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Relationship among Receptive Vocabulary, Non-word Repetition, and Quick Incidental Learning in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양윤희(Yoonhee Yang),임동선(Dongsun Yim),김신영(Shinyoung Kim),한지윤(Jiyun Ha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 전 어휘발달지체 및 일반아동의 비단어 따라 말하기, 빠른 우연학습 능력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각 변인간 상관관계 및 이미 습득한 수용어휘능력을 가장 잘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방법: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2-6세 어휘발달지체 및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비단어 따라 말하기 및 빠른 우연학습 과제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처리는 이원분산분석, 공변량분석,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빠른 우연학습 과제를 통한 새 단어 학습 능력과 비단어 따라 말하기를 통한 음운 단기기억 능력은 모두 어휘발달지체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어휘발달지체아동 집단에서는 수용어휘와 비단어 따라 말하기가,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수용어휘와 비단어 따라 말하기, 빠른 우연학습이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빠른 우연학습이 가장 큰 예측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어휘발달지체아동 집단에서는 비단어 따라 말하기가 가장 잘 예측해 줄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학령 전의 어린 연령에서는 어휘학습 시 암묵적 학습능력이 매우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어휘발달지체 아동의 경우 이러한 암묵적 학습능력이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오직 음운기억에만 의존하여 어휘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휘발달지체 아동의 경우 어휘학습에서의 비효율성을 시사하며, 이들 아동에게서 암묵적 학습 능력을 이끌어 내면 좀 더 효율적인 어휘학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NL) and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VD) show difference in performance on non-word repetition and quick incidental learning (QUIL), whether these factors correlate with one another, and whether these factors could predict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Methods: The study included children between 2 to 6 years of age, 19 NL and 19 VD. The experiments consisted of two tasks: non-word repetition to measure phonological memory, and QUIL to measure vocabulary learning ability. We compared group performances on each task. We also investigated correlations among factors and predictor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all two tasks showing that children with VD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children with NL. In the VD group, receptive vocabulary correlated only with the non-word repetition task, whereas receptive vocabulary correlated with both non-word repetition and QUIL tasks in the NL group. The strongest factor which predicted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was QUIL in NL group, whereas non-word repetition predicted VD group’s receptive vocabulary the most.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implicit learning ability could be the important factor only in young NL group when they learn receptive vocabularies. On the other hand,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promotes receptive vocabulary learning in VD group. It indicates that children with VD inefficiently learn vocabularies compared to NL children, and if children with VD could facilitate implicit learning ability, it could result in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 KCI등재

        The Phonological Similarity Pattern of Words Contributing to Expressive Vocabulary in 18- to 36-Month-Old Toddlers

        Yoonhee Yang(양윤희),Suyeon Park(박수연),Ye Eun Hong(홍예은),Suyeon Lee(이수연),Dongsun Yim(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 검사인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K M-B CDI)’를 사용하여 18-36개월 유아가 지닌 어휘를 통해 단어의 음운유사도 양상을 확인하고, 전반적인 표현어휘력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음운유사도 유형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1에서는 약 8개월간의 시간 차를 두고 음운유사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18-36개월의 총 18명의 유아들이 T1, T2에 각각 참여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일반아동과 말늦은 아동 집단 각각에서 음운유사도가 표현어휘력을 얼마나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고, 18-36개월의 총 151명 유아들이 참여하였다. 음운유사도 점수는 두 단어 간 음운론적 공유 비율에 따라 P1 (66%), P2 (75%), P3 (80%)으로 나누었다. 결과: 연구 1에서는 18-36개월 유아의 급격한 표현어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단어 간 음소 공유가 상대적으로 적은 P1이 일관적으로 가장 좋은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 TD 집단의 표현어휘력은 P1, P3, P2 순으로 모두 유의한 설명력을 지녔으며, LT 집단의 표현어휘력은 P1이 유의한 설명요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적어도 만 3세까지는, 공유하는 음소가 더 적을 때 각 단어가 더 쉽게 구별되기 때문에 어휘를 산출할 때는 음운유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조건이 더욱 기여도가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a standardized parent-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for analyzing the vocabulary development phonological similarity pattern of 18- to 36-month-old toddler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phonological similarity explains the expressive vocabulary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s in Experiment 1 and the group characteristics in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a total of 18 toddlers aged 18-36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Experiment 2, a total of 151 toddler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134, late talkers [LT]=17) participated. Phonological similarity scores were calculated depending on the similarity rate between two words. Phonological similarity was divided into three conditions and defined as P1 (66%), P2 (75%), and P3 (80%). We obtained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and phonological similarity through the K M-B CDI. Results: In Experiment 1, P1, which shares relatively fewer phonemes between words, seems to be the best predictor of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consistently. In Experiment 2, all the phonological similarity conditions explained the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in the TD group, but P1 was a significant explaining factor for expressive vocabulary in LT group. Conclusion: Although expressive vocabulary increased sharply, P1, which shares relatively fewer phonemes between words, consistently appeare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At least until the age of three, words with low phonological similarity are more easily distinguished, and this ability also seems to contribute to expressive vocabulary.

      • KCI등재

        한국 단일문화 및 다문화 아동의 정서행동 특성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보고와 언어능력의 관계

        양윤희(Yoonhee Ya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및 또래 일반아동의 정서행동 특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보고가 일치하는지, 다문화 및 단일문화 아동 집단에서 부모와 교사의 보고 중 어떤 정서행동 특성이 언어능력을 잘 설명하는지, 궁극적으로는 다문화 일반 아동 집단의 잔존하는 언어능력을 설명해주는 보호요인으로 정서행동 특성 중 강점(사회지향행동)이 언어능력을 유의하게 설명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아동은 만 4-6세의 한국 단일문화 아동 18명과 다문화 아동 32명, 총 50명의 아동과 그들의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정서행동 특성은 한국어판 강점 난점 설문지를 사용하여 강점인 사회지향행동, 난점인 과잉행동, 정서증상, 행동문제, 또래문제를 측정하였다. 결과: 다문화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경우 교사보다 부모가 아동의 난점을 더 높게 인식한 것을 제외하고, 각 집단 아동의 정서행동 특성에 대한 부모-교사의 보고는 일치하였다. 한국 단일문화 아동 집단은 교사의 또래문제 보고가 표현언어를 유의하게 설명해준 반면, 다문화 아동 집단은 부모의 과잉행동 보고가 수용언어를 유의하게 설명하여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일반 아동 집단의 경우 부모의 사회지향행동 보고가 수용언어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 아동 집단은 부모의 보고가 수용언어능력을 유의하게 설명하여 다문화 아동 집단에게서 부모보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특히, 다문화 아동 중 정상적 언어발달을 경험하는 집단의 경우 부모가 보고한 아동의 사회지향행동의 발현이 언어능력에 유의한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arents and teachers’ reports on emotion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Korean mono-cultural and culturally diverse children are consistent. We tried to identify whether the strength (prosocial behavior) of emotional behavior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explains their language ability as a protective factor explaining the language ability of culturally diverse-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TD). Methods: Participants were 18 Korean mono-cultural children (TD 11, LD 7) and 32 culturally diverse children (TD 16, LD 16) aged 4 to 6 years old,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Emotional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trength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Kr), which included the strength of pro-social behavior, and difficulties of hyperactivity, emotional symptoms, behavioral problems, and peer problems. Results: Parent-teacher reports on the emotional behavior of each group of children were consistent, with the exception that parents perceived their children’s difficulties higher than teachers in culturally diverse-language delay (D-LD) children. In the Korean mono-cultural children group, the teachers’ peer problem report explained the expressive language significantly; whereas in the culturally diverse children group, the parent’s hyperactivity report significantly explained the receptive language. In D-TD group, parent’s report of prosocial behavior explained receptive language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importance of parent reports was more significant in culturally diverse children as the parent’s report significantly explained the receptive languag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D-TD group who had normal language 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reported by parents coul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language ability.

      • SCOPUS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수용 및 표현어휘 간 초기 어휘습득 차이에 대한 메타분석

        양윤희(Yoonhee Ya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인공와우이식(Cochlear implants, CI) 및 건청(Normal hearing, NH) 아동 집단의 초기 어휘습득의 차이가 유의한지, CI 아동 집단 내에서는 착용기간(12개월 미만, 12개월 이상)에 따른 초기 어휘습득의 차이가 유의한지, 그리고 차이가 유의하다면 CI 아동의 청각이력인 ‘인공와우 이식 연령’이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3가지 데이터베이스(Academic Search Complete, PubMed, Google scholar)를 통해 약 15년(2007-2022)간 출판된 논문 중 선정 기준 및 제외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9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결과: CI 아동 및 NH 아동은 MB-CDI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로 측정한 수용어휘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표현어휘능력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CI 아동 집단 내에서는 인공와우 착용기간(12개월 미만, 12개월 이상)에 따라 표현어휘능력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생활연령이 만 2-3세의 아주 어린 연령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MB-CDI로 측정한 표현어휘능력이 또래 건청 아동과 비교했을 때 제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생후 약 1년 뒤 인공와우 이식을 받은 CI 아동들은 만 1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인공와우 활성화 기간에도 불구하고 어휘습득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arly vocabulary acquisition between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s (CI) and toddlers with normal hearing (NH) ,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arly vocabulary acquisition according to CI activation period (<12 months vs. ≥12 months) within CI group. In areas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ignificant, w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the ‘age at implantation’ of the CI group played a role as a moderator. Methods: Nine papers were selected by applying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mong papers published for about 15 years (2007-2022) and found through searching three databases (Academic Search Complete, PubMed, Google Scholar).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eptive vocabulary measured by the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MB-CDI) in CI and NH childre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ve vocabulary. In addition, within the CI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ve vocabulary according to CI activation period (<12 months vs. ≥12 month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xpressive vocabulary measured by the MB-CDI may be limited in very young children with CI when compared to their NH peers. In addition, children with CI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expressive vocabulary acquisition despite a relatively short CI activation period of about a year.

      • KCI등재

        The Implementation of Inherent Strategies on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 SNARC Effect and Chunking Effect

        양윤희(Yoonhee Yang),문주희(Juhee Mun),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1

        배경 및 목적: SNARC 효과는 심적 수평선(mental number line)에 기반한 수-공간 연합이 발생하여 작은 숫자일수록 왼쪽에서, 큰 숫자일수록 오른쪽에서 수행력이 좋아지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수-공간 연합 능력과 덩이짓기 능력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고, 언어능력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의 일반아동 21명, 언어발달지연 아동 15명, 총 3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SNARC 효과를 밝혀내고자 시각적 숫자 찾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언어 및 비언어적 덩이짓기 능력을 측정하고자 단어목록회상 과제와 대칭-비대칭 매트릭스 과제를 실시하였다. 시각적 숫자 찾기 과제는 E-Prime software를 통해 정확도(%)와 반응시간(ms)을 측정하였다. 결과: 두 집단 모두에게서 SNARC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표현언어능력에 대해 반응속도 측면에서의 SNARC 효과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한편, 수용언어능력에 대해서 일반아동 집단의 경우 비언어적 덩이짓기 능력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지녔으나,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예측인자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두 집단 모두 내재된 정보처리 전략으로써 수-공간 연합능력을 지녔으며 표현언어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해주었다. 그러나 수용언어능력의 경우, 일반아동 집단만 덩이짓기(비언어적) 능력이 유의한 예측인자로 나타나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언어능력 증진을 위해 수-공간 연합 능력뿐만 아니라 덩이짓기 능력 또한 일관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면 언어능력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spatial-numerical association and chunking ability among 21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nd, 15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L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the SNARC effect exists in the LD group. Methods: This study assumed that there was a mental number line where numbers are sequentially recognized from left to right. In other words, smaller numbers would be induced faster on the left side, and larger numbers would be induced faster on the right side (Gevers et al., 2010). The study included a visual number search (VNS) for verifying the SNARC effect, and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chunking tasks (word list recall, symmetric-asymmetric matrix) for identifying the chunking effect. Results: The SNARC effect was confirmed in both TD and LD children. The SNARC effect also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in expressive language ability. However, in the LD group, neither the SNARC nor chunking effect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receptive language ability. Conclusion: Both groups showed SNARC effects in terms of response time, and there was an inherent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y, which significantly predicted expressive language ability. If LD children were able to consistently demonstrate not only spatial-numerical association but also chunking ability; these could be more useful inherent strategies to facilitate efficient language skills.

      • KCI등재

        The Relationship of Nonlinguistic Visual Processing Capacity, Speed, and Vocabulary Ability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Dongsun Yim(임동선),Yoonhee Yang(양윤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선행 언어지식과 능력이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비언어 정보 처리과제 수행을 통하여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언어능력 결핍을 일반인지처리 이론으로 설명하고 비언어 처리용량 및 처리속도, 그리고 어휘력의 관계가 단순언어장애 및 일반아동들에게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4-8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32명, 그리고 이들의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또래 일반아동 32명, 총 6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동들의 비언어 정보 처리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시공간적 작업기억 과제인 매트릭스(matrix), 비언어 처리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각적 숫자찾기 과제(visual number search)를 실시하였다.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또래 일반아동에 비해 비언어 정보 처리용량 과제인 매트릭스 수행에서 정순 과제(Matrix_f)에서는 부족하지 않았으나, 역순 과제(Matrix_b)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어휘능력과 비언어 정보 처리(Matrix_b, VNS_C1C4_ACC)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에서는 어휘능력과 비언어 정보 처리능력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비언어 정보 처리능력과 어휘능력의 관계가 유의하였으나, 단순언어장애 아동에게서는 비언어 정보 처리능력과 어휘능력 간 관계가 견고하지 않아 이들의 비언어 정보 처리능력 또한 언어능력 증진을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show their deficits when performing nonlinguistic processing tasks,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of non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ing tasks (processing capacity/speed) and language (receptive/expressive vocabulary) differ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impairment. Methods: Sixty-four children (SLI=32, NL=32) aged 4-8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matrix forward (Matrix_f) and backward (Matrix_b) for examining nonlinguistic processing capacity, and a visual number search to examine nonlinguistic processing speed. Results: SLI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Matrix_b, VNS_ Acc(C5), and slower in VNS_RT(C1) expect for Matrix_f.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non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ing (Matrix_b, VNS_C1C4_Acc) in N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SLI group. Conclusion: Children with SLI store and retrieve visual information sequentially similarly to their NL peers, but they have difficulty remembering the information in revers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linguistic processing ability and vocabulary was not significant in SLI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 with SLI need various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visual processing capacity and speed because of a weak connection between processing and vocabulary.

      • KCI등재

        통계적 학습 능력은 증진될 수 있는가?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통계적 학습 능력 향상 탐색

        임동선(Dongsun Yima),양윤희(Yoonhee Y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3

        배경 및 목적: 언어습득에 통계적 학습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면, 통계적 학습 능력을 높여서 아동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어휘발달지연이 있는 아동과 일반 아동들이 시각적 또는 청각적 영역에서의 암묵적 조건(implicit), 암묵적 조건이면서 노출을 2배한 조건(implicit*2), 명시적 조건(explicit)으로 나누어진 통계적 학습 과제 수행의 향상에서 차이를 보이는 지, 통계적 학습 능력은 어휘 능력 및 빠른우연학습(Quick incidental learning, QUIL)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3-8세의 어휘발달지연 아동(N=34)과 일반 아동(N= 98), 총 132명의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 아동들은 세 가지 노출조건으로 구성된 통계적 학습 과제와 새로운 어휘 학습 능력을 측정하는 빠른우연학습(QUIL) 과제를 수행하였다. 결과: 청각 통계적 학습 과제의 명시적 조건에서 어휘발달지연 아동 집단의 점수는 일반 아동 집단보다 현저히 낮았고, 일반 아동 집단에서만 빠른우연학습(QUIL)과 청각 통계적 학습의 암묵적 조건이면서 노출을 2배한 조건(implicit*2) 간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일반 아동집단은 학습에 대한 명시적 단서를 청각적으로 유익하게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었고, 청각 통계적 학습 능력은 어휘 능력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현재의 연구는 어휘발달지연 아동 집단이 청각적 노출을 두 배로 늘렸을 때 통계적 학습 능력을 높일 수 있다는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Objectives: If statistical learning ability is critical for language acquis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enhancing statistical learning ability can improve the children’s language skill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 with and without vocabulary delay (VD) show a difference in improving statistical learning (SL) tasks manipulated with implicit, implicit*2 and explicit conditions, and with visual and auditory domains; and also explores the relationship among SL, vocabulary, and quick incidental learning (QUIL). Methods: A total of 132 children between 3 to 8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ing vocabulary delayed children (N= 34)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N = 98). Participants completed SL tasks which were composed of three exposure conditions, and Quick incidental learning (QUIL) tasks to tap the novel word learning ability. Results: The VD group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D group in the explicit condition of the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task,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QUIL and SL_auditory (implicit*2) only in the TD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explain that the TD group was ready to accept the explicit cues for learning as a domain-specific (auditory) benefit, and their auditory SL ability can be closely linked to vocabulary abilities. The current study suggests one possibility; that the VD group can increase the statistical learning ability through double auditory exposures. The novel quick incidental learning in the TD group was supported by the statistical learning, but this was not seen in the VD group.

      • SCOPUS

        읽기 조건에 따른 학령 초기 일반 아동과 언어발달장애 아동의 이야기 이해 수행력 및 안구 움직임 패턴 간 관계 분석

        박원정(Wonjeong Park),양윤희(Yoonhee Yang),정은애(Eunae Jeong),김아영(Ayoung Kim),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읽기 조건에 따라 일반 아동 집단과 언어발달장애 아동 집단에서 이야기 이해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각 집단에서 이야기 이해 수행력과 안구 움직임 패턴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2학년의 아동 21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일반 아동 183명, 언어발달장애 아동 30명). 읽기 조건(듣기+읽기 조건, 읽기 단독 조건)에 따라 전체 아동은 무선 배치되어 읽기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시선추적기를 통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다. 읽기 과제 종료 후 아동의 이야기 이해 수행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집단 간 읽기 조건에 따른 이야기 이해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읽기 조건에 따라 각 집단의 이야기 이해 수행력과 안구 움직임 패턴 간 상관관계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듣기+읽기 조건에서 언어발달장애 아동 집단의 읽기이해 점수는 시선경로길이(scanpath)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들의 더 나은 읽기이해를 위해 성인의 음성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며 능동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유익한 하나의 방안일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comprehens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n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LI) in early school age according to reading condition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eye movement patterns in each group. Methods: A total of 213 children (TD: 183; LI: 30)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ading conditions (reading while listening, reading only), all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perform text reading tasks, and real-tim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an attached eye-tracker.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y understanding according to reading conditions between group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 patterns between each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and eye movement patter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reading conditions. Conclusion: In the TD group this study found that the faster the processing speed, the higher the reading processing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in the LI group, the processing speed was generally slow due to their poor literacy or cognitive processing speed, therefor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ye movement patterns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 KCI등재

        18-36개월 말 늦은 아동과 생활연령 및 표현어휘능력이 일치하는 일반 아동의 초기 어휘발달의 차이

        임동선(Dongsun Yim),양윤희(Yoonhee Yang),최정원(Jeongwon Choi),한지아(Jia Han),채미선(Miseon Ch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18-36개월의 말 늦은 아동,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그리고 표현어휘를 일치시킨 일반아동의 초기 어휘발달의 양상과 두 단어 조합의 예측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5-36개월의 말 늦은 아동(LT) 43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AM) 847명, 그리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18-24개월의 일반 아동(VM) 161명, 총 1,051명의 아동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워드뱅크(wordbank.stanford.edu)를 통해 데이터를 얻어 분석하였다. 결과: 각 집단의 두 단어 조합 양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M 집단 내에서 두 단어 조합을 자주 산출하는 아동은 12.6%, LT 집단은 4.7%, VM 집단은 0.6%를 보였다. 두 단어 조합에 대해서는 AM 집단에서만 표현어휘, 수용어휘, 명사가 유의한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LT 집단은 더 어린 VM 집단보다 더 많은 두 단어 조합 산출을 보였으며, 이는 두 단어 조합에 대해 연령 효과를 무시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품사별 산출과 관련하여 명사 산출은 동사, 형용사에 비해 가장 높았고, 명사, 동사, 형용사에서 모두 AM 집단이 가장 높은 단어 산출을 보였다. LT, VM 집단의 두 단어 조합에 기여하는 요인은 불분명하나, AM 집단의 경우 표현어휘, 수용어휘, 명사 등이 유의한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nformation about two-word combinations of 18-36-month-old toddlers and identify predictors of the two-word combinations in 18-36- month-old late talkers, and age-matched, and expressive vocabulary-matched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Methods: A total of 1,051 toddl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ing 25-36-month-old late-talkers (LT) (N=43), typically developing age-matched (AM) toddlers (N=847), and typically developing expressive vocabulary-matched (VM) toddlers aged 18-24 months (N=161). The study examines the data collected from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K M-B CDI; Pae & Kwak, 2011). The dataset was obtained through the Wordbank website (wordbank.stanford.edu).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wo-word combination utterance for each group. The most frequently represented group of the two-word combinations was the AM group with 12.6%, followed by the LT group with 4.7%, and the VM group with 0.6%. The factor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wo-word combinations was consistently found to be receptive vocabulary in all groups. In addition, the receptive vocabulary factor showe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the two-word combinations only in the AM group. Conclusion: The LT group showed more two-word combinations yields than the younger VM group, suggesting that the age effect cannot be ignored for two-word combinations. Regarding the production of word classes, the percentage of noun production was the highest out of all the word classes, however the LT group’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M groups. In addition, the LT group lacked the proportion of adjectives compared with the VM group, which suggests that adjectives may be particularly difficult as they are used for describing abstract prop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