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 품질개선 향상을 위한 효과적 운영 방안 연구

        양애경(AeKyeong Yang),홍성용(SeongYong Hong),강순미(SoonMee K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의 실태를 진단하고 분석하여 품질개선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연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에 참여한 전 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 154명중 설문에 참여한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창의 인성교육 자율진단표를 참조하여 제작한 설문지로 4개 영역 총 21문항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에 대한 교원의 인식에 대한 분석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은 높게 인지하고 있으며, 창의 인성교육의 적용은 분기별 2-3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창의인성교육 현장포럼의 운영 실태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습문화 조성은 보통수준을 보이며 창조적 역량과 마인트컨트롤 등의 힐링, 전문가 강의 도움정도, 구체적 결과물만족도, 학생지도 도움정도는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의 학교 현장 실천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교사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주제로융합형교과지도 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의 품질 개선 향상을 위해서는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의 홍보를 강화하고 담당교사의 핵심역량 강화를 증진하는 것과 융합형 교과지도 활동을 주제로 하는 현장포럼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의 교사들에게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을 대외적으로 알리는 차별화된 홍보전략과 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effective operation plans for improving the quality improved diagnose and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natio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ctual condition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field forum. The subjects were enrolled in the 121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nationwide survey 154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ield forum. Inspection tools are examined in four regions a total of 21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prepared by referring to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self-diagnostics li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most of the respondents to the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about creativity and character are recognized higher education forum, apply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re 2-3 times was the highest quarterly. Secondly,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ield forum analyzes the operating status results learning culture is usually level creative capabilities seem to the mind control of such healing, expert lectures help much, specifically results satisfaction, student guidance assistance about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it showed. Thirdly, analysis of school practice field is also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al forum, teacher training subject to converged curriculum guidance activ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the highest. Fourthly, in order to quality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forum, that will strengthen the promo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al forum topic map a converged curriculum to promote activities that strengthen core competencies of teachers should be conducted on-site for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oposed urgen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ield forum externally differentiated strategies to inform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as substantial advantage in the field to teachers nationwide.

      • KCI등재

        21C 대학생역량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이명숙(Lee Myung Sook),양애경(Yang Aekye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21C 대학생역량 척도(21C College Student Competency Scale : 21CCSCS)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대학생역량에 포함된 하위요인은 창의성과 혁신,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 의사소통과 협력, 정보미디어, 정보통신, 삶과 진로, 주도적 학습 및 자기주도성, 사회성 및 다문화, 생산성과 책무성, 리더십과 책임을 포함하고 있다. 일차적으로 이들 10개 하위요인을 포함하는 총 41개 문항을 개발하여, 이를 D 대학교 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문항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35개 문항으로 구성된 예비척도를 구축하여 H 대학교 학생 57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척도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최종척도에 대한 문항내적 일치도 Cronbach α,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 및 타당도 분석을 통해 타당화하였다. 그 결과 21C 대학생역량 척도 35개 문항 전체 신뢰도Cronbach α는 .957로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의 Cronbach α는 .814 ∼ .916의 범위를 보였다. 그리고 요인분석의 결과 10개 하위요인의 총 설명변량은 77.512%로 나타났다. 35개 문항으로 구성된 모형의 적합도 CFI, TLI는 .90 이상, RMSEA는 .08 이하, 그리고 X2/(df)는 3이하로 나타나 수용 가능한 적합도 기준치를 충족시켜 구조적으로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준거 타당도 분석 결과 대학생의 학업적 적응능력과 r = .305 ~ .557(p < .01), 사회적 자본과 r = .334 ~ .556(p < .01), 학교기본심리욕구와 r = .266 ~ .458(p < .01)의 상관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탐색집단과 교차집단 간의 교차타당도와 신뢰도의 분석 결과 일반화가능성이 높고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대학생들의 학습능력과 이들에게 요구되는 혁신역량과 관련된 연구를 진작시킬 뿐만 아니라 21C 대학생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익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alidate 21C College Student Competency Scale (21CCSCS). The final scale included 35 items consisting with 10 subfactors, creativity and innova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formation, media, and technology(IMT),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ICT), life and career, initiative and selfdirection, social and cross cultural skills, teams productivity and accountability, leadership and responsibility based on th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2011). A total 861 students from D and H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22.0 program. Pearson correlation, reliability,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execu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 fit indexes of TLI, CFI, RMSEA, and χ²/df value were satisfied with the criteria for the fit indice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지역사회 연계 방과후학교의 운영 사례 분석

        양애경 ( Yang¸ Ae Kyeong ),정현용 ( Jung¸ Hyun Y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방과후학교는 학생 수 감소와 담당 교원의 업무 과중으로 인해 단위학교 중심 방과후학교 운영에서 지역사회와 연계를 기반으로 한 방과후학교 운영체제로 전환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 방과후학교의 운영 사례를 통해 지역사회 방과후학교의 운영 유형과 활성화 요인, 운영 프로그램, 운영 성과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연계 방과후학교 관련 연구보고서와 논문, 우수사례집 등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지역사회 연계 방과후학교의 운영 유형은 운영의 주체에 따라 지자체 중심형, 사회적기업 참여형, 단위학교 운영형으로 분류하였다. 활성화 요인은 지자체와 단위학교 장들의 방과후학교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사전 준비, 예산 확보, 교육공동체의 협력 체제 구축, 강사역량 강화와 강사 활동 여건 개선 등이 있었다. 프로그램은 기초학력 향상 프로그램, 특기ㆍ적성계발 특화 프로그램, 진로지도, 방학 특성화, 지역의 특성과 학교 특색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였다. 운영 성과는 지역사회 교육공동체의 실현, 사교육비 경감, 지역 특성에 맞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확대ㆍ운영, 농어촌지역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제공과 교육여건 개선, 교원의 행정업무 경감, 방과후학교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제 학교는 지역사회로 방과후학교를 확장하는 것은 물론이고, 학교로 지역사회를 참여시키는 방법에 대해 준비해야 한다. After-school activities which are school-oriented are shifting to programs based on local communiti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heavy workload of the teachers in charge.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the types of operation, factors of revitalization, operation programs, operational performance in after-school activities in the community through the case study. For this purpose, research reports, thesis, and case studies on after-school activities related to local communiti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operator, after-school activities linked to local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local government, social enterprises, and unit school-oriented. The factors in revitalization include a strong will of school principals and heads of local governments, preparation, secured budgets,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of education communities, strengthening instructor competitiveness, and improving activity conditions for them. The various programs were operated for enhancing primary academic achievement, developing specialties and aptitude, career guidance, vacation characterizati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eir performances were high in realizing the community education, reducing private education costs, expanding and operating after-school activities suitable for local characteristics, providing activities in rural areas, improving educational conditions, reducing teachers’ administrative workload, and satisfying schools with after-school programs. Now, schools should expand their after-school activities into communities and prepare for measures to make communities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