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얼굴 특징 추출에 의한 아바타 제어 시스템

        양애경(ae kyung Yang),최형일(hyung ill Choi)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5 No.9

        얼굴표정은 인간과 인간 또는 인간과 기계간의 의사전달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 얼굴 표정 자동인식 및 추적을 위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영상의 얼굴 특징 추출에 의해 3차원 아바타를 제어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얼굴표정을 생성 및 묘사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시스템의 개요는 사용자의 표정이 일정순서대로 입력됨에 따라 간단한 사전지식을 이용하여 첫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특징점(눈 및 입의 코너점)을 탐색하고, 탐색된 특징점들을 기반으로 다음 프레임에서의 특징점들을 추적하며, 특징점 추출에는 가보 웨이브릿 변환을 사용한다. 웨이브릿 변환은 최근들어 영상 압축 및 텍스쳐 추출에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 특히 가보 웨이프릿 변환은 영상처리에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탐색된 특징점들의 정보를 아바타에게 전달해 줌으로써 아바타는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근육의 움직임을 생성한다. Facial Expression plays an important role when human communicates with someone or machine. Recently research for automatic recognition and tracking of facial expression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Our aim is to control an avatar by exploiting facial features so the avatar can mimic user's facial expression. Our approach consists of three main modules. The first one is to keep tracking of facial features and the second one is to make a model of 3-D avatar. And the third one is to transmit information from feature tracking part to avatar control part. We use Gabor wavelet transform when extracting facial features.

      • 개선된 양선형 쿤의 이미지 워핑

        양애경(Yang Ae-Kyung),최형일(Choi Hyung-il)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A

        최근들어 컴퓨터 비전이론과 컴퓨터 그래픽스이론을 접목한 응용사례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 예로써 연속된 영상 프레임 처리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를 위한 구현 이론 중의 하나로 워핑 및 모핑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1960년대 Steve Coons는 양선형 쿤의 표면조각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론이 되었다. 1970년대 후반, L.Williams는 쿤의 표면조각 이론을 사용하여 이미지 워핑을 구현하였다. 비교적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이미지 워핑을 구현하였지만, 사용자가 코너점 등을 설정해 주어야 하며, 각 픽셀의 순차적인 정합으로 출력영상의 모양이 직사각형으로 제한된다는 등의 제약사항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출력영상의 프리미티브를 직선에서 곡선으로 확장시켰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워핑부분을 확대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장점으로는 사용자가 워핑하려는 모양을 지정해 줄 수 있게 해줌으로써 비디오 연속 프레임처리가 보다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처리가 가능해 졌다는 점이다.

      • 활성 템플릿의 구조와 동작특성

        양애경(Ae-Kyung Yang),최형일(Hyung-il Choi)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Ⅱ

        본 논문에서는 활성 템플릿을 이용하여 임의의 형태를 가지는 이동 물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동 물체를 감지한다. 활성 템플릿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활성 모델에서 추출하지 못했던 이동 물체의 움직임 정보, 즉 전이정보, 회전정보, 크기변화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이동물체를 정확하게 감지할 필요없이 활성 템플릿 정합만으로 이동 물체에 대한 정보 추출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동 물체에 대한 움직임 정보 추출 후에 활성 템플릿의 윤곽선과 이동 물체 윤곽선간의 차이벡터를 이용하여 템플릿 영역내의 이동 물체 가지가 가능하다. 이것은 기존의 스네이크 알고리즘에 존재하는 지역 최소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향후 얼굴 표정 인식 및 추적, 사람의 머리 추적, 행위 인식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 동영상에서 예측된 얼굴 영역의 기울어짐 보상에 의한 얼굴 구성요소 추출

        양애경(Ae-Kyung Yang),이근수(Keun-Soo Lee),최형일(Hyung-il Choi)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6 No.11

        본 논문에서는 시간에 따라 위치 및 회전각도가 변하는 얼굴 영상을 분석하여 눈과 입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동영상에서의 얼굴 영역을 효과적으로 추적하기 위해 간편화된 칼만 필터를 제안하며, 예측된 얼굴 영역 내에서 얼굴의 회전 각도를 고려하여 수직 및 수평 프로파일을 적용함으로써 좀 더 정교하게 얼굴 구성요소를 추출한다. 제안한 방법의 효율성은 실험 결과를 통하여 보인다. We propose the method that extracts eyes and mouth of human by analysing facial image sequences which can change their positions and orientations along the time. We propose the simplified Kalman filter to track the area of human face efficiently in Image sequences. We also devise the method of slant-compensation, so that the facial components could be extracted more accurately by using vertical and horizontal profiles of the compensated images. Finally, we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suggested method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 얼굴적응모델에 의한 얼굴 구성요소 추출

        양애경(Ae-Kyung Yang),임민수(Min-su Im),최형일(Hyung-il Choi)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B

        본 논문에서는 연속 프레임 상에서 얼굴 적응모델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과 얼굴 구성요소를 추출 및 추적한다. 얼굴 적응 모델은 얼굴 피부 색상의 범위를 프레임에 따라 적합하게 계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얼굴 피부 영역은 조명 또는 잡음 등 주변 환경 및 자체의 문제에 따라 그 색상이 시시각각 변한다. 본 논문에서는 YIQ 색상 공간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과 얼굴 구성요소를 추출한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프레임내에서의 얼굴 피부 색상 변화에 민감한 점을 적응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개선하여 얼굴 영역과 얼굴 구성요소 추출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하고자 한다. 적응 모델의 장점은 시간에 따른 잡음 및 조명변화에 안정적이라는 점이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방과후학교

        허경철(Huh, Kyung Chul),양애경(Yang, Ae Kye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4 방과후학교연구 Vol.1 No.1

        우리나라의 ‘방과후학교’ 는 2006년부터 기존의 방과후 교육활동을 혁신적으로 도입·추진해오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해 왔다. 방과후학교에서 어떠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인가도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의 취약점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그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방과후학교는 학교의 공식적 교육과정에 어떠한 방법으로든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며 그러한 의미에서의 방과후학교 도입의 의의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의 범람 현상을 완화시켜준다. 방과후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의 넘쳐 나는 요구를 분담함으로써 학교 교육과정의 부담을 완화시켜준다. 둘째, 방과후학교는 공식 학교 교육과정이 충실하게 달성할 수 없는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교육목표들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육 시간만을 통해서는 도저히 달성할 수 없는 것들이다. 이러한 부분들을 방과후학교에서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서 그 성취를 의미 있게 도울 수 있다. 셋째, 방과후학교는 공식 학교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한 계기를 마련해 준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설정, 운영하는 것은 학교 교육과정의 질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Since 2005, our nation’s ‘After-school’ has innovatively changed established after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Then it has started to phase in and push ahead with the activities and has sought growth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o the present. It is advisable for educational after-school programs to set the direction that is to analyze and to supplement the weakness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On the side of school curriculum, it is as in the following to describe the significance of after-school introduction in the sense of how after-school helps formal education. First, after-school alleviates inundation phenomenon of school curriculum. It eases the burden of school curriculum by sharing a superabundance of demands. Second, after-school contributes greatly to achieve the goal that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can not fully reach. The goals of education can not be attained only with time of education that formal education provides. After-school can help meaningfully that by dealing intensively. Third, after-school provides opportunitie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formal education. To set after-school programs in the desired direction is can be a chance to develop in the better direction.

      • KCI등재후보

        수업분석(컨설팅) 사례 기반 연구 - H대학교 수업촬영분석을 중심으로 -

        조용개(Cho, Yong Gae),양애경(Yang, Ae Kyu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1 방과후학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의 수업분석(컨설팅) 사례를 통하여 수업분석의 과정을 소개하고, 수업분석 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특징들을 중심으로 수업개선을 통한 대학교육의 질 제고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H대학교 교수자 11명을 대상으로 촬영한 수업을 중심으로 수업분석 도구를 통하여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업분석 도구는 조 벽(2012)의 수업분석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업촬영분석 평정표를 활용하여 보다 객관화된 분석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정성적 분석으로 수업전개분석, Teaching Style 분석, Presentation Style 분석과 정량적 분석으로 Teaching Style과 Presentation Style 영역을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업분석 도구를 통한 정성적 분석 예시와 수업촬영분석 평정표를 통한 정량적 분석 예시로 제시되었으며, 본 연구의 논의와 결론, 제언이 수업개선과 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process of instructional analysis(consulting) through the cases of instructional analysis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focuses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analysis process, and give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To this purpos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stru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by instructional analysis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s examples of qualitative analysis using instructional analysis tools(instructional progress analysis, teaching style analysis and presentation style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using instructional videotaping analysis rating tables. We expect that these discussion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contribute to improve instruction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처방적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

        강신천(Shin Chun Kang),양애경(Ae Kyung Y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2

        최근 방과후학교가 양적으로 질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방과후학교 교사에 대한 질관리 문제가 중요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방과후학교 교사가 가져야 하는 중요한 역량 중의 하나를 ``학습컨설팅``이라 전제하고, 방과후학교를 활성화하기 위해 처방적이고 실질적인 학습컨설팅 모형을 연구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학습컨설팅 전략을 탐색하고 대안적 모형을 탐구하였으며, 최종 방과후학교를 활성화하기 위한 처방적이고 실질적 학습컨설팅 모형을 개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처방적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을 통해 학습컨설팅이 방과후학교 교사가 가져야 할 핵심역량 중의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방과후학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가장 큰 우려는 방과후학교의 내실화이며, 교사의 역량은 이를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학습컨설팅을 방과후학교 교사가 가져야 할 핵심 역량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본 장에서는 방과 후 학교 교사가 학습컨설팅을 하기 위해 필요한 처방적 전략과 학습컨설팅 처방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교사 또는 강사가 학습컨설팅 역량을 갖기를 기대하고 나아가 학습컨설팅 모형에 따라 실질적인 학습컨설팅을 실행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quality control for After-school teachers became an important issue as After-school has been growing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is study set learning consulting that is one of important competencies for After-school teachers forth as a premise and its purpose is to study on proposing a strategic and practical model of learning consulting for vitalizing After-schoo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has researched some strategies for learning consulting and then it has inquired an alternative model for learning consulting of After-school teachers. Finally it has proposed a strategic and practical model of learning consulting for vitalizing After-school. This study concluded that learning consulting is one of important competency for After-school teachers through prescribed model for learning consulting that was proposed to vitalize After-school substantial and teachers` competencies will be more important factor than now. We expect that this study makes After-school teachers to get learning consulting competency following its alternative model.

      • 방과후학교 위탁운영 실태분석 및 활용화 방안

        우길주(Woo Kil Jo),김성식(Kim Seong Sig),강신천(Kang Sin Chun),양애경(Yang Ae Kyung) 한국교육포럼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3

        이 연구는 방과후학교 위탁운영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실제 업무 담당자와 교육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직무 분석과 만족도조사를 바탕으로 정책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방과후학교 위탁운영을 통한 사교육비 지출경감의 실효성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향후 국가 수준의 정책 추진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데이터 구축 마련에 있다. 또한 방과후학교 위탁운영 업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모델 및 방과후학교 위탁운영의 내실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정책의 학교현장 착근지원에 대한 정보제공 및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방과후학교 위탁운영에 대한 교육수요자의 인식이 개선되고 담당자들의 업무 경감을 통하여 위탁운영으로 발생 가능한 행정적인 절차상의 문제점들이 보다 개선되고 경감된 형태로 자리 잡기를 기대해 본다. 더불어 이 연구결과가 바람직한 방과후학교 위탁운영의 모델 정립과 위탁운영 활용화를 위한 정책추진 동력의 중요한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surveyed training staff and consumers participating in consigned management after school programs and verified their satisfaction and with objective research analysis.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finding the proper reductions in private educational expenses of after school programs and to build foundations for national polic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s solutions to problems found in current consigned management of after school programs and provides theoretical basis to make new policy in schools.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realized that the policy of consigned management after school programs supplemented public education and through consumer oriented programs it has actively improved and strengthened public education. This has found possibilities for a new direction in making education policy. The study also reveals the tendency to depend too much on the provincial offices even though it was open for individual schools to operate after school programs with autonomy and discretion. This indicates that the biggest problem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individual schools and this must be the priority for the revitalization of consigned management of after school program. In conclusion thr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essential to have an increased awareness of consumers in schools reduce work load for administrative officers improve procedural problems establish an effective model for consigned management of after schools and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