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련적 현상으로서의 중앙아시아 고려인 임차 농업 ‘고본지’: 1937-1986

        양승조 ( Yang Seung Jo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49 No.-

        고본지라는 고려인 특유의 농경방식은 기본적으로 소련이라고 하는 시간적ㆍ공간적 조건 속에서 배태된 역사적 산물이다. 고본지의 어원을 통해 우리는 이것이 중앙아시아 고려인 공동체에서 발생해서 소련 전역으로 확산된 독특한 농업 경영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본지의 특징과 실제 수행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이것이 소련이라는 시공간속에서 나타난 집단농장체제와 긴밀한 연관관계 속에서 발생하고 유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본지는 현재까지도 고려인들 사이에서 유지되고 있는 농경방식이기도 하다. 그러나 소련 해체와 이에 따른 시장 경제 체제의 확산과 함께 고려인 공동체 내에서 고본지 방식의 농업 경영은 그 효용성이 크게 작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본지 수행의 규모도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고본지는 소련이라고 하는 특별한 시공간 속에서 배태된 역사적 현상으로 보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Gobonji, a unique agricultural method of Goryeoin(the ethnic Koreans in Russia and Central Asia), is basically a historical result embedded in the temporal and spatial conditions of the Soviet Union. Etymologically, we can see that Kobonji is a unique agricultural management method that originated in the Goryeoin community in Central Asia and spread throughout the Soviet Union.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Kobonji and the actual method of execution, we could confirm that this occurred and maintained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ollective farming system such as Kolkhoz and Sovkhoz, which appeared in the space and time of the Soviet Union. And Gobonji, which has these characteristics, is also a farming method that is maintained among Goryeo people to this day. However, with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nd the spread of the market economy system, the effectiveness of Gobonji as an agricultural management method within the Goryeoin community is greatly decreasing, and the scale of cultivation of the Gobonji method is decreasing accordingly. From this point of view, in conclusion, it seems appropriate to view Kobonji as a historical phenomenon embedded in the special time and space of the Soviet Union.

      • 국내 고려인 연구의 동향과 과제 : 1984-2018년

        양승조 ( Yang Seung Jo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48 No.-

        1984-2018년 사이에 산출된 고려인 연구 결과물들을 ‘단행본’, ‘학술논문’, "학위논문’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국내 고려인 연구사에 대한 시기구분과 각 시기별 특징을 도출했다. 이를 통해 고려인 관련 주제가 현재 국내에서 연구되어지고 있는 상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고려인 연구는 지난 35년여의 시간 동안 크게 세 시기를 거치며 상당한 양의 연구 결과물을 축적해 내었다. 둘째,국내 고려 인 연구는 양적으로 중단 없이 팽창해 왔을 뿐만 아니라, 연구 주제를 다양화하고 심화하는 질적인 성장도 병행해 오고 있다. 셋째, 한 세대가 조금 넘는 짧은 기간 동안에 빠르게 진행된 양적 팽창으로 최근 수년간 연구 결과물 간행이 정체 •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넷째,이러한 양적 팽창과 이에 이은 성장 정체에도 불구하고 고려인 관련 세부 연구 주제들 중에는 아직도 제대로 다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들이 적지 않게 남아있다. By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s of Koryo-saram produced between 1984-2018 in Korea into ‘Books’,‘Articles’ and ‘Graduation Theses’, the Periodization of the research history of Koryo-saram conducted in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were derive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how the topics related to Koryo-saram are currently being studied in Korea. First of all, in the field of research on Koryo-saram in Korea,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results have been accumulated over the last 35 years. Second, the study of Koryo-saram in Korea has not only expanded quantitatively, but also has grown qualitatively by diversifying and deepening research topics. Third, the rapid quantitative expansion in the short period of more than 30 years has resulted in standstill or decrease in the amount of publications in recent years. Fourth, despite these quantitative expansions and consequent standstill, many of the detailed research topics related to Koryo-saram still remain poorly addressed.

      • 마슬레니차(Масленица) 전통신앙의 봄 축제와 그리스도교의 사육제(謝肉祭) 사이에서

        양승조 ( Yang Seung Jo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47 No.-

        러시아에서 늦겨울에 진행되는 축제인 마슬레니차는 슬라브족의 전통적인 봄 축제에서 유래한 것으로, 그리스도교 교회 기념기간인 사순절 직전 한 주간 동안 진행되었다. 마슬레니차 기간에는 블린 먹기, 썰매타기, 대중유락 등과 같은 비종교적인 행사들은 물론이고, 주먹싸움, 성 뺏기 등과 같이 슬라브족이 가지고 있던 전사문화의 잔재들도 주요한 행사로 지켜졌다. 또한 마슬레니차-허수아비 태우기와 같은 슬라브 전통신앙에서 유래한 행사도 축제의 중요한 요소로서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슬레니차 축제 내에는 그리스도교적 특징 또한 많이 내포되어 있다. 키예프 루시 시절인 10세기 말에 그리스도교를 수용하면서 성립된 러시아 정교회는 슬라브인들을 그리스도교화 시키는 과정에서 교리에 맞지 않는 전통문화를 말살하거나 그리스도교 문화로 동화시키는 작업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이교적 행사들로 가득 찬 슬라브족의 전통적인 봄 축제에도 금육, 용서의 일요일 등과 같은 그리스도교적 행사들이 포함되게 되었다. 이에 더해 유럽화를 추구했던 표트르 1세 시기에는 서유럽의 축제인 사육제에서 행해지는 가장행렬과 같은 행사들이 도입되었다. 그 결과 마슬레니차는 유럽의 사육제와는 다른 기원과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그리스도교적 행사 또한 내포하고 있는 러시아판 사육제의 모습을 띠게 되었다. Maslenitsa is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spring festival of the Slavs. For this reason Maslenitsa festival, a week before the Lent, extended not only non-religious events such as sledding, carnival travel(Народные гулянья), and Russian boxing(Кулачный бой), but also the heritage of paganism such as burning Maslenitsa, which is a scarecrow made of straw and old clothes. However, after the Kievan Rus’ embraced Christianity, the Russian Orthodox Church attempted to transform Maslenitsa into a Christian festival. In this process, events such as ‘jejunium(do not eat meat)’ and ‘Sunday of Forgiveness’, which have strong Christian characteristics, had been conducted. Also during the reign of Peter I, the masquerade parade,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Carnival, was added. As a result, unlike Carnivals in Europe, Maslenitsa became a unique spring festival in Russia.

      • KCI등재

        19-20세기 초 러시아 제국의 중앙아시아 식민통치와 행정 구획의 지역별 특징

        양승조(Yang, Seung Jo)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1 슬라브학보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colonial policy implemented after the annexation of Central Asia by the Russian Empire in the 19th century was applied in different ways in the Kazakh steppe and West Turkistan, which are two regions that compose Central Asia. For this purpose, the process of the annexation of the Kazakh steppe and West Turkistan into the Russian Empire, the implementation system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religious and cultural policies, and differences in administrative divisions were examined. And as a result, we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although the Kazakh steppe and West Turkistan had historically interacted for a long time, there was no experience of integrating these regions into one space before the 19<SUP>th</SUP> century. Secondly,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he Tsarist Empire regarded the Kazakh nomadic settlements that had been served Russia and paid tribute(yasak) since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as the territory where the suzerainty of the empire was established. Based on this recognition, the imperial government demarcated the Kazakh Steppe into administrative divisions according to the Russian system, and focused on spreading Russian culture and Orthodox Christian beliefs. On the other hand, thirdly, in Western Turkistan, which was conquered by the Russian expeditionary force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it showed a change in the introduction of a protectorate system along with the demarcation of Russian administrative divisions. In addition, in the social and religious aspects, a relatively moderate policy of colonial rule was pursued, such as acknowledging some of the power of the indigenous elites and implementing a policy of ‘disregard (игнорирование)’ which implicitly acknowledged Islamic beliefs. Fourthly, despite these differences, what the Russian Empire was trying to establish in Central Asia was a European colonial system. As a result,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Central Asia as a space and Central Asians as a community, which had never appeared in the past, was laid in this region in the 19<SUP>th</SUP> century.

      • KCI우수등재

        [러시아] 지평의 확대: 유럽 중심에서 유라시아 지향으로

        양승조(Yang, Seung Jo) 역사학회 2021 역사학보 Vol.- No.251

        In 2019-2020, Russian history researchers in South Korea published almost the same amount of studies as in 2017-2018, which include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October Revolution. More importantly, th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studies on Russian history appeared in parallel with the qualitative progress such as conducting research based on historical data analysis, diversifying research topics, and collaborating with overseas researchers. As can be seen from this, the academic community of Russian history in South Korea currently have established a solid foundation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and are lead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their research results. And here, we propose two ways to maintain and expand these change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erspective of reorganizing Russian history into the boundaries of Eurasian history from the border of European history. Second,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history of Koryo-saram(고려사람), who are Russians of Korean ethnic origin, as the realm of Russian history, because their history forms a part of the history of Russian minorities.

      • KCI등재

        예카테리나 2세 시기 제정 러시아의 이슬람 정책과 오렌부르크이슬람종무청(ОМДС)의 역할

        양승조 ( Yang Seung Jo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러시아연구 Vol.26 No.2

        Для выявления сущности исламской политики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XVIII в. в данной статье анализируется процесс образования и деятельности Оренбургского магометанского духовного собрания (ОМДС), и на основе этого предлагаются следующие факты. Во-первых, из-за длинной истории контактов между мусульманами и православными русская власть имеет большой опыт в отношении деятельности исламских обществ и мусульман. Во-вторых, ОМДС, учреждённое как центральный орган управления мусульманами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стало на самом деле инструментом защиты Росси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от соседних исламских стран, установления контроля над мусльманскими подданными и формирования лояльных к устоям империи групп духовных лиц из числа российских подданных. Наконец, М. Хусаинов, первый муфтий ОМДС, являлся проводником внутренней политики российской власти в Казахстане.

      • KCI등재

        러시아 석유 산업의 탄생과 초기 석유 시장에서의 역할: 1859-1918

        양승조(Yang, Seung Jo)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0 슬라브학보 Vol.35 No.3

        This article focuses on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the oil industry of tsarist Russia in comparison with the oil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data, we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f all, although the Russians already knew about petroleum from the 16th century, it was only after the Absheron Peninsula was acquired in 1813 that the oil industry began to develop in Russia. Second, in Russia in the mid-19th century, unlike in the United States, the modernization of the oil industry had not yet begun in earnest. The main reasons for this backwardness were ‘the monopoly system(откупная система)" and the feudal social structure. Third, after the reforms since 1861 and the enactment of legislation in 1872, the oil industry in Russia had a modern production system. And based on thi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Russia overtook the US in crude oil production. Fourth, The Petroleum Production Company Nobel Brothers(for short, Branobel), founded by the Nobel brothers from a Swedish migrant family, had become a leading company in the Russian oil industry through the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innovation of production methods, and bold capital investment. Fifth,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Russia fell far behind the United States in oil production due to domestic political turmoil and the late introduction of new drilling technologies. And in 1918, after the October Revolution, all oil companies in Russia were nationalized.

      • KCI등재

        제정 러시아 시기 프리모리예1) 지역에서 이주 조건의 변화와 민족별 인구 동향

        양승조 ( Seung Jo Yang ) 한국서양사연구회(구 서울대학교 서양사연구회) 2018 서양사연구 Vol.0 No.58

        This article deals with the migration processes and demographic structure in the Primorsky region(Primorye) of the Russian Far Eas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ies. In this paper, we examine this problem in two aspects. One of these is the internal situation in Russia. Changes in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 Russia during this period influenced the progress and success of the immigration policies of the tsarist authorities. The other is the situ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Russia. In this period, Russia’s territorial expansion in the East Asian region had created tensions between Russia-Qing, Russia-Britain and even Russia-Japan, and the changing international political conditions had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immigration policies by the Russian authorities.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 immigration policy of the Russian authorities was carried out under these various conditions, and, as a result,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e Russian Far East in the early 20th century was dominated by a large number of Russians and a small number of East Asian immigrants. (Soongsil University / igory21@gmail.com)

      • KCI등재

        19세기 후반 제정 러시아의 극동 지역 식민정책 -유즈노우수리 지역 식민이주 정책을 중심으로

        양승조 ( Seung Jo Ya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6 사총 Vol.87 No.-

        본 논문의 목적은 19세기 후반 우수리 지역에 진출한 제정 러시아가이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시행한 극동지역으로의 러시아인 이주 정책의 수립 배경, 진행 과정, 이주 결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러시아인들이 시베리아지역을 장악한 이후인 17-18세기에 스텝지역과 그 이남 지역에는 준가르 칸국과 청이라는 두 개의 거대한 국가들이 수립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제정 러시아는 청이 약화되는19세기 후반에 가서야 극동 남부 지역으로 진출할 수 있었다. 문제는 약해졌다고 해도 청은 여전히 극동 지역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고, 이에 따라 제정 러시아 정부는 새로 합병한 극동 지역을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러시아화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 결과 유럽러시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비 아시아계 농민들을 이 지역으로 이주시키는 작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초기 이주는 시베리아를 횡단하는 육로 이주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육로는 러시아인들이 시베리아 지역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전통적인 이주 로로, 합병한지역을 식민화하는 가장 일반적인 정책이었다. 그러나 육로 이주는 오랜 이동 시간, 부담스러운 이동 비용, 장기 이동에 따른 높은 사망률 등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제정 러시아 당국은 해로를 통해 이주하는 새로운 방식을 강구하게 되었다. 오데사를 출발해서 지중해와 인도양을 지나는 해로 이주는 육로 이주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었기에, 정부 당국은 물론이고 이주를 희망하는 농민들에게도 크게 호응을 받았다. 그 결과 19세기 말로 갈수록 극동지역에서 러시아계 이주민 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게 되었다. 농업이주와 달리 어업이주는 커다란 성과를 내지 못했다. 19세기 말까지 제정 러시아 당국은 우수리 연안 어업 경제를 통제하기 위해 몇 차례에 걸쳐 러시아계 어민 이주를 추진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우수리 지역에서 어업에 비해 농업이 가지는 보다 큰 경제적 이득과 보다 작은육체적 위험 등과 같은 요소들로 인해 실패했다. 즉, 유즈노우수리 지역으로 이주해 온 어민들은 농업이 가지는 여러 가지 이점들로 인해어업 대신 농업에 종사하는 쪽을 택했던 것이다. 이렇듯 19세기말로 가면서 이주가 활발해 지자 우수리 지역으로의 이주 초기에 나타났던 남녀 성비 불균형 문제도 해결되어 갔다. 먼저, 이주 초기를 제외하면 성비 불균형 문제는 당대인들이 생각했던 것처럼 매우 심각한 상황은 아니었다. 더불어, 해로 이주로 인해 이주민 수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성비 문제는 점차 완화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어 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resettlement policy of the Russian Empire in the Russian Far East Reg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In the 17-18 centuries in the southern part of Siberia, which at that time had already captured by Russians, there were two huge countries of the Dzhungar Khanate and the Qing Empire. For this reason, Russia had been able to annex the Amur-ussuri region only after the Qing dynasty weakened. Despite the fact that the Qing Empire weakened, it was carried out until a powerful influence in the Far East. The Government of the Russian empire, therefore, established to include the Ussuri region in the Russian Far East and colonize the territory by the population living in European Russia. As a result, Tsarist autocracy actively pursued resettlement of Russians living in the European part of Russia to the Far East. At the beginning, the migr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the ground path, i.e. Siberian route. However, Siberian route had several disadvantages such as long travel time, travel cost burden, high mortality due to long-term movement. Thus, the Russian authorities had adopted a new approach to migration through the sea routes. Immigration through seaways could solve all the problems with immigration through the Siberian route. Therefore, not only the Russian authorities, but also farmers, who wanted to migrate to the Russian Far East, liked the sea routes. As a result,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the Far East, the total number of russian migrants increased at a faster pace. Unlike farmers, colonization of the Russian Far East Region by russian fishermen had been a small resul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tsarist authorities tried to immigrate the Russian fishermen to the Far East in order to control the Primorye(Приморье). However, these attempts had failed because in Primorye farming was more profitable and less risky than fishing. So fishermen, who emigrated to the South Ussuri region, instead of fisheries decided to engage in agriculture. Also, going 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unevenness of the composition by gender was corrected.

      • KCI등재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모스크바국의 동방 진출과 동투르키스탄의 주변화(周邊化) : 준가르 제국을 중심으로

        양승조(Yang, Seung-jo)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4 No.-

        본 논문의 목적은 모스크바국의 시베리아 진출이 동투르키스탄 지역과 그 주변 국가들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몽골 제국이 북쪽의 초원지대로 물러난 이후 초원과 투르키스탄 지역에 거주하던 몽골과 튀르크 계통의 다양한 유목부족들은 대내외적으로 끊임없는 상호관계를 맺으며 자신들의 정치적 독립성을 유지해 오고 있었다. 그러나 모스크바국가 시베리아 지역으로 진출하고 만주족이 세운 청이 중원을 정복하게 되면서 유목민족들의 정치적 독립성은 크게 위협받게 되었다.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모스크바국과 청은 동몽골 지역에서 근대적 국경선을 획정했다. 그 결과 이 지역에 독립적으로 거주하고 있던 몽골부족들은 청의 변경지역으로 복속되었다. 이 시기에 동투르키스탄 지역에 수립된 준가르 제국은 동몽골 지역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준가르 제국의 정책은 청의 견제를 받게 되었으며, 남과 북에 확립된 두 정주제국들 사이에서 점차 설 자리를 상실하게 된 준가르는 청에 병합되었다. 청 지배층에게 있어 동투르키스탄 지역은 제국의 중심지인 중원에서 멀리 떨어진 변방에 불과했다. 그 결과 과거 유목제국을 건설하며 유라시아 역사의 한 축을 담당했던 유목 부족들의 영토는 유목부족들의 중심 영역에서 정주제국의 변방지역으로 주변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at the expansion of the Moscow State in Siberia had any influence on the region of East Turkistan and neighboring countries. After the collapse of the Mongol empire various Mongol and Turkic tribes, who lived in the steppes of Mongolia and East Turkestan, had relationships among themselves and preserved their political independence. However, after Siberia was merging into Tsarist Russia and China was conquered by Manchus, political independence of nomads greatly threatened. In eastern Mongolia, Moscow State and Qing dynasty established borders in accordance with the Treaty of Nerchinsk. As a result, the territory of Mongol tribes, who lived independently in the field, changed the frontier region of Qing. At this time, Dzungar Empire, which was set in East Turkestan, looked for a way to gain the Eastern Mongolia. However, this policy of Dzungar Empire was interrupted in the Qing Empire, and Dzungar, which was gradually losing the place to be standing between Russia and Qing, was united in China. For the rulers of Qing dynasty, East Turkestan was the frontier region that was located far from the center of the Chinese empire. As a result, the territory of the nomads, who once had built the nomadic empire and had been an important axis in the Eurasian history, had changed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nomadic tribes into the frontier region of the Qing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