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구를 위한 설문조사인가?

        양은별(Eun Byeor Yang),정익중(Ick Joong Ch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3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3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서비스 중 하나인 그룹홈에 거주하는 청소년이 설문지 작성주체로서 설문조사 경험이 어떠한지 탐색하기 위해, 현재 서울과 경기도의 그룹홈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들 중 설문조사를 5회 이상 경험한 남녀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는 그룹홈청소년의 설문조사를 좌충우돌하며 성장해가는 청소년기에 우왕좌왕 그리고 갈팡질팡하는 다양한 경험을 포괄하는 특별한 사건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그룹홈청소년의 설문조사 경험을 ‘거인이 만들고 꼬마가 하는 설문조사’, ‘병 주고 약 주는 설문지’, ‘차갑기도 따뜻하기도 한 연구자’ 등으로 구분한 후 이를 다시 하위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들의 그룹홈청소년을 포함한 시설청소년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과 인식에 변화가 필요함을 제기하고 더 효과적인 설문조사를 위해 조사의 형식과 질문 내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설문지 작성주체인 그룹홈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을 원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urvey experiences of group-home adolescents and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as respondents. This study applied a qualitative study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sample of seven adolesc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t least 5 times and who are currently living in group-homes.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survey experiences as special events that encompass diverse experiences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Survey experiences of group-home adolescents consisted of ‘Mr. Giant makes the survey but a kid responds’, ‘The survey that gives the disease and offers the remedy’, and ‘A warm and cold researcher’.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include the need to improve contents of questionnaires and form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survey and to put greater effort into changing the biased perceptions and negative stereotypes of group-home adolescents.

      •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성역할고정관념이 낙인을 매개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양은별(Eun Byeor Yang),진미선(Mi Seon Jin),오수경(Su Kyung Oh),박시하(Si Ha Park),정익중(Ick Joong Chung) 한국아동학회 2014 아동학회지 Vol.3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stereotypes and delinquency, and determine if it is mediated by stigma. The data was taken from the fourth wave of the 2010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which was administer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x role stereotypes were found to increase stigma and delinquenc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stereotypes and delinquency is mediated by stigma. Thir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mediating models. As for the female participants, stigma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stereotyping and delinquency. In contrast, for the male participants, the mediating effect of stigma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delinquency prevention programs need improvement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 and sex role stereotypes.

      • KCI등재

        컴퓨터 사용이 청소년의 낙인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 차이

        양은별 ( Eun Byeor Yang ),오수경 ( Su Kyung Oh ),정익중 ( Ick Joong Ch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이 낙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영향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컴퓨터 사용은 사용시간과 사용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사용유형은 오락형, 정보형 및 관계형으로 구분하고, 낙인은 자기낙인과 타인낙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학교 2학년 패널의 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사용시간과 사용유형에 따라 청소년의 낙인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다. 컴퓨터 사용시간과 오락형은 낙인을 증가시키고, 정보형은 낙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낙인을 자기낙인과 타인낙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사용시간과 오락형 및 정보형은 타인낙인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관계형은 자기낙인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이 낙인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컴퓨터 사용시간은 남자청소년의 낙인에, 오락형은 여자청소년의 낙인에 더 정적(+)인 영향을, 정보형은 여자청소년의 낙인에 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계형은 여자청소년의 낙인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바람직한 컴퓨터 사용에 대해 제언하고,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개입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dolescents’ computer use on their perceptions of stigma and gender differences. We categorized behavior of computer use into three types; entertainment, information, and relationship, together with considering the time of daily computer use. Stigma, in addition, was classified into self-stigma and stigma by others. For this purpose,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fourth wave of 2010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which was administer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act of the time of computer use and computer use type on perception of stigma. The time of computer use and entertaining type increase perceptions of stigma, on the contrast, information type decreases stigma. Second, the time of computer use, entertaining and information type increase adolescents’ perception of stigma by others rather than self-stigma, whereas relationship type increases adolescents’ self-stigma only. Third, it shows that gender differences exist where computer use has influences on stigma. While the time of computer use has more positive impact on stigma of boy’s stigma, entertaining type has more positive effect on girl’s perception of stigma. Also, information type has more negative effect on girls than boys but relationship type has positive impact on girl’s self-stigma only. Based on these findings, we need to put greater effort into changing adolescents’ computer use and offer the differentiated intervention according to gender.

      • KCI등재

        공부를 잘하는 시설보호아동의 생활경험

        정익중(Ick Joong Chung),김서현(Seo Hyun Kim),양은별(Eun Byeor Ya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0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이 삶에 무기력하고 열등한 존재라는 사회적 편견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학업적 측면에서 두각을 보이는 시설보호아동의 생활경험을 아동양육시설과 학교 내 생활을 통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7명의 시설보호아동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의 질적 연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의 생활경험은 ‘열등’과 ‘우월’, ‘타율’과 ‘자율’, ‘이질’과 ‘동질’, ‘부담’과 ‘혜택’, ‘굴레’와 ‘자유’, ‘한계’와 ‘노력’이라는 경계에 대한 6개의 구성요소, 12개의 하위구성요소를 통해 드러났다. 즉, 연구참여자는 가정외보호를 받는 취약한 아동이기 때문에 사회의 중심부에 속하지 못하고 사회적 편견을 인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들은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을 두려워하지만은 않았으며, 자신에 대한 혜택과 배려를 자립 준비와 미래 성장을 위해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부를 잘하는 아동뿐만이 아니라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는 아동전체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하여 아동복지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ejudicial view that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are lethargic and inferior beings, and aims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who show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sample of seven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and applied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qualitative research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ences of the children consisted of ‘inferiority’ and ‘superiority’; ‘other-directedness’ and ‘self-determinism’;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burden’ and ‘benefit’; ‘restraint’ and ‘freedom’; and ‘limitation’ and ‘endeavor’. The study participants who are vulnerable because they receive residential care reported a feeling of not belonging to the center of the society and an awareness of the social stereotypes about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However, they were not afraid of society’s negative perceptions and took advantage of the benefits and cares they received to enhance their prospect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more effort is required to offer individualized and differentiated child welfare services, not only to academically successful children but also to all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