HyeJi),김자미(Kim JaMee),이원규(Lee WonG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W education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first,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eacher competency was considered, and the factor and elements of competency based on competency-related research were constructed. SW-related curriculum, and teachers SW education competency were searched for literature to materialize the Content Knowledge. Second, FGI was conducted for five experts to collect opinions on competency extraction. Third, competency factors and elements were defined and indicators were derived. Fourth, a questionnaire ques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mpetency (draft).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10 experts, and Kano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urvey result data. Fifth, based on expert opinion, competency was determined. Finally, three factors of pedagogical knowledge, pedagogy & content knowledge, and content knowledge were composed, and 13 elements and 47 indicators were extrac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competency of teachers to be equipped to teach the SW curriculum based on objective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원의 SW교육 역량을 규명하는 것이다.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교수내용지식 및 교원 역량 관련 연구를 고찰하여, 교수내용지식 기반의 역량 요인 및 요소를 구성하였다. 초·중학교 SW 관련 교육과정, 교원의 SW교육 역량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내용학적 지식의 요소를 구체화하였다. 둘째, 전문가 5인 대상의 FGI를 진행하여 역량 추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셋째, 역량 요인, 요소를 정의하고 지표를 구성하였다. 넷째, 역량(안)을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Kano 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섯째,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역량을 확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교육학적 지식, 교육학&내용학적 지식, 내용학적 지식의 3개 요인을 구성하고, 13개 요소, 47개 지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객관적인 방법론에 근거하여 SW 교육과정을 가르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교원의 역량을 교수내용지식 관점으로 제안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디지털역량 프레임워크에서 디지털윤리 관련 내용 분석

        양혜지(HyeJi Yang),김자미(JaMee Kim),이원규(WonGyu L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4 No.2(A)

        디지털 혁명이라 일컬어지는 디지컬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전체 시민에 대한 디지털 역량의 중요성이 재확인되었다. 국내에서는 디지털 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디지털역량교육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움직임을 시작하였다. 디지털역량은 2000년대부터 다양한 국가 및 기관에서 정의되어 왔다. 디지털역량에 디지털윤리가 지속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어 왔으나, 국내 디지털역량 연구 중 디지털윤리 관련 연구의 비율은 15%로 낮았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역량 프레임워크에서 디지털윤리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유럽연합의 JRC에서 개발한 DigComp 및 DQ Institute의 DQ 프레임워크에 구성된 디지털윤리 관련 역량 및 정의를 분석하였다. 둘째, 역량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디지털윤리 관련 내용요소를 도출하였다. 셋째, 두 개 프레임워크의 디지털윤리 관련 내용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공신력 있는 국제 단체의 표준 문헌을 바탕으로, 디지털윤리 교육 내용에 대한 초석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데이터 과학을 위한 컴퓨팅 역량 프레임워크 분석

        양혜지(HyeJi Yang),김자미(JaMee Kim),이원규(WonGyu L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1(A)

        데이터 과학은 정보기술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분야이다. ACM/IEEE는 Computing Curricula (CC) 2005 이후 15년 만에 CC 2020 초안을 발표하면서, 데이터 과학 분야를 추가하였다. 한국, 미국, 인도, 일본, 중국 등 각국은 K-12 대상으로 AI, 데이터 과학의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본 연구는 ‘데이터 과학을 위한 컴퓨팅 역량 프레임워크(DS 202x)’를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DS 202x 프레임워크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역량 프레임워크 구성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내용은 CS 2013의 주제와 DS 202x의 지식을 비교·분석하여 지식 영역을 대응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DS 202x는 11개 지식 영역, 하위 분야가 역량과 연계되며, 역량은 지식, 기술, 기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둘째, CS 2013의 지능형 시스템과 DS 202x의 AI 영역이 동일한 개념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DS 202x와 CS 2013의 지식 영역이 1개 이상 상호대응되었다. 넷째, DS 202x는 기초적인 컴퓨팅의 내용을 별도의 지식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사용자, 개발자 측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발생 가능한 SW윤리 내용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최신의 표준 문헌에 나타난 데이터 과학 분야의 동향을 탐색하여, 데이터 과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과목 출제경향 분석

        양혜지 ( Hyeji Yang ),이원규 ( Wongyu Lee ),김자미 ( Jamee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2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은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정보과 내용을 가르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유일한 국가시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 문항 출제에 대한 시사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이 처음 출제된 2002학년도부터 2017학년도까지 기출문제에서 문항을 수집하였다. 표시과목 정보·컴퓨터의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문항 분석의 틀과 기준을 마련하였다. 분석에는 기본이수과목의 개정과 임용시험문항유형의 변경이 고려되었다. 총점에 대한 출제과목의 배점 비율을 분석하고, 학년도별 교과내용학 문항출제경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정보·컴퓨터의 기본이수과목에서 출제과목과 문항유형이 편중되지 않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기본이수과목의 과목 구성 및 이수 방법과 임용시험 출제경향의 괴리는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지식을 가르치고 평가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을 통해 학교 현장에 양질의 교사를 수급하기 위한 디딤돌 역할을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informatics·computer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is the only national test to measure the competence of educators in teaching students relevant informatics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e informatics·computer teacher appointment exam. To this end, we collected appointment exam questions from 2002, when the informatics·computer teacher appointment exam first started, to 2017. Based on evaluation areas and evaluation content factors of the indication subject of informatics· computer, we built the analysis framework and criteria us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took into account the revision of basic required courses and changes in the types of exam questions. We analyzed the percentage of points allotted to the subject matt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points, and also the trends of exam questions by school yea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to avoid concentration in certain areas of the basic required courses of the informatics·computer subject. Seco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xam and the curriculum of basic required courses must be addressed to properly teach and evaluate preliminary teacher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erves as a stepping stone in supplying highly competent teachers to the field through improving the informatics·computer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 KCI등재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과목 출제경향 분석

        양혜지,이원규,김자미,Yang, HyeJi,Lee, WonGyu,Kim, JaM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2

        정보 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은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정보과 내용을 가르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유일한 국가시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 컴퓨터교사 임용시험 문항 출제에 대한 시사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정보 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이 처음 출제된 2002학년도부터 2017학년도까지 기출문제에서 문항을 수집하였다. 표시과목 정보 컴퓨터의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문항 분석의 틀과 기준을 마련하였다. 분석에는 기본이수과목의 개정과 임용시험 문항유형의 변경이 고려되었다. 총점에 대한 출제과목의 배점 비율을 분석하고, 학년도별 교과내용학 문항 출제경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정보 컴퓨터의 기본이수과목에서 출제과목과 문항유형이 편중되지 않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기본이수과목의 과목 구성 및 이수 방법과 임용시험 출제경향의 괴리는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지식을 가르치고 평가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정보 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을 통해 학교 현장에 양질의 교사를 수급하기 위한 디딤돌 역할을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informatics computer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is the only national test to measure the competence of educators in teaching students relevant informatics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e informatics computer teacher appointment exam. To this end, we collected appointment exam questions from 2002, when the informatics computer teacher appointment exam first started, to 2017. Based on evaluation areas and evaluation content factors of the indication subject of informatics computer, we built the analysis framework and criteria us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took into account the revision of basic required courses and changes in the types of exam questions. We analyzed the percentage of points allotted to the subject matt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points, and also the trends of exam questions by school yea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to avoid concentration in certain areas of the basic required courses of the informatics computer subject. Seco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xam and the curriculum of basic required courses must be addressed to properly teach and evaluate preliminary teacher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erves as a stepping stone in supplying highly competent teachers to the field through improving the informatics computer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