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관경변상도의 공명조 연구

        안희숙 ( Heesook Ah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관경변상도에 등장하는 공명조는 ``人頭二首``의 극락에 사는 새를 형상화 한 것이다. 화면에서는 주로 가릉빈가와 대칭으로 臺 위 중앙에 배치되어, 중요한 도상 중의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공명조는 경전에 설산, 극락정토, 깊은 계곡, 해변 근처에 거처하고 있으며, 이미지는 ``一身二頭``, `` 二首鳥``, ``人面禽形一身兩頭 ``라 하고 있다. 이 중에서 규기의 『아미타경통찬소』에서는 ``人面禽形一身兩頭 ``라 하여 당대 둔황 관경변상도에 등장하는 공명조의 이미지 출현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있다. 공명조는 화면에서 臺 위, 토파, 청공, 난간에 배치된다. 돈황의 경우는 주로 臺 위에서 보관을 쓰고, 악기를 연주한다. 반면 한국의 공명조는 공양물을 들고 있거나, 합장을 하는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고려 시대에는 보관을 쓰고 리본을 휘날리며 토파 위에 서 있지만, 조선 시대에는 주로 청공에서 머리를 짧게 하고 있거나, 손을 생략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 돈황에는 없는 한국 관경변상도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한국의 공명조는 당대 돈황의 공명조의 도상을 수용하여, 화면에서 그 당시의 문화를 받아들여 새로운 도상을 만들었다. 그동안 관경변상도에서 공명조는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새로운 관점과 문제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Jiva-jivaka(共命鳥) appearing in pat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觀經變相圖) embodies a bird of ``A human head is two(人頭 二 首), `` living in the Land of Perfect Bliss. In the picture, it mostly found in the center on the terrace in contrast with ‘Kalavinka’, so we can see that it is one of the significant icons. According to the scripture, this Jiva-jivaka inhabits the snow mountain, Land of Perfect Bliss, deep valley, or the shore, and its image is depicted as ``one body and two heads(一身二頭)``, ``a bird with two heads(二首鳥)``, or ``a creature shaped as an animal with a human face and equipped with one body but two heads``. Among them, Gyugi’s 『Amitagyeongtongchanso(阿彌陀經通贊疏)』 describes it as ``a creature shaped as an animal with a human face and equipped with one body but two heads``, so it did influence the appearance of gongmyeongjo’s image found in Dunhuang pat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觀經變相圖). Jiva-jivaka(共命鳥) is put on the terrace, topa (the bank built with earth), clear sky, or the banister in the picture. In Dunhuang, it mostly wears the crown and plays an instrument on the terrace. In Korea, however, Jiva-jivaka(共命鳥) is depicted as the one holding an offering or putting its hands together. In Goryeo, it stands on the topa wearing bogwan with a ribbon fluttering whereas in Chosun, it mostly has short hair in the clear sky with its hands omitted. These are the characteristics in Korea that cannot be found in Dunhuang. As written above, those in Korea did accept the iconic characteristics of Jiva-jivaka(共命鳥) found in Dunhuang of the time but created a new icon receiving the culture of the time for the picture. Although Jiva-jivaka(共命鳥) in pat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觀經變相圖) has not been well recognized, it will be needed to take news perspectives and awareness about it.

      • 학습동기유발을 위한 박물관 체험 디지털 컨텐츠 연구

        안희숙(Heesook Ahn),엄현주(Hyunju Um),임지희(Jihee Leem),우남(Yu Nan),최유미(Yoomi Choi)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아무리 좋은 체험학습이라고 하더라도, 학습자들의 학습동기가 유발되지 않고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이에 박물관 체험학습을 통하여 학습자와 전문가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국내외 박물관 사례들을 연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설문조사 및 전문가 그룹의 면담을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 학습동기 유발을 위해 스토리텔링을 도입한 시점을 박물관 방문 전, 방문 시, 방문 후로 나누어 타임라인별로 다른 컨텐츠를 제시하였다. 또한, 박물관 체험학습 과정 중 학습동기유발을 위한 효과적 전달을 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시하여 학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를 제안 한다. 이와 같은 학습동기 유발을 통해 박물관 체험학습에 즐거움을 준다면 교육현장은 한 걸음 더 진보된 수준으로 발돋음 할 수 있을 것이다.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nd integral issues for the field study is how far the learning activity through experience could motivate children to lear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produce the digital contents based on form of storytelling and the digital contents are composed of 3 parts, which are before visiting the museum, the time when children"s audience visit the museum and after visiting the museum. This research is based on not only the interviews with the experts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but also the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designed digital contents will b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glasses of the museum in order to deliver the contents to children"s audience effectively. The digital contents will be able to give more opportunities children to want to visit many times and to explore what they see and investigate in the museum in 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