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3국 출생 탈북 청소년들의 삶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입국 전·후 적응과 지원체계경험을 중심으로-

        양혜린 ( Hyerin Yang ),김옥수 ( Oksoo Kim ),고윤정 ( Yoonjeong Ko ),박연미 ( Yeonmi Park ),이혜란 ( Hyeran Lee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6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16 No.-

        본 연구는 제 3국 출생 탈북 청소년들의 보호 및 지위개선을 위한 연구로, 이들이 한국 입국 전·후에 경험하는 다양한 사회적·심리적 적응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출생 탈북 청소년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 입국 전·후 가족관계, 거주기간, 국적지위, 언어수준, 국가소속감, 스트레스, 학업성취도, 사회적 지지 등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들중 심층면접 참여의사를 밝힌 9명의 청소년과 유관기관 실무자 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이들이 한국사회에서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과 욕구, 지원체계 경험 등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제 3국 출생 청소년들은 한국 입국 전, 후로 불안정한 가족체계 안에서 정서적 어려움, 분리불안, 애착문제를 경험하였으며, 이는 초기 한국 사회적응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 초기 적응과정에서는 언어적 어려움으로 인해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 적응등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관계 안에서 탈북 출신 어머니 및 본인의 신분을 위장 혹은 미공개함으로써 또래친구와의 관계를 형성 및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 외에도 이들은 일반 탈북청소년과의 차별적 서비스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대다수가 이에 대해 불만, 억울함 등을 호소했다. 이들은 취업·진로 및 대학진학에 대한 공적 서비스와 학비에 대한 경제적 지원에 대한 강한 욕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이들이 입국 전·후로 경험하는 고충을 다각도로 살펴봄으로써 이들에 대한 법적지위 개선, 관련 정책강화, 지원서비스 확대 및 전달체계 구축마련 등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s this study is for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statu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born in third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ssues they faced before and after entering South Korea. By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thirty adolescent refugees who were born in the third country were recruited and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they responded include subjects about their family relationship, residence period, citizenship status, language proficiency, national identity, st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support. To investigate difficulties, needs and support systems they are experiencing in South Korean society in more detail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Nine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one expert who works in the relevant organization were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from the third country experienced emotional difficulties, separation anxiety and attachment issues under the unstable family structure and thus, these negative issues influenced on their early social adaption in South Korea. In the early adjustment, adolesc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life due to the language differences and difficulties. Moreover, they tended to build and maintain friendship by not to talk about their and their mother`s background. Besides,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born in the third country recognized that they are having different services from the North Korean defector youth and the most of them complained about unfairness and injustice of policy. Also, they have strong needs for financial support of university`s tuition and public services for getting a job and career. By multilateral approaches in understanding difficulties and needs of the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born in third country, this study suggested improving of their legal status, strengthening of relevant policy, extending of support services and building structure of welfare delivery system in order to protect and improve the social status of these adolescents.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자살문제에 관한 연구

        류원정(Wonjung Ryu),양혜린(Hyerin Yang)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4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10 No.2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PTSD경험이 자살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남한 및 북한이탈주민 지지자원의 보호적 역할의차이를 비교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COVID-19 이후 한국사회가정폭력 및 정신건강 위기분석과 학제간 융합적 대응방안 연구’에서 모집된남한 거주 북한이탈주민 410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여 PTSD가 자살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북한 및 남한출신 인적 지지자원의 다중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PTSD는 자살문제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나타났다.둘째,북한 출신 인적 지지자원은 자살문제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으나 PTSD가 자살문제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남한 출신 인적 지지자원은 자살문제에 직접적인영향을 미쳤으나, 유의미한 조절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의 자살문제에 있어서 출신국별 지지자원의 역할을 살피고, 구체적인 개입방안 및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mpact of PTSD experience on the risk of suicide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compare and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protective role of human support resources by country of origin in this process. For this purpose, data on 410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were used for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a moder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MACRO,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TSD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uicide risk. Second, human support resources from North Korea had no direct effect on suicide risk, but it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TSD and suicide risk. On the other hand, human support resources from South Korea had a direct effect on suicide risk, it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we examined the role of Human resources by country of origin in the problem of suicide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proposed specific intervention measures an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