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IMO 시스템을 위한 Sphere Decoding 알고리즘

        안진영(Jinyoung An),박희준(Heejun Park),김상준(Sangchoon Kim)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본 논문에서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시스템에서 Maximum Likelihood (ML) 수신기와 같은 성능을 가지지만 복잡도가 낮은 Sphere Decoding (SD) 알고리즘에 대해 분석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서 채널로 전송되는 독립적인 신호는 QPSK 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되며, 채널은 산란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레일리(Rayleigh) 평탄 페이딩 채널로 가정한다.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는 Fincke & Pohst SD 알고리즘에 의해 각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독립적인 신호로 검파되며 그 성능이 ML수신시의 성능과 비교되었다. 추가적으로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개선된 형태인 Viterbo & Boutros SD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파된 신호의 BER 성능과 부동 소수점 연산량 (Floating Point Operations: FLOPS)이 각각 비교 분석되었다.

      • DS-BPSK UWB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된 CMF 수신기

        안진영(Jinyoung An),김영범(Young-beom Kim),김상준(Sangchoon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2 No.5

        본 연구에서는 다중 사용자 간섭이 존재하는 초광대역 시스템에서 전통적인 정합필터를 개선시킨 직접시퀀스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수신기를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다중사용자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거를 위해서는 사용자별 채널 정보가 요구된다. 개선된 정합필터 수신기는 다중 사용자에 대한 채널 정보 없이 비트오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칩 상관기의 출력 중 특별한 범위에 속하는 값을 감소시키며, 여기서 선택된 범위는 훈련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다중 사용자 간섭이 존재하는 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채널에서 전통적인 정합필터와 개선된 정합필터의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In this paper, the direct-sequence binary phase shift keying (DS-BPSK) receiver to modify the conventional matched filter (CMF) is presented for UWB systems with multi-user interference(MUI). In a general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 the channel information of each user is required to cancel the MUI. To improve the bit error rate (BER) performance without the channel information of multiuser, the modified CMF receiver makes the chip correlation outputs decrease in the special range which is selected by training sequences. The BER performance of the modified CMF i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CMF over AWGN channels with MUI.

      • KCI등재

        Prerake 송신 신호처리에 기반한 UWB MIMO 시스템 성능분석

        안진영(Jinyoung An),김상준(Sangchoon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8 No.9

        In this paper, a prerake diversity combining scheme for detection of a single data stream in ultra-wideband (UWB)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systems is considered. For a UWB MIMO system, the BER performance of a linear transmit prerake diversity scheme is presented in a log-normal multipath fading channel and also compared with that of a linear receive diversity combining approach. From the results, the prerake diversity combining UWB MIMO systems,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receiver side, are shown to provide the same performance as the rake diversity combining case. It is also observed that when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is equal to the number of receive antennas, the performance of prerake systems is improved at large antenna dimension and degraded due to the increase of interference components at low antenna dimension and high SNR regions.

      • UWB-MIMO 시스템에서의 TSTD 기법

        안진영(Jinyoung An),김길남(Gilnam Kim),김상준(Sangchoon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0 No.-

        본 논문에서는 UWB (ultra wide-band)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에서 시간 전환 전송 다이버시티 (time switched transmit diversity: TSTD) 기법을 사용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한다. 각 송신 안테나는 동일한 신호를 전송하며, 각 비트간격에서 하나의 안테나만 신호를 송신한다. 실내 로그 정규 다중경로 채널을 통과하여 수신된 신호는 공간 다이버시티 결합기와 경로 다이버시티 결합기를 통하여 결합된다. 이것은 각각 공간 다이버시티와 다중 경로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며 BER 성능을 향상 시킨다.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ultiple antenna system using TSTD scheme at UWB multipath fading channel. The same symbol is transmitted through each transmit antennas, and only one transmit antenna is turned on at each bit interval. The received signals passed through the indoor log-normal multipath channel are combined by spatial diversity combiner and multipath diversity combiner. This provides respectively spatial diversity and multipath diversity and improves the BER performance.

      • 심볼간 간섭이 존재하는 MIMO 채널에서 공간 다중화 검출기의 성능평가

        안진영(Jinyoung An),김길남(Gilnam Kim),김상준(Sangchoon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09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09 No.-

        본 논문에서는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이 존재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수신기의 성능을 평가한다.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서 채널로 전송되는 독립적인 신호는 QPSK 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되며, 채널은 산란이 활발하게 일어난다고 가정한다. 공간적으로 다중화되어 수신되는 신호는 현재 입력된 신호와 이전에 수신된 신호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ISI가 존재하는 채널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DFE (Decision Feedback Equalizing), OSIC (Ordere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QRD (Sorted QR Decomposition) 알고리즘이 사용되며, 각 수신기의 BER 성능과 부동 소수점 연산량(Floating Point Operation: FLOPS)을 각각 비교 분석한다.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the spatial multiplexing receivers are analyzed at MIMO system with intersymbol interference. The independent signals from each transmit antennas are modulated by using the QPSK modulation in the richly scattered fading channel. The received signals which are spatially multiplexed are a combination of both the current and past symbols. The employed receivers for detecting the signals with ISI are DFE, OSIC and SQRD algorithms. We analyze the BER performance and the floating point operations of each receivers.

      • KCI등재

        IEEE 다중경로 채널에서 다중접속 M진 변조 초광대역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Rake 수신기

        안진영(Jinyoung An)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12

        본 논문에서는 다중사용자 간섭이 존재하는 M-ary TH-PPM 시스템에서 확률분포 모델에 기반하는 개선된 초광대역 Rake 수신기법이 연구되었다. Rake 수신기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 다중사용자 간섭과 잡음의 혼합 분포를 유연하게 근사할 수 있는 확률모델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라플라스분포와 첨두치 정합(kurtosis matching) 기법이 적용된 일반화된 정규 라플라스모델이 고려되었다. 각 확률분포에 기반하는 Rake 수신기의 성능이 IEEE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에서 평가되었고 종래의 Rake 수신기와 비교 되었다. 제안된 접근법은 종래의 Rake 수신기보다 더 우수한 BER 성능을 보인다. In this paper, an advanced UWB (ultra wideband) Rake receiving technique based on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model is studied in the M-ary TH-PPM system with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MAI).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Rake receiver, the stochastic model, which can flexibly express the behavior of MAI-plus-noise, is required and the Laplace distribution and the generalized normal Laplace (GNL) model applied by the curtosis matching method are considered. The performance of Rake receiver based on each probability distribution is evaluated in the IEEE multipath fading channel and compar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Rake receiver. The suggested approach shows a superior BER performance than that of conventional Rake receiver.

      • UWB MIMO 시스템에서 Prerake 결합방식에 기반한 MMSE-OSIC 수신기의 성능

        안진영(Jinyoung An),김상준(Sangchoon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1 No.5

        본 연구는 prerake 다이버시티(diveristy) 결합 기술에 기반한 초광대역 다중 입출력 (ultra-wideband multiple input multipl output: UWB MIMO) 수신기를 제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제시된 송신 다중경로 선 처리 (preprocess)에 기반한 UWB SM (spatial multiplexing) 시스템은 전송 속도를 증가 시키거나 충분한 다이버시티 이득을 제공하여 비트오율 성능을 향상 시킨다. 채널간 간섭 성분을 해결하기 위해 ZF (zero forcing), 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OSIC (ordere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UWB-MIMO 수신기가 사용되며, 로그 정규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에서 각 수신기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In this work, various ultra-wideban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UWB-MIMO) receivers based on a prerake diversity combining scheme are presented and their performance is evaluated. The presented UWB SM systems based on transmitter-side multipath preprocessing can either boost the transmission data rate or offer significant diversity gain and improved BER performance. UWB MIMO detecters such as Zero forcing, minimum mean square error and ordere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are considered in order to cope with inter-channel interference, and the performance of each receivers is comparatively studied over a log-normal multipath fading chann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