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f the Apologetical Thoughts of Anselm of Canterbury

        양현표 Presbyterian General Assembly Theological Seminary 2022 CHONGSHIN THEOLOGICAL JOURNAL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main thoughts of Anselm as apologist, such as “reason and faith,” “proof of existence of God,” and “reason of incarnation.” Anselm’s brief biography, his methodology and his major works are described first,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Anselm, the father of Scholastic theology, the role of reason to reveal faith, the proof of God’s existence without using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e Church, so called “Ontological Argument,” and lastly the reason why God had to become human. To do this, the paper focuses on the main works of Anselm, Monologion, Proslogion, and Cur Deus Home. Finally, the study is concluded by demanding the demonstration of faith using the reason of Anselm in today’s post-modern world, and by emphasizing the need to rediscover and use Anselm’s methodology.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와 복음전도

        양현표 개혁신학회 2015 개혁논총 Vol.35 No.-

        개혁주의에 무슨 복음전도가 있느냐란 비판이 역사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왜냐하면 개혁주의의 선택과 유기라는 예정 교리 때문이다. 구원 받을 자에 대한 하나님의 선택이 있다면 무엇 때문에 복음전도라는 인간의 행위가 필요하겠는가라는 비판이다. 그러나 그러한 비판은 전혀 근거가 없는 비판이다. 그렇게 비판하는 원인으로 첫째는 역사적 칼빈주의를 극단적 칼빈주의와 혼동하기 때문이요, 둘째로 칼빈의 가르침 중의 일부분인 선택 교리에만 집중하여 방대한 칼빈의 저술에 나타난 복음전도에 대한 인간의 책임에 관한 가르침을 고찰하지 못한 이유이며, 셋째로 선택 교리 자체에 대한 편협한 이해 때문이며,마지막으로 실제로 교회 역사 속에서 개혁주의자들이 보여준 복음전도의 열 정과 그로 인한 놀라운 열매들을 고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개혁주의 복음전도는 오늘날 유행하는 자본주의적 원리가 아니며 인간의 자유 의지에 기초한것도 아니며 그저 좋은 삶을 통한 관계를 강조하는 것도 아니며 오직 하나님 중심의 전도로서 인간의 능력을 철저히 배격하고 선포적이고 공격적으로 복음의 핵심인 예수 그리스도를 구체적으로 전하는 것이다.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there is no place for evangelism in Reformed theology because of the primacy of the doctrine of election in Calvinism. It asks the question: Why do humans need to participate in evangelism if God has already elected specific people for salvation? However, this criticism comes more out of misunderstanding than critical thinking. There are four points of misunderstanding regarding Calvinism that leads to this criticism. First, there is confusion surrou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they are often conflated when they should not be. Second, there is a disregard for Calvin's other teachings on human responsibility and an overly high focus on the doctrine of election,though it was not his main teaching in Institutes. Third, there is an overly narrow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election. Lastly, there is an ignorance of Calvinist' contributions to evangelism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church. Reformed evangelism is not evangelism through an appeal to the human free will or deeds. Rather, Reformed evangelism is a God-centered evangelism that aggressively and boldly proclaims Jesus Christ because of the sovereignty of God.

      • KCI등재

        한국교회 현실과 교회개척 패러다임의 전환

        양현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6 복음과 실천신학 Vol.40 No.-

        많은 사람들이 한국 교회가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하며, 이러한 어려운 현실 속에서 교회개척은 더 이상 성공할 수 없으며, 이제는 교회개척의 시대가 아니 라고들 말한다. 아지만 이 시대야말로 교회개척의 시대이며, 교회개척만이 한 국교회가 회생할 수 있는 대안이다. 물론 교회개척이 어려운 것만은 사실이다. 많은 목회자들이 갑자기 개척으로 내몰린다. 개척된 교회가 생존하기도 쉽지 않다. 교회개척자가 홀로 무한책임을 지고 교회를 개척해야 한다. 때문에 교회 개척자들은 알게 모르게 패배의식에 빠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실임에도 불 구하고 교회개척은 계속되어야만 한다. 아직도 저조한 한국의 복음화율은 교 회개척을 필요로 한다. 오늘날 목회생태계가 어렵다는 상황은 오히려 교회개 척을 요구한다. 다만 교회개척을 접근하는 패러다임이 전화되어야 한다. 새로 운 선교적 상황은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교회개척은, 건 물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성장과 부흥에서 신앙공동체형성으로, 교회 중심 사역에서 지역 사회 중심 사역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준비함으로, 재정자립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강구하는 교회개척이어야 한다. Many people say that the church in Korea is facing difficult realities: church planting is no longer successful, and it is no longer an era of church planting. However, it is the right time for church planting, and church planting is the only alternative to regenerate the Korean church from the downward slope. Of course, church planting in Korea is not easy work. Many pastors are suddenly driven into planting churches without any preparation. When planting a church, they should take full responsibility for the entire process. As a result, church planters are soon overwhelmed by a sense of defeat, whether it be conscious or subconscious. However, despite these realities, church planting should be continued. The low rate of evangelization and the difficult pastoral situation in Korea requires church planting. A new paradigm is needed in order for there to be a new era because new missional situations require new ways of access. Today’s church planting should be people-centered rather than building-centered, faith community-centered instead of numerical growth-centered, and outreach-centered rather than inward activities-centered. Finally, church planting should have a focus on predicting the future and responding to it, as well as developing a realistic plan of financial independence.

      • 복음 전도에 관한 존 칼빈의 신학과 프락시스

        양현표 신학지남사 2023 신학지남 Vol.90 No.3

        본 논문은 종교개혁가 칼빈이 복음 전도에 대한 강력한 열정과 신학과 실천이 있었던 신학자요 전도자였음을 논증하는 논문이다. 흔히 비평가들은 칼빈에게 복음 전도에 관한 신학이나 실천이 있었는가를 질문한다. 이러한 비판적 질문은 가톨릭 교회사가들로부터 시작되었고, 이러한 견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개신교 선교학자들에게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비판은 최근의 연구를 통해 옳지 않음이 판명되고 있다. 칼빈에게 복음 전도 신학과 실천이 없다는 주장의 가장 큰 근거는 칼빈의 예정론에 대한 오해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옳다. 구원받을 자가 이미 결정되었다는 예정론은 복음 전도의 무용론을 주장한다는 오해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예정론은 복음 전도의 무용론을 조장하기보다는 오히려 복음 전도를 위한 가장 강력한 추진력이 된다는 것을 논증한다. 물론 칼빈 당시 가톨릭의 해외 복음 전도 활동과 비교하면 칼빈의 해외 선교가 미약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상황적 이유들이었을 뿐이지 칼빈에게 복음 전도의 신학과 열정과 실천이 없었다는 근거로 사용되지는 못한다. 칼빈의 해외 선교가 왕성할 수 없었던 상황적 이유로, 첫째 당시 개신교 교회는 외부 전도보다는 자체 생존이 더 급한 시기였으며, 둘째 당시 해상권을 가톨릭 국가인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장악하고 있었다는 것이며, 셋째 당시 선교 기관 역할을 감당했던 가톨릭의 수도원 같은 기관이나 종단이 개신교에는 아직 없었다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각 나라의 군주(제왕)가 택한 종교를 개인이 따라야 한다는 1555년 체결된 아우스부르크 화의 등이었다. 복음 전도 실천에 대한 이러한 상황적 장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칼빈의 복음 전도 신학은 그의 여러 주석, 저술, 편지 그리고 『기독교 강요』에 충분히 담겨 있으며, 복음 전도 프락시스 또한 여러 방면에서 드러난다. 그의 종교개혁 자체가 복음 전도 행위였으며, 그의 평생에 걸친 제네바 사역, 비록 미완의 시도였지만 브라질에 목회자를 파송한 점, 그의 조국 프랑스에 대단위의 목회자를 파송한 사실, 그리고 그의 방대한 출판 및 문서 선교 활동 등에서 칼빈의 복음 전도 프락시스를 충분히 찾아볼 수 있다. 칼빈은 단지 사상가나 신학적 사변가로만 살지 않은 행동가였다. 그는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애썼던 복음 전도 신학자요 전도자였다. This study argues that the reformer John Calvin was a theologian as well as an evangelist; indeed, he had a strong passion for, theology of, and practice in evangelism. Critics often question whether Calvin had a theology or practice of evangelism. This view was initially put forth by Catholic historians and was uncritically accepted by Protestant missiologists. However, recent studies show that these critiques are mistaken. The basis for the argument that Calvin had no theology or practice of evangelism comes from a misunderstanding of his doctrine of predestination. The misunderstanding comes from a caricatured view of predestination that implies a futility of evangelism. However, this article argues that Calvin’s doctrine of predestination was in fact a most powerful driving force for promoting evangelism. While it is true that Calvin’s overseas evangelistic activities were weak compared to those of the Catholics, the reason for this is circumstantial and not rooted in theology or praxis. Some of these circumstances include: 1) the strategic urgency of the survival of the Protestant church as compared to overseas mission activities; 2) the Catholic dominance of maritime power, specifically via Spain and Portugal; 3) the lack of missionary institutions in the Protestant movement at the time that paralleled Catholic monasteries and orders; and 4) the 1555 “Peace of Augsburg,” which stipulated that the polity must follow the religion set by the king, from which Calvinism was precluded. Despite these obstacles, Calvin’s evangelistic theology and praxis is developed and strong. His theology of evangelism is contained in his commentaries, writings, and letters, especially in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His praxis around evangelism is evident in his missionary activities such as: 1) his devotion to the Reformation itself; 2) his lifelong ministry in Geneva; 3) his sending of pastors to Brazil, albeit incomplete; 4) his sending of pastors to France, his own country; and 5) his aforementioned publications. As such, John Calvin was not merely a thinker who speculated on theology, but an activist who contended to spread the gospel.

      • KCI등재

        팀 켈러의 목회론 : 『팀 켈러의 센터처치』를 중심으로

        양현표(Hyun Phyo Y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본 연구는 뉴욕의 리디머 장로교회의 설립자요 오랫동안 담임목사로 사역했으며, 현재는 “리디머시티투시티”(Redeemer City to City) 운동에 전념하고 있는 팀 켈러 목사의 목회론을 주제로 한다. 본 연구는 『팀 켈러의 센터처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의 다양한 저술 그리고 그가 주관한 다양한 세미나에서 사용된 자료들을 기초로 하였다. 켈러의 목회론은 크게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복음”, “도시(문화)”, “사역(교회개척)”이다. 이러한 세 개의 축 아래서 다음 몇 가지의 목회론적 주제들을 연구자는 찾을 수 있었다. ①복음 중심의 목회론, ②도시 중심의 목회론, ③문화(상황화) 중심의 목회론, ④사회정의(구제) 중심의 목회론, 그리고 ⑤교회개척 중심의 목회론 등이다. 물론 이 밖에도 가정 중심의 목회론, 일터 중심의 목회론, 기도 중심의 목회론, 변증 중심의 목회론, 선교적 교회 목회론 등을 그의 목회론 등도 발견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다섯 가지만을 켈러의 핵심 목회론으로 간주하였다. 켈러의 목회론을 평가하자면, 첫째, 켈러의 목회론은 복음에 대한 분명한 인식 위에 구축되었으며, 둘째, 개혁주의 신학 위에서 포용적이요 융통성 있게 구축되었고, 셋째, 탁상공론이 아닌 목회 현장 위에서 구축되었고, 넷째, 지성을 기초로 하여 변증적으로 구축되었다고 하겠다. 하지만 그의 목회론에도 조그마한 약점이 있는바, 그의 목회론이 인간의 판단을 지나치게 신뢰하는 이상주의적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켈러의 목회론을 한국교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인가의 과제가 남는다. 켈러의 목회론은 품질이 뛰어난 씨이다. 그런데 아무리 고품질의 씨앗이라고 하더라도 토양이 그 씨앗을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열매를 맺을 수 없다. 켈러의 목회론이란 씨앗은 미국 뉴욕이라는 토양에서 개발되었고 그 토양에서 발화되어 열매를 맺었다. 과연 그 씨앗이 대한민국이란 토양에서 발화하고 열매를 맺게 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것이 오늘 팀 켈러를 공부하는 우리의 과제라고 믿는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astoral theology of Rev. Tim Keller, the founder and senior pastor of Redeemer Presbyterian Church in New York, who is currently focusing on the “Redeemer City to City” movement. This study was based on Tim Keller s Center Church, his various other writings, and seminars he has hosted. Keller s theory of pastoral ministry consists of three main pillars. They are “Gospel”, “City (Culture)”, and “Ministry (Church planting)”. This writer was able to find the following pastoral ministry themes based on these three pillars. ① Gospel-centered, ② City-centered, ③ Culture/contextualization-centered, ④ Social justice/mercy-centered, and ⑤Church planting-centered. In addition to these, other themes such as family-centered, vocation-centered, prayer-centered, apologetics-centered, and missional church-centered. In this study, however, only the earlier five major themes are considered as comprising Keller s core pastoral theology. In evaluating Keller’s pastoral theology, this study finds the following: first, it is built o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gospel; second, it is inclusive, flexible, and coherent with Reformed theology; third, it is based on pastoral experience, as opposed to mere theory; fourth, it is committed to apologetics based on rationality. However, there is a small weakness as well: an idealistic tendency to trust too readily in human judgment. There is relevance to Keller’s pastoral theology on the Korean church. While Keller’s pastoral theology is a high quality seed, it cannot bear fruit if the soil is not ready to receive them. Keller developed his theology in the soil of New York, NY, USA, where it bore fruit. What clues are there for us to bear fruit in the soil of Korea? This is the task of our study of Tim Keller today.

      • 김익두 목사의 부흥회와 그 특성

        양현표(Yang, Peter Hyunphyo) 신학지남사 2015 신학지남 Vol.82 No.1

        This article is focused on Pastor Ik Doo Kim"s 776 revival meetings and the reasons for their effectiveness. Two hallmarks characterized these revival meetings. First, they drew huge crowds, despite a poor infrastructure for transportation and public communication. Second, there was an emphasis o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hich led to repentance and healing. In addition, Pastor Kim"s revival meetings contained two characteristics that led to its success: his sermons and his healing ministry. His preaching captivated his audience because he understood his audience’s context and had an ability to apply his sermons appropriately. This understanding led to several characteristics familiar in his sermons: 1) language familiar to the working class or the market place; 2) biblically sound and practically applicable points; 3) use of audiovisual and other engaging elements; 4) thorough spiritual preparation. His healing ministry also had several characteristics: 1) a three-stage progressive development of healing ministry; 2) orthodox and consistent theology; 3) immediate testimonies of any healing that occurred; 4) bold steadfastness in the face of fierce criticism and opposition; 5) true and genuine results of healing. Both contemporary and present day critics have criticized Pastor Kim. In particular, some present day church historians claim that Pastor Kim was instrumental in forming the foundation of the present day Korean church, which has often been though to be unrealistic and overly focused on success and prosperity. Despite such criticism, it is clear that God called Pastor Kim, empowered him, and used him for the birth of the Korean church during a crucial era.

      • 모라비안 교회의 선교와 그 전략

        양현표(Hyunphyo Yang) 신학지남사 2018 신학지남 Vol.85 No.3

        The “Moravian Church,” which is one of the German pietism in the eighteenth century, is one of the founders who settled the mission of the church in Protestantism. At that time, the Lutheran church, which was a German state church, was only focusing on the meaningless doctrinal controversy and hardly stressed responsibility for mission. In this situation, the Moravian church, which has invested all passion, resources and manpower in world mission, was a very unique church. Until the birth of the Moravian Church, there was a person’s dedication and effort called Nicholas Ludwig von Zinzendorf. The Moravian church began by his meeting with a group of refugees who had fled to Herrnhut for religious reasons. The theology and thought of Zinzendorf was influenced by German pietism at the time and formed at the Halle University, which was called the cradle of pietism. His important theology is the top priority of the preaching the gospel, a crucial role of the Holy Spirit in preaching the gospel, and the importance of training the missionaries. These theologie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mission strategy of the Moravians. Their mission strategy was ① to establish indigenous churches, ② to preach only Jesus Christ, ③ to recogniz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first fruits”, ④ no fruit, no more work, ⑤ self-support, ⑥ the principle of non-interference with sensitive issues, and ⑧ music. The Moravian church’s passion for mission, its philosophy of mission, and its actual ministry of ministry give great lessons to the overly complex and thoughtful mission strategies of today’s churches.

      • KCI등재

        온라인 비대면 예배 수용 여부에 관한 실천신학 관점의 연구 : 온라인 비대면 예배는 정당한가?

        양현표 ( Yang Hyunphyo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1 No.-

        온라인 비대면 예배의 정당성을 두고 논쟁이 격렬하다. 정당하다는 진영과 부당하다는 진영은 각자의 근거와 논리를 갖고 있다. 온라인 비대면 예배에 관하여 가장 먼저 고려할 사항은 예배의 본질이 온라인 비대면 예배에 살아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중요한 사실은 예배의 본질은 예배의 형식과는 관련이 없다는 점이다. 수가성 여인과 예수님의 대화에서 예배의 본질이 형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영과 진리로 드리는 예배의 대상, 즉 하나님을 향하는 데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질과 형식은 서로 구별하여 뗄 수 없다. 온라인 비대면 예배라는 형식만으로는 예배의 본질을 충분히 담지 못할 것이다. 교회는 가족 공동체, 식탁 공동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시에 교회가 이 시대의 변화된 상황을 수용하지 못하고 예배당 대면 예배라는 형식만을 고집한다면 교회는 도태되고 말 것이다. 온라인을 통해서 오프라인으로 이끌고, 오프라인은 다시 온라인으로 확장되는 선순환의 고리를 형성해야 한다. 온라인 교회가 오프라인 교회를 결코 대체할 수 없다. 그렇다 하여 지금의 상황에서 오프라인 대면 예배만을 고집할 수 없다. 결국엔 대면에 기초한 비대면 예배의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가능한 대면 예배를 더욱 공고히 하면서 비대면 예배 형식을 활용해야 한다. There is a serious debate over the legitimacy of online virtual worship. Both camps have their own rationale and logic. In considering these two views, one important question must be considered: is the essence of worship to God present and robust in online virtual worship services? Importantly, the essence of worship has very little to do with the form of worship. In Jesus’ conversation with the Samaritan woman in Sychar, Jesus makes clear that the essence of worship is not in its form but rather in the object of the worship (towards the one true God) and the manner of worship (in spirit and in truth). Still,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mode of worship from its essence. Indeed, form and function are inseparable. Given thi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form of online virtual worship services is not sufficient to capture the essence of worship because the church is, by nature, a communed community, centered around table fellowship. However, if churches fail to accommodate the changing context of this age and insist on a form of worship that is exclusive to gathering physically together, the church will decline. Thus, it is necessary for churches to form cycles that integrate and feed both virtual and physical modes of worship. To insist on exclusive models of one or the other will not be sustainable. Ultimately, this article argues that churches should work to usher in an era of virtual worship based on, and growing out of, physical worship. Virtual modes of worship should be utilized while strengthening and investing in physical modes of worship where was permitted and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